안드로이드 태블릿당


Z2580 테스트 하면서 지금까지


안드로이드 타블렛에서 전혀 보지 않았던 셋팅을 하는것이 눈에 보였습니다.


일단 Epic Citadel만 가지고 이야기 해보죠.


수치만 따지면 57에서 59FPS정도가 나옵니다.


이것만 보면 어 AA31의 PowerSGX 544MP2랑 비슷하게 나오네라는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 계실겁니다.


(Z2580도 PowerSGX 544지만)


수치상으로 봤을때는 크게 의미가 없으나


테스트 하는 구간상으로 볼때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게 무슨이야기냐 하면


Epic Citadel을 테스트 할때


GPU의 연산이 많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있고 (아래에서 위로 성을 보여주는 샷)


연산이 적게 필요한 부분에서는 갑자기 FPS가 100이 나올때도 있습니다. (물길 지나가는 샷)


이 때문에 연산자체가 골고루 나오는 것이 아니라 뒤죽박죽된


FPS수를 아예 합쳐서 평균을 낸 값이 Epic Citadel입니다.


근데 Z2580의 경우 이런것이 아니라


아예 FPS수를 전 구간에 일정하게 돌아갈수 있게 셋팅해 놨습니다.


즉 FPS가 빨리 돌아가는 부분에서도 57-62FPS수를 유지하고


느리게 돌아갈 부분에서 웬만해서는 50FPS까지 유지시키려고 합니다.


아마도 GPU자체를 배터리가 소모되지 않는 방향에서


비동기적으로 운용하는것 같은데요 상당히 예술이고


이렇게 하면 게임할때 배터리소모가 다른 기기보다 휠씬 효율적으로 돌아갈겁니다.



Antutu는 4.0을 기준으로 20000점대가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Antutu 18000대 이상 넘어가면


UI구동이나 웹브라우징에 아무리 최적화를 개판으로 한다 하더라도


빠릿하게 움직입니다.


수치비교가지고 싸움하는건 수치 좋아하는 회사의 높은사람들이나


신경쓰는것이고


Open GL 3.0을 테스트 하는데 뭔가 좀 많이 이상합니다.


테스트 포멧이 바뀌었는지 아니면


적어도 특정 AP에 점수를 후하게 주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런 뻥투투의 행위는 갤시리즈 뿐만 아니라


RK3188에서도 너무나 적나라하게 나왔던 것으로


I/O테스트 할때 다른 쿼드급 기기에 비해서 4배이상되는 점수가 나왔는데 반해


Z2580의 경우는 이런 문제는 없었고 아예 점수가 낮은편입니다.


이건 위에서 이야기 한것 처럼 특정 작업하에서


CPU나 GPU을 배터리 효율을 위해 다운클럭을 해서


수치가 낮아지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Windmill돌릴때도 그런걸 느낀게


Windmill의 경우 720p offscreen Test와 해상도대로 돌리는 On-Screen 테스트


두가지가 있는데


둘의 숫치가 거의 유사하게 나왔습니다.


제가 가진 기기의 경우 LCD의 해상도가 720p보다 휠씬 좋은것인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나올수가 없습니다.


즉 다른 기기의 경우 720p테스트를 하면 수치가 높게 나오고


On-Screen으로 하면 수치가 낮게 나오는데


비슷하게 나오는거 봐서는 Epic Citadel하게 특정 작업에 한해서


성능 조절을 하는듯 합니다.



다만 Linpack은 Single Thread를 돌릴때도 Exynos 4412나 AA31이


Multi Thread로 돌릴때 나오는 MFLOPS가 나오고


Multi Thread로 돌릴때는 250 MFLOPS정도의 속도가 나왔습니다.


즉 Antutu에 나오는 점수와는 상당히 다른 이야기로


실 작업에서 Proccessing Time을 계산하면


Z2580쪽이 밴치 수치 잘나온 쪽보다 오히려 더 나을수 있을겁니다.



동영상문제에 대해서 넘어가 보죠


동영상은 이미 게시판에서 언급했듯


라이센스 관계상 인텔측에서 대부분의 하드웨어 디코더를 넣을수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동영상 어플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사용해서


동영상을 재생할수밖에 없는데


720p까지는 거의다 AP의 힘으로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돌릴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1080p정도가면 돌릴수 없는 것도 다수 나옵니다.


2160p나 4K급은 아예 답이 없는 상태입니다.


더구나 동영상을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돌릴경우


설정의 한계상


(이건 안드로이드에 여러가지 문제라 볼수 있고 화면 처리를 잘해서 웬만큼 보이게 할려면 AP를 끌어들여야 하니 속도가


느려질 상황도 생기기에)


동영상의 품질자체가 떨어집니다.


자 그럼 Z2580에 제대로 대응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동영상은 어떻게 될까요?


이걸 테스트 하기 제일 쉬운건 Youtube입니다.


Youtube에 나오는 동영상을 재생할경우


Z2580은 동영상을 거의 Native급으로 뽑아냅니다.


즉 Z2580에서 Youtube를 재생할경우 화질의 왜곡없이


그대로 보여줍니다.


많은 AP가 Youtube에서 동영상을 재생할때 화질대로 보이려고


일부러 색감을 떨어뜨리는 (32bit에서 16bit로)


상황도 있는걸 보면


이건 이대로 대단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건 Z2580에 동영상 포멧이 맞는 경우에 제대로 된다는 것이지


대부분의 동영상은 소프트웨어 코덱으로 돌려야 하기에


화질이나 재생에 관한 문제점이 들어날수밖에 없습니다.



