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이의 인내심 수양 리뷰 7탄 - Teclast P76e #1 외관 및 성능
2012.11.29 20:32
0. 들어가며
The New iPad로 인해서 촉발된 Retina급 디스플레이 경쟁은 중국산 태블릿의 듀얼코어로의 이행을 촉진시켰습니다. 높아진 해상도로 인해서 더 많은 연산능력이 필요로 하였기 때문입니다. 중국산 듀얼코어의 쌍두마차 중 하나였던 AMLogic 8726-MX가 Jelly Bean으로 이행과 Bug fix가 늦어지는 동안에 Rockchip 社의 듀얼코어인 RK3066이 무서운 속도로 치고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Retina 디스플레이 탑재 중국산 태블릿은 모두 RK3066을 탑재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 Rockchip 社의 공식 파트너 중 하나인 Teclast 社 또한 적극적으로 RK3066을 채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Cube 社 나 Vido 社 (前 Yuandao 社) 처럼 Retina Display를 탑재한 제품은 선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RK3066이 들어간 7인치, 8인치 보급형 기기들을 주로 생산하며 듀얼코어가 들어간 제품들의 사실상 마지노선이었던 499 위안을 무너트리며, 매우 공격적으로 가격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리뷰할 Teclast P76e는 그런 Teclast의 마케팅 전략의 선봉에 서 있다고 평가할만한 제품입니다.
1. 박스구성품과 외관 및 마감
- 구성품 & 단가절감의 노력
먼저 성야무인님께서 SPOT 리뷰에서도 언급하셨듯이, 본 제품은 Teclast 社의 7 inch 태블릿의 공용 박스에서 담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제품과의 차이점은 스티커를 이용해서 나타나도록 했습니다.
제품의 제원 또한 스티커로 붙여놨습니다. 1원이라도 아끼고 싶었나 봅니다.
하지만 내부의 포장 자체는 괜찮게 되어 있습니다.
케이스에 딱 맞게 태블릿이 들어가고, 그 위에 완충재를 넣어놨기 때문에 운송 중에 박스의 상부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태블릿이 고장 난 상태로 오는 일은 없을 듯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이 태블릿의 내부 구성물 전부입니다.
예, 정말로 “전부”입니다. 오른쪽의 Micro-usb 케이블을 제외하곤 사실상 쓸모 없는 것들입니다. 왼쪽에 있는 설명서는 Teclast 社 기기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P76e와는 맞지도 않은 내용이 많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내용이 내장된 중국앱들 (QQ나 Teclast App Store 등)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실정에는 필요가 없습니다. A/S 보낼 때 QC 합격증이나 보증서가 있으면 좋겠지만, 어짜피 왕복 배송료 + 기다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새로 사는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외관과 마감
중국산 태블릿답게 베젤이 매우 시원시원(?)합니다.
베젤이 거의 없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도 계시는데, 개인적으로 저는 손이 큰 편이어서 베젤이 없으면 항상 잡다가 화면을 터치하게 되어서 베젤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두께는 요즈음 나오는 7인치 태블릿들 보다는 두껍습니다.
대략 갤럭시탭7 정도의 두께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입니다.
특이하게 이 태블릿은 세로를 기준으로 각종 정보들이 프린팅이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중국산 태블릿들은 가로를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후면의 상단에는 스피커 홀이 두 개가 나있습니다. "스테레오 채널 스피커인가?"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싱글 채널입니다. 저 중에서 왼쪽에서만 스피커 유닛이 있습니다. 아, 물론 소리는 양쪽 구멍에서 다 나옵니다.
마감은 유니바디와 매몰식 액정을 채택하지 않으면 아무리 대기업에서 나온 태블릿이라도 어느 정도 유격이 있기 마련입니다. Teclast P76e는 플라스틱 케이싱으로 상판과 하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단차가 심하게 있거나 결합부가 조악해서 누를 때 삐걱거린다든지 하는 부분은 없었습니다. 다만 단차부분에 아래의 사진처럼 먼지가 들어갈 우려는 있어 보입니다.
