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 견적 관련 질문
2012.07.24 11:31
으... 서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깡통 수준입니다만,
PC 조립 할줄안다는 이유로 서버 견적 받아와야 하는 상황이 됬습니다.
용도 : 리눅스 DB 서버 [모바일 앱]
사양 : 제온 E5-2600 시리즈와 1600 시리즈 급 CPU[단순히 i7 이라고만 말씀하셔서...], RAM 4~8GB? HDD 1TB...
트래픽 : ... 예측을 못하겠네요...
서버를 아예 사는 경우의 견적서를 받아오라고 하시는데...
서버구입비용/유지비용/설치비용 등등...
서버쪽은 아예 아무것도 몰라서... 주의해야할 점등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멘트 15
-
낙랑이
07.24 11:35
-
mysql로 db서버로 쓸것 같습니다.
SNS서비스? 하려는것 같구요...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으아...
-
에스비
07.24 11:41
DB서버면 RAM큰게 중요하고 CPU는 클럭수보다 코어많은게 좋아요.
그런데 트래픽 왠만큼 많아도 듀얼코어면 충분합니다.
하드는 RAID1 묶어야 좋고요.
용도가 상용서버면 레이드 필수입니다.
메인보드는 티얀같은 서버용을 사야하고 좀 싼 인텔보드도 괜찮긴 한데, 아수스나 기가바이트는 리눅스 설치시 안정성문제가 생기는걸 많이 봐서 비추천이고요..
조립이 어려우면 다나와에서 싼 hp나 ibm서버 사는 것도 좋아요. 성능은 살짝 떨어지지만 상용서버는 성능이 문제가 아니라 안정성이 중요하거든요. -
답변감사합니다. ^^;
아직 서버라는 하드웨어에 대한 개념이 덜서서... 얼떨떨 하네요.
조립자체는 별로 다를것 없어보이는데, 부품이 서버용파워 UPS지원, 서버용 램, 말씀하신 RAID1, 기업용 하드?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계속 징징거리고만 있네요... 음...
-
코어가 많으면 SW 라이센스비가 엄청나게 올라갑니다. 현재 사용하려는 SW의 현재 라이센스 정책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합니다.
-
집념
07.24 11:42
델( dell.com ) 사이트 가시면 서버도 견적서 작성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한번 가보셔서 작성하시면 기본 서버 가격이 나오고 UPS / 백업 시스템 같은 부가 옵션도 넣을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게다가 해당 견적서 가지고 전화해서 문의하신다음 유지비용/설치비 기타 궁금하신 내용가지고 상담 받으시면 대략 금액이 산출 될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ㅠㅠ
역시 케퍽밖에 읎어요~
-
꼬소
07.24 12:17
저정도 스펙이면 단순하게 컴텨 구성해서 사용하셔도 되지만
직접 관리 안하실거면.. 전문업체에서 견적 내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비싸지는 않겠네요.
-
mysql용도면 일단 메모리는 빵빵(가격도 많이 떨어졌죠. 현재 DB를 메모리에 모두 올리면 당연 빨라짐.)
, 하드는 RAID1 , CPU는 1CPU에 쿼드코어 정도면 될 듯?
의외로 서버를 구매하는데 RAID를 지원하지 않는 서버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가장 고장나기 쉬운게 HDD인데도 말이죠.핫스왑베이도 필수 (HDD고장나면 서버끄고 HDD교체할껀 아니잖아요.) .
약간 비싸더라도 DB서버는 전원 2개짜리로 삽니다.
최근에 구매한 mysql서버경우 DB파일용량은 6기가에 샌드브릿지 6코어 1cpu 제온, RAM 16GB(DDR2에 비해 DDR3 ECC,REG는 가격이 엄청 싸더라구요 ), hdd 2개로 RAID1 ,듀얼파워였습니다. IBM같은 벤더제품은 아니였구요.
-
취리히도 꽤나 괜찮은 선택입니다.
가격대도 저렴할뿐더러 보드포함 30 가량이면 ECC까지 지원하는 가격대성능비 괜찮은 서버가 탄생하죠.
불도져 기반이긴 하지만 TDP도 상당히 준수한편이더군요.
단지 캐쉬메모리를 줄인덗에 게임용도론 안되지만 말입니다.
총알이 조금 걸리신다면 취리히도 상당히 좋습니다. HDD, UPS쪽에 투자를 해도 제온 서버 대비 60% 정도 가격이면 되니까요.
-
고생하시는 것 같아서 조금 적어봅니다.