어플의 호환성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런처 어플만 띄워도 호환성이 안맞아서


튕기는 경우도 있고


게임은 추가 파일 자체가 받아지지 않아서 게임을 진행할수가 없었습니다.


저해상도일때는 크게 상관이 없으나


고해상도 Z2580기기의 경우


해상도 문제때문에


필요한 게임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고


Console 게임 Emulation은 중국의 2세대 전의 싱글코어보다도 답이 없었습니다.


이부분에 관해서는 처음 나오는 AP가 대부분 겪는 문제로


몇개월 후에 해결되는 거라


(펌웨어 최적화하고는 조금 다른 문제고)


인텔과 어플제조사가 얼마만큼의 협력체계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긴 허나


현재로써는 불가능할겁니다.


거기에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요 스트리밍 어플의 경우


Z2580의 디코더 문제와 겹쳐서


아예 제대로 안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나 다음팟플레이어 어플이 그런 현상이 많은데


다음쪽에서 Youtube와 동일한 포멧으로 스트리밍을 제공하지 않는이상에야


Z2580쪽은 거의 불가능하리라 봅니다.



WIfi신호에 대해서는


이건 애플의 아이폰 4때 사태를 따라하는 건지


아니면 원래 그런건지 잘 모르겠지만


50cm만 떨어져도 4개신호떴던게 1개로 줄어들고


가끔 안될때도 있습니다.


특히 벽이 두꺼울때 이렇습니다.


즉 모듈 문제인지 아니면 Wifi신호 자체도 배터리 관리부분에 포함되서


거기가 멀어지면 수신을 증폭시킬 필요가 없는건지는


잘 모르겠으나


유저를 상당히 귀찮게 만든 설정이긴 합니다.






뭐 대강 본것만 이야기 드렸는데요.


제가 가진 Z2580기기의 경우 기구적 결함이 있는게 몇개 있어서


중국외로 유통시킬려면 이걸 해결해야 될겁니다.


거기에 미국이면 모르겠는데 한국에는 어플마다 독특한 포멧을 택한게


많아서 호환이 안되는게 꽤 있으니까요.


다만 4-5개월정도 인텔에서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중국의 6세대급의


타블렛이 나온다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건 없겠지만


동영상에 대해서는 중국에서 무단으로 여러가지 셋팅을 하지


않는 이상에야 Youtube에서 보는것 같은 화면을


동영상 어플에서 볼수 없을겁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STUFP 대책 모임 게시판이 열렸습니다. [1] 웹마스터1호기 2016.11.16 15199
공지 락칩 V1.8 성야무인 한글화 Tool입니다. 星夜舞人 2014.11.20 36203
공지 태블릿 추천란을 마련했습니다. [4] 星夜舞人 2013.09.09 257224
공지 KPUG 안드로이드 기기 DB 작성을 위한 Google Docs 입니다. [22] 낙랑이 2012.12.02 310406
공지 [ADB드라이버 설치하기] & [루팅 하기] [2] Lock3rz 2012.11.29 333408
공지 타블렛 구매할때 몇가지 유의하셔야 될점... [19] 星夜舞人 2011.12.08 288899
2977 |잡담| A10T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3] bamubamu 07.04 1670
2976 |잡담| 일단 러프리뷰용 기기는 주문했습니다. [5] 星夜舞人 08.20 1670
2975 |잡담| AA31타블렛이 안오네요.. T_T.. [1] 星夜舞人 01.23 1670
2974 |잡담| 오늘 onda v972 테스트 다시보시고 싶으신분 [4] 星夜舞人 02.06 1670
2973 |잡담| Infotmic IMAPX15 듀얼코어 타블렛 FSL 730의 잠깐 소감... [2] 星夜舞人 04.05 1670
2972 |잡담| Cortex A5 듀얼도 전력관리가 안될것 같은데요.. [4] 星夜舞人 04.08 1670
2971 |잡담| AT&T LG escape 몬가 좀;;;; [3] 쿠로유메 04.11 1670
2970 |잡담| RK3168 [3] Lock3rz 04.13 1670
2969 |잡담| 다수의 게시판을 신설했습니다. [1] 星夜舞人 04.03 1671
2968 |잡담| 음냐.. 안드로이드 폰은 이게 정상인건가요? [8] yohan666 11.22 1671
2967 |잡담| 폰트를 바꾸니 좀 읽을만 하네요 [4] 이C 12.25 1671
2966 |잡담| N50DT와 GT의 차이 확인... [4] file Kreator76 01.23 1671
2965 |잡담| 그리고 N드라이브 A10자료실 가입수락 안하신 분들은 임의 삭제할 예정입니다. [7] yohan666 01.31 1671
2964 |잡담| 에고 조금만 하면 오늘 올릴수 있는 파일 한계 다 채우네요. [2] 星夜舞人 02.02 1671
2963 |잡담| A10 잡담 두번째 - 펌업 실패 [11] file Azraile 02.03 1671
2962 |잡담| ICS에서는 Kpug 모바일 페이지 글자가 깨지네요. [7] file 애쉬 02.03 1671
2961 |잡담| A10 펌웨어 4.03 베타에서 1.02로 돌아갔습니다. [6] 도리도리 02.06 1671
2960 |잡담| N80 ICS 2월중으로 올라오려나요? [1] 룬이입니다 02.18 1671
2959 |잡담| 탈착식 패드 쓰는 사람이 너무없는듯 [2] mikado 02.23 1671
2958 |잡담| 듀얼코어 태블릿이라.. 뭐가 달라지는걸까요 [13] 룬이입니다 03.02 1671

오늘:
733
어제:
961
전체:
15,23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