- 버튼
ICS 이후 물리버튼을 최대한 삭제하고 이를 소프트웨어 버튼으로 대체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ICS부터 하단에 소프트키가 생겼고 그에 따라 물리버튼을 상당히 간소화하게 되었습니다. 이 태블릿의 버튼은 총 4개로서, 뒤로가기/메뉴/홈/전원 버튼입니다.
이 중에서 뒤로가기 버튼과 메뉴 버튼은 꾹 누를 경우 각각 볼륨 업과 볼륨 다운 버튼으로도 동작합니다. 분명히 저처럼 버튼을 선호하는 분들은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ICS의 기본 캡처 버튼 조합인 전원버튼 + 볼륨 다운 버튼을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힘듭니다. 캡쳐를 하려고 하면 자꾸 메뉴가 뜨거나 전원을 끄겠냐는 창이 뜹니다. 그리고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서 꾹 누르다가 원래의 버튼인 뒤로가기가 실행되거나 메뉴가 호출되기도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단의 상태바에 볼륨 업/다운이 있으므로 그걸 통해서 조절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 스펙과 외형
- 스펙
스펙을 간단히 표로 정리 해보았습니다.
CPU | Cortex A9 Dual Core RK3066 (252 ~ 1608Mhz) |
GPU | Mali-400 MP4 |
RAM | DDR3 1GB |
Screen | 7in TN Screen 800*480 G +G Capacitive Touch Panel 5 points |
Sensor | 3-axis Accelerometer Gyroscope Sensor |
O/S | Android 4.1.1 Jellybean (release date : 2012-10-22) |
Camera | Front - 0.3MP (640 * 480) |
WiFi | IEEE 802.11 b/g/n |
NAND Flash | 8GB |
Weight | 336g |
External Port | Micro-USB Port Micro SD Slot 3.5mm Stereo Plug Internal MIC |
Hardware Button | Power Button Home Button Menu (Volume -) Button Back (Volume +) Button |
Size | 122 * 200 * 10.6 mm |
Speaker | Single Channel |
Battery / Recharging | 3000mAh 5V 1.5A Micro-USB Port |
스펙 자체는 여타 7인치 태블릿과 다를 바 없습니다. Android System Info 상으로는 Dyna Image Corporation에서 만든 AL3006이라는 조도/근접센서가 있다고 하는데, 작동하지는 않았습니다.
5점 정전식 터치입니다.
Screen 항목에 있는 G +G Touch Panel 이라는 것은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윈도우와 ITO 터치센서패널을 모두 유리(Glass)로 만든 것입니다. 이것은 커버윈도우를 PET소재로 만든 G +P 형식의 터치패널보다 빛투과율이 높고 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께가 두꺼워지고, 그에 따라 무게가 늘어나는 것이 단점입니다. 게다가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고급형 제품에서 주로 탑재하는 방식입니다.
(감전식 터치패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www.displaybank.com/_kor/research/markettrack_view.html?id=5900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무게
패키지의 무게가 709g, 본체만의 무게가 336g입니다.
이정도 무게면 중국산 7인치 태블릿의 표준적인 무게라고 생각됩니다. 무게가 상당히 잘 배분되어 있어서 한 손으로 잡아서 쓰기도 적당하고, 배젤 또한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서 잡기도 편합니다.
