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방에 110v, 220v 콘센트 구멍이 있습니다.
2012.03.15 13:37
110v, 220v 콘센트 둘다 잘 작동합니다.
하나는 엊그제까지 침대에 가려 존재를 몰랐던 110v 일자형
나머지 하나는 일상적으로 쓰고 있던 문옆의 220v 돼지코.
헌데 같은 위와 같은 구멍의 모양이 단순히 모양차이 뿐만이 아니라
같은 방임에도 불구하고 전압(?)의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220v때는 충전중 사용을 하든 뭘하든 잘 충전 되는것이
110v에 꼽아서 사용할때는 충전중에 동영상을 보든 라디오를 듣든하면 충전이 안됩니다.
어, 이거 왜이래 하고 스탠드를 연결했더니 스탠드는 불이 제대로 켜지지를 않구요.
이거 보고 느낀게 어라라, 이거 의외로 제품이 예민한가 보네하는 생각이!
헌데 미국에서 110v 용으로 쓰라고 나온 전자기기를 그냥 돼지코 꼽아서 220v를 이용해
사용해도 괜찮은가하는 생각으로 이어졌는데 이거 괜찮은건가요?
(지금까지 110v건 뭐건 그냥 돼지코 꼽아서 사용했었는데요.)
코멘트 20
-
다행히도 지금까지 사용했던 것들이 다 프리볼트였나봅니다.
이제부터 주의해야겠어요.
-
기둥
03.15 13:52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모양만 보고 110v, 220v가 잘 작동한다고 하시는 것인지요? 전압을 직접 확인해 보셨는지요?
집이 혹시 오래된 집인지요? 한국인지요?
현재 대한민국은 220v 60hz 교류 전기를 가정용으로 공급합니다.
예전에 110v를 공급하다가 여러 가지 이유로 220v로 승압하였습니다.
때문에 예전에 지은 집에 대하여 콘센트 교체 및 강압트랜스를 무상으로 공급했습니다.
이 때 침대 뒤쪽에 가려졌던 콘센트를 미처 교체하지 못했다면 모양은 110v이지만 실제 전압은 220v일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3상의 전기를 공급받아 110v와 220v를 모두 가정내에 설치할 수도 있겠으나 이 보다는 앞서 말씀드린 경우일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콘센트에 테스터기로 전압 점검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절대로 프리볼트 제품이 아닌 110v 제품을 220v에 꼽으시면 바로 고장납니다.
-
네. 모양만 보고요.
콘센트 연결해서 되면 되는가보다 안되면 안되는가 보다 요 정도요.
아파트인데 한 딱 20년 된것 같아요.
물론 한국입니다.
찾아보니 당시(아파트가 지어질시)에는 110v 가전제품이 많아서 220v로 전기를 내리되
일정 단자는 110v로 사용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전 이집에서 13년 정도 살면서 처음 알았습니다.
푸하하, 고장 안난걸로 봐서 프리볼트 제품이었나 봅니다.
-
시큰둥
03.15 14:21
중학교 때 한창 110v-220v 혼용하던 시절 잘못 꽂아서 태워먹은 아답타가 몇개 됐네요..^^
110에 220기기를 꽂으면 기기가 오작동하는 정도지만 220에 110기기 꽂으면 타면서 불날수도 있어요...;;;;
조심하세요..
-
갑자기 겁납니다.
-
전기는 안전사고가 많이 납니다.
짜짜로니님 말씀처럼 프리볼트 제품은 돼지코 꽂아 쓰면 되지만
일반 100v/110v 제품은 꽂는 순간 퍽 불꽃이 튀고 제품이 타면서 두꺼비집(배전반)이 내려갑니다.
반대 경우는 골골거리면 작동하든지 아예 안 움직이든지 합니다.
반드시 확인하고 사용하세요.
-
조심해야겠습니다.
오, 연결선 없이 가장 가까운곳에 찾았다고 좋아했는데 봉인해야겠어요.
-
지금 110v는 애초에 공급 자체가 안될텐데요. 그 상태라면 그 단자는 쓰지마시고 봉인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윗분들께서 말씀하신것처럼, 220v 지원안되는 제품은 절대 쓰지 마세요. ;;;
-
네. 역시 봉인해야겠습니다.
큰일날 문제인데 어제부터 그냥 아무 생각없이 연결했고 지금도 충전기가 2개나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장 봉인을~
-
기둥님 말씀이 정답입니다. 쓰지 마세요!
-
역시 봉인을~!
-
iris
03.15 15:38
더 이상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력'이 공급하는 '가정용 110V'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220v 전기가 들어오는데 일부는 자체 변환기가 있는건지 110v로 변환되어서 공급된다고 합니다.
아파트가 지어질 당시 110v 전기 제품이 많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저도 이집에서 13년 살면서 처음 알았습니다.
이거 좋은것 같아요ㅎ.
-
낙랑이
03.15 16:49
제가 그렇게 쓰다가 전기장판도 태워먹고 손에 스파크가 튀어서 화상을 입을 뻔 했습니다.
그때 이후로 그 단자는 벽지로 가려버렸습니다.
절대 하시면 안 됩니다 ㅇㅅㅇ...
-
헉, 벽지로 봉인을!?
이거 봉인해야하나보다 하다가 이거 장점이 아닐까 했는데 역시 봉인을 해야할까요.
-
낙랑이
03.16 01:06
정말 위험한 것이, 저 같은 경우에는 전기장판이어서 구조가 단순해서 (사실상 전원과 연결되는 온도조절기에는 별 부품이 없더군요.) 별 일 없었지, 만약 복잡한 부품이 들어있는 기계였으면 펑! 하고 난리도 아니었을겁니다.
-
220V 제품을 110 V 에 꼳으면 고장 날 확률은 적지만 제대로 작동 안합니다.
110V 제품을 220V 에 꼳는 순간 박살납니다.
110~220V 프리볼트 제품만이 둘 다 안전하게 꼳을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집 수리할 때 거기만 빼놓을린 없죠. 벌써 수십년 전 이야긴데...
지금도 110V 가동되는 집은 아파트 같은데에서 중앙 변전소가 110V 로 변환해줍니다.
-
아파트의 기본전력은 220v인데 특정 장소(주로 안보이는곳)만 그래요.
그래도 고장 안난다니 다행입니다.
핸드폰은 문옆에서 충전해야겠어요.
-
맑은샛별
03.16 01:34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인만큼 주의가 필요해요.
전압이 맞지 않는 아답터를 연결하였을 경우 아답터가 서서히 녹는 모습을 보실 수도.... ^^;;;
(예전에 110v용 아답터를 220v에 연결하니 퍽~!하고 터지는 것이 아닌... 서서히 녹더라구요.)
반대의 경우라서 조금은 안심할지 모르겠지만... 전기라는 건 순간적으로 큰 문제를 발생시키니까요. ^^*
미국제품이 프리볼트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110v 전용이라면 불안나면 다행입니다. 절대 안돼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