서버의 견적이나, PC의 견적이나 다를 바는 없습니다. 다만 조금 더 생각해보셔야 할 일들이 있는데... 이는 확장성과 비용입니다.
확장성은 아시는 대로의 확장성입니다.
메모리의 밴드위스를 최대로 하면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메모리의 양보다는 살짝 많게 조합하는 것은 어떻게?
메모리 타입은 어떻게? (RDIMM? UDIMM?), 저장장치 확장은 어떻게? 나중에 DAS 붙일껀가? 아니면 이 안에서 확장 가능?
비용이라는 것은 이 장비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비용입니다.
IDC의 코로케이션비용.. 이런 걸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비를 운영하다가 Part가 고장난다거나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HDD 1개 고장난 거라면 1개의 여분 HDD를 사서 서버 근처에 놓고 바로 교체하고 RMA 처리한다. 라던가. (이러면 서버 구입 비용에 HDD 1개가 더 들어가겠죠.) 라던가.. NIC가 나간다면 이에 대한 처리는? 역시 어떻게 할 것인가? SLA까지는 아니더라도 해당 서버가 고장났을 때 얼마만큼의 시간 내로 고쳐놓을 것인가?에 대한 계획 (빨리 고쳐야 할 수록 비용이 올라가겠죠.)
SW라이센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의 DB Instance의 비용은 그 계약서가 매우 복잡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못 해도 2년정도마다 갱신되고 있습니다. (크게 크게 변합니다.) 그에서 운영할 SW에 대한 것도 공부하셔야 합니다.
사실 서버 견적 내와라. 라고 툭 시키는 것이라면 죄송한 말씀이지만 아직은 작은 회사일 것이고...
위의 것들에 경험이 없거나 신경쓸 여유가 없는 형국이라.. 뭐라 말씀드리긴 그렇지만 차분하게 준비를 해야 합니다.
경험상. 그 서버를 견적내고 조립(?)하고 운영하는 순간.. 그 모든 일이 Lock3rz 님의 것이 될 테니깐요.
사실 그 위에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돌릴 것인가? 에 대한 것까지 다 알고 있고.. 개발에 대한 스펙도 다 알고 있어야
제대로 된 서버 사이징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수준이 되면 그 런걸 따지는 규모의 회사에 다니겠지요. (일반적으로는요.)
어릴 때 저도 고생해서 마음이 움직이네요. 화이팅입니다.
추천:1 댓글의 댓글
-
장문의 답변까지... 감사합니다.
-
김강욱
07.24 17:46
대략 400 선일 것 같구요.
디스크는 무조건 SSD 로 가세요.
램 빵빵, 씨퓨 빵빵이 장땡입니다.
리눅스면 돈도 안 들고 좋겠네요.
월 유지비는 상면비는 20 만원 안짝일거예요.
쉐어드면 트래픽은 10메가에 몇 만원 안 할 거구요.
데디케이트면 좀 많이 올라가겄쥬.
가비아나 한비로 같은 데서 뒤지시면 됩니다.
서버 사양도 이런 데서 나오는 스펙 사세요. 그게 편합니다.
직접 운영하실거면 KIDC 뒤지시구유~
-
해색주
07.25 09:27
보통 어느 정도 규모 이상 기업의 경우 SIT(개발자용)/UAT(사용자테스트용)/Production(실제 서비스)/Backup(Production서버 장애시 서비스대용)으로 서버를 구분합니다. 혹시 Production용만 사신다면, Logical로 분할해서 SIT/Production으로 구분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추천:1 댓글의 댓글
-
처음 하시는거라면, DB서버 + 이외 서버로 나누는것을 더 추천해드려요. I/O 몰리는 현상이나, 그냥 눈으로 보기에는 이해할수 없는 현상이 많이 줄어들어요.
서버 사이드에서 어떤 것을 처리하는지,
어느 정도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지
적어도 서비스의 종류라도 견적을 내주셔야 가능할 듯 합니다.
한 예로, 서울버스 아이폰용 앱이 사용자 100만명 단계까지
1세대 i5 모바일 버전 노트북으로 서버를 돌렸습니다.
(실제 유주완군이 그러더군요. 물론 너무 느려지고 노트북에 부담이 가서 그 이후에는 새로 맞췄다고 합니다.)
자세한 용도를 알면 KPUG에 계시는 고수분들이 도움을 주시기에 편할 듯 합니다~
아, 그리고 호스팅 업체나 IDC에 보면 견적짜기 비슷한 것이 있으니깐 한 번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