- 안정화 여부
중국산 태블릿은 O/S의 버전업은 상당히 신속하게 해주는 편이나, 그에 따라 안정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Onda 社의 v711은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기괴한 현상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P76e는 걱정하실 필요가 없으실 것 같습니다. 안정화가 상당히 잘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안정화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애초부터 켜지지 않거나 시스템 프레임워크 자체가 죽어버리는 큰 문제서부터 Google Play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는 중에, 다른 앱들을 검색한 후 대기열에 넣어둘 때 Google Play가 죽어버리는 소소한 문제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그런 큰 문제도 없을뿐더러, 1.4GB 용량의 아스팔트7을 다운로드 받게 해놓은 상태에서 대기열에 10 여 개의 앱을 다운로드 받도록 배치했지만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검색시 프레임 드랍도 거의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정도면 충분히 대기업에서 나온 태블릿 못지않은 정도의 안정성을 보여준다고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3. 각종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 Antutu Benchmark
RAM | 1354 |
CPU 연산 (정수) | 2284 |
CPU 연산 (소수점) | 1497 |
2D 그래픽 | 310 |
3D 그래픽 | 1310 |
데이터베이스 I/O | 555 |
SD 카드 쓰기 | 25 (2.5MB/S) |
SD 카드 읽기 | 205 (>50MB/S) |
총점 | 7540 |
- Nena Mark 1 / 2
Nena Mark 1 | Nena Mark 2 |
62.8fps | 58.7fps |
이정도의 수치는 Galaxy S2 와 비등한 수치이며, Tansformer Prime 보다 2~3fps 이상 더 높은 것입니다. 특이한 것은 동일한 Mali-400 MP4가 사용된 Galaxy S2는 GPU 클럭이 266Mhz으로 되어 있고, P76의 GPU 클럭은 250Mhz로 설정 되어 있는데 후자가 성능이 더 뛰어나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아마 Jelly Bean이 올라가서 좀 더 최적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Galaxy S2의 경우 벤치마크의 참고 결과가 ICS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 Antutu 3D Rating Benchmark
Antutu에서 근래에 출시된 GPU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기존의 벤치마크와 동일하게 제품의 해상도에 맞추어 벤치마크를 하는 기능이 있고, 1024*2048의 해상도로 고정하여 벤치마크를 진행하여서 기기별 편차를 없애기 위해 도입된 Off Screen 벤치마크를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테스트 종류 | Normal Benchmark | Off Screen Benchmark |
해상도 | 480 * 764 | 1024 * 2048 |
평균 FPS | 16.4 | 6.7 |
최대 FPS | 22.2 | 8.3 |
총점 | 4456 | 2106 |
비교를 위해 다른 기기들의 해당 벤치마크 결과도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기기명 | Normal Benchmark 점수 | Off Screen Benchmark 점수 |
Galaxy S3 | 6922 | 2338 |
Nexus S | 3992 | 1890 |
Galaxy Note 2 | 4210 | 2455 |
Galaxy S2 | 2894 | 2130 |
아직 출시된 지 한 달도 되지 않은 벤치마크 프로그램이어서 데이터가 많이 부족하고
신뢰성 또한 떨어져 보입니다. 추후 정보가 더 누적되면 조금 더 믿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줄 것 같습니다.
- Vellamo Benchmark
HTML 5 : 1656
이 점수는 Galaxy S3 Internation Version (Exynos 4412) 4.0.4의 1580점, HTC One X (Tegra 3) 4.0.4의 1625점 보다 높은 점수입니다.
METAL : 507
이 점수는 Galaxy S3 Internation Version (Exynos 4412) 4.0.4의 537점, HTC One X (Tegra 3) 4.0.4의 613점 보다는 낮은 점수입니다. 하지만 Galaxy Nexus 4.1.1의 395점, Galaxy S2 (Exynos 4210) 4.0.3의 391점보다는 월등히 높은 점수입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비교 대상들은 Vellamo의 Archive에 저장되어 있는 점수이므로 실제 기기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Million / Billion Counter
이름 그대로 0부터 100만 / 10억까지 세는 벤치마크입니다. 총 5회씩 실험해서 가장 계산이 빨리 끝난 시간과, 가장 오래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1 Million | 1 Billion |
0.05 ~ 0.06 초 | 27.4 ~ 28.9 초 |
- WiFi 통신 속도 테스트 및 WiFi 수신율 테스트
제가 가지고 있는 기기들을 이용해서 IEEE 802.11n 통신을 지원하는 Netween C940i 공유기에서 1m 가량 떨어진 지점에서 WiFi 통신 속도를 테스트 했습니다.
기기명 | SKY Vega Racer2 | Teclast P76e |
링크 속도 | 58 Mbps | 150 Mbps |
지연시간 | 12.6 ms | 13.1 ms |
다운로드 | 33.6 Mbps | 43.7 Mbps |
업로드 | 3.12 Mbps | 2.92 Mbps |
WiFi Analyzer로 WiFi 수신율을 체크한 결과 속도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Vega Racer 보다 더 뛰어난 수신율을 자랑했습니다.
- Antutu Battery Tester
대부분의 7인치 태블릿이 크기의 한계 때문에 Antutu Battery Test 점수가 500점을 넘지 못합니다. 하지만 Teclast P76e는 519점이라는 경이로운 점수를 보여줬습니다.
