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뷰어 사용기(사진있어요)
2012.09.03 23:13
이번 프로그램 소개는 팀뷰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팀뷰어는 원격 조정 프로그램중 가장 편리하면서 관리가 편한 프리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상업적 목적에 경우 유로 전환을 해야 합니다.
설치시 개인적 비상업적 목정 이라 채크 하시면 무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주소:http://www.spartastory.wo.tc/admin/entry/post/
사실상 팀뷰어를 사용하는 이유중 하나는 보안상 외부 접속에 민감한 원격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이 불편합니다.
하지만 팀뷰어는 완벽한 사용이 가능합니다.(일부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이 불편 하기는 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로 사용이 가능하기 떄문에 외부에서 접속이 편리합니다.
(즉 서버 원격 관리 또는 특수 컴퓨터 관리가 쉬워집니다.)
설치법:http://worldutility.tistory.com/73
설치법 같은경우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되리라 설명합니다.
라이센스 는 설치시 개인으로 설치 하실경우 평생 무료 사용이 가능 하십니다.
저위 사진은 제가 실제로 관리하는 사진입니다.
한 계정으로 여러 컴퓨터에 설치시 저리 목록이 떠 사용이 가능 합니다.
미리 설정 해놓은 컴퓨터입니다.
각 컴퓨터당 비밀번호 (접속 비밀번호) 설정을 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위 사진은 동시 접속 사진입니다.
1대1 방식이 아니라 1대 다수의 연결이 가능합니다.
사살 이 팀뷰어의 가장큰 장점은 WOL 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WOL 같은경우 메인보드나 공유기가 그 기능을 지원하는 기능을 가져야 합니다.
저같은 겨우 지원 하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 하거나 공유기 문제상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만
WOL 설정후 사용 하신다면 on/off 사용이 가능하십니다.
접속후 사진입니다 (다만 영상 까지는 좋은거 같지만 소리가 안들립니다!....이런)(
위 사진처럼 로그 오프가 되어있거나 다른 계정이 있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점은 인터넷 환경이나 사양을 조금 탄다는것외 소리 정도입니다.
장점이라면 무료 사용과 어플로 인하여 멀리서도 관리가 가능하며 컴퓨터 원격시 다양한 기능 제공등을 하고있다는 점입니다.
코멘트 6
-
WOL 기능이 wake up on lan 을 말씀하신 건가요? 그 설정이 어디에 있죠? Incoming LAN connections를 말씀하신 거면 이건 다른 기능인데요.
-
전자 입니다 아마 WOL 기능은 바이오스 설정과 공유기 설정으로 해주는것으로 알고 있어요 저는 보드가 지원하지 않아 설정 시도도 하지 않았습니다.
-
다시 읽어보니 TeamViewer에 WOL 기능이 있는게 아니군요. 이걸 TeamViewer의 장점이라고 하시면 안될 듯.
-
몰라요
09.06 12:03
그러고 보니, 원래 너무 느려서 문제였는데, 요즘에는 좀 더 빨라졌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
맑은하늘
09.07 10:41
글, 감사드립니다.
캐나다 거래처가, 설치하라고 해서, 사용해 봤습니다.
스마트폰용 앱도 있더군요.
TeamViewer는 S/W 자체는 참 괜찮은 것 같은데,
회사에서 나 혼자 쓰고 싶을 때는 라이선스 정책 상으로 비용이 너무 세서 못쓰겠더군요.
어차피 회사에서 삼성SDS의 맥시전트 에스코트를 도입하면서 TeamViewer의 구동 자체가 원천 차단되었습니다만...;
(삼성 그룹/계열사는 대부분 마찬가지일 듯)
그래서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1 Host당 가격 정책을 갖고 있는 알서포트의 리모트뷰 서비스를 씁니다.
(알집하고 관계 없습니다. -_- 거긴 "이스트 소프트"구요...)
1 Host당 연간 2만 7천 5백원(부가세 포함)이라 딱히 크게 부담스럽지도 않구요. 관리대상 호스트가 5대라 합치면 좀 부담스럽지만;;
이것도 인텔 vPro를 써서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긴 한데, 써 본적은 없군요.
어차피 WOL도 방화벽 뒤에 있으면 별 쓸모가 없고...
방화벽 뒤에 있는게 아니면 그냥 UltraVNC 하나 깔아서 DDNS랑 같이 쓰면 돈도 안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