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구글은 할단위로 OS네임을 바꾸지 않나보네요.
2012.03.18 00:29
코멘트 6
-
그런데 진짜 올해말에 6.0 키라임파이 올라감! 이랬다가는 진짜 제작사들이 학을 땔지도 모르겠습니다.크롬브라우저는 브라우저니까 그렇게 펑펑 올려도 별문제 없었지만 OS는좀....
-
구글은 철저히 "자사의 최신 넥서스폰"을 위한 OS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저도 이 점을 간과하고 있었는데요...
이미 파이를 거의다 먹고있던, 애플, M$의 사장에 파고들기 위해
하드웨어 제조사들과 파트너쉽을 맺고, 몸집을 불려온건... 탁월한 전략이었다고 봅니다.
-
piloteer
03.18 01:40
구글은 운영체제를 다른 회사에서 쓰는 것 자체로 돈을 버는 게 아니라 마켓, 구글 검색/광고등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기 때문에 자사의 폰인지 타사의 폰인지와는 별 상관 없이 일단 안드로이드폰이 많이 팔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굳이 모토롤라를 인수하고도 별개의 회사인마냥 취급하는 것도 모토롤라를 우대하는 티를 내서 다른 회사들의 참여도가 떨어질 걸 우려해서지요.
물론 한판뒤집기가 된다면야 굳이 하드웨어장사도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만 지금 시점에선 자칫하면 애플에게 파이를 뺏길 뿐이거나 다른 업체가 오픈소스 코드를 써서 포크 프로젝트를 내놓을 뿐이니 때문에 당분간 구글은 점유율을 위해서 섣불리 자신들의 라인업만 밀거나 하는 짓은 하지 않을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
맏습니다
구글은 똑똑합니다
"섣불리" 자신의 이빨을 들어내지 않죠 ^^
"섣불리" 자신들의 라인업만을 미는 멍청한 짓은 결코 하지 않을겁니다.
하지만, 자신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펼 뿐,
"응~ 너희는 우리당이니까 챙겨줄께~"는 없습니다.
[이는, 회사라면 당연한것이고, 모든 회사가 당연히 이렇게 행동하고 있지만... 구글은 전세계 하드웨어 제조사를 상대로 이러고 있으니 ㅎㅎ]
철저히 똑똑하죠
말씀 하신대로, 구글은 자사의 검색엔진에 기반한 서비스와 마켓수수료, 광고료 등으로 먹고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구조를 내기위한 플랫폼은 "Android"이며, 이러한 플랫폼을 보급하기 위한 수단은 "오픈소스"였습니다.
삼성,소니,도시바,모토로라,hTC,Asus... 세계 유수의 업체가, 세계 유수의 "하드웨어"업체가 안드로이드당에 있죠.
삼성은 Bada 플랫폼으로 독립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곤 있지만, 투입량에 비해 산출되는것이... 부족해서 아직
무게중심을 Bada쪽에 두고 있진 않고... HP가 자신들의 webOS를, 비공개 상업OS로 가려다가, 오픈소스OS로 바꾸고
webOS를 버리듯이 포기한건... 그만큼 이미 선점된 모바일플랫폼에서 승부가 힘들다는 것이죠...
이렇게할까, 저렇게할까... 고민하는 하드웨어 제조사들에게는, 얼마 안되는 선택중에서 가장 이익이 많이 남는
선택일겁니다...
출발...
UI/UX와 애플스러운 스타일로 성공한 iOS... OS공유 거부
WM... iOS의 성공으로 힘을 잃고, 거기에다 M$에서 서서히 WM에 관심을 두지 않음
Android... 이제 막 시작... "오픈 소스"
지금...
어느정도 갖춰진 OS, 어느정도 갖춰진 앱시장, 그리고 "오픈소스"...
알아서 전세계에 구글의 Android 기기를 깔아주는 제조사들...
구글은 너무 똑똑한거 같아요~
-
달리나음
11.05 03:21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하는데 구글은 마켓을 이용해서 돈을 벌지 않습니다. 플레이 마켓은 앱 결제 30%와 인앱 결제 30%를 이통사와 제조사에게 전달하고 남은 금액을 컨텐츠의 저작자에게 전달합니다. 거기에 안드로이드는 오히려 구글의 광고 수익 모델을 저하하는 요소 중의 하나죠.
지금 상황에선 말랑콩까지 언제 넘어갈지 모르겠습니다. 각회사의 ICS 안정화가 생각보다 상당히 오래 걸리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