WiFi On, 최대 밝기의 상태에서 오후 9시 26분에 점검을 시작해서 12시 19분에 테스트를 종료하고 18%가 남았습니다. 배터리가 감소하는 그래프 또한 기울기가 일정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PMU의 전원관리능력 또한 뛰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기울기가 급한 것은 최대 밝기 상태와 WiFi On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지나치게 결과 값이 높게 나오는 것이 이상하여 테스트를 두 번 더 시행 해보았습니다. 2번째는 551점, 3번째에는 525점이 나왔습니다. 이로 미루어볼 때, 확실히 본 태블릿은 전원 관리가 잘 되는 편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밝기를 조금 조정하고, WiFi 통신을 통제한다면 충분히 3시간 반 ~ 4시간 이상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부에서는 어플 호환성, 스크린 성능, 동영상 구동능력을 테스트할 예정입니다. ^^
코멘트 16
-
purity
11.29 22:03
멋진 리뷰 잘 보았습니다. 관심있게 보고 있는 기기인지라 더욱 정독했습니다. -
낙랑이
11.29 22:38
2부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
방구왕
11.29 22:28
질문이 있습니다.
"따라서 밝기를 조금 조정하고, WiFi 통신을 통제한다면 충분히 3시간 반 ~ 4시간 이상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라고 하셨는데, 듀얼의 경우 완충 상태에서 3~4시간 이상 사용 한다면 정상적인 배터리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까?
현재 P85HD 사용 중인데, 배터리에 대해 늘 궁금증이 남습니다.
-
낙랑이
11.29 22:35
제가 정상/비정상을 판단할 깜냥은 아닌 듯 합니다. 이쪽 분야의 전문가도 아닐 뿐더러 전문 계측 기기도 없구요.
사실상 배터리가 정상이다 아니다라는 것을 배터리 러닝 타임을 기준으로 말하는 것도 애매모하구요.
이 제품에는 3000mAh의 배터리가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항상 밝기를 100%에 WiFi On 상태로 씁니다.
제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인 Snapdragon S4 1.5Ghz + IPS 4.8 inch + 2100mAh 휴대폰을 밝기 100%에 4G LTE 상태로 사용하면 사실상 5시간 연속 사용하긴 힘듭니다.
그런 측면에서 3000mAh의 배터리가 들어간 RK3066 1.6Ghz + TN 7 inch + 3000mAh + WiFi + 100% 밝기 상태로 연속 4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태블릿은 항상 통신상태에 있는 경우가 적으니까요.
-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어요 @.@;
PS
안투투 점수가 500점대로 나와도 3~4시간 이용가능이라니... 안투투 배터리 테스트 점수의 산출방법이 궁금해지네요.300~400점대가 나오는 태블릿들도 밝기 최대, WiFi항시 On으로 3~4시간 가더라구요...
-
낙랑이
11.29 22:37
저도 그게 궁금합니다. 아마 배터리의 관리능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듯 합니다.
배터리 관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잘 관리하게 되면 그 이상 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Antutu 배터리 테스트의 약점은 CPU를 플로드로 돌린다는 겁니다.
작업에 따라서 CPu를 가변으로 운영하는 것 자체를 상정하지 않고 돌리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
밝기 최대, CPU 풀로드[풀클럭]은 이미 알고있습니다만,
점수 산출하는 수식이 궁금합네요...
풀로드 걸고 테스트이니 "최저" 몇시간 구동가능하다~ 라는 것을 보여주기에는 좋은 듯 합니다.
실제 체감과는 동떨어져있지만요...
-
낙랑이
11.30 09:38
Antutu Battery Test는 말그대로 배터리의 사용효율만을 점수로 나타내는 듯 합니다.
그러니깐 아무리 효율이 좋아서 일단 배터리의 양 자체가 적으면 오래 못 쓰겠지요.
좀 더 정확한 사용시간을 예측하려면, 배를 깐 다음에 배터리와 회로 사이에 멀티미터를 연결해서
단위 시간당 작업별로 전류를 사용하는 량을 알아내야겠지요. 하지만 그러면 일이 커진다는 거 ~_~
-
수고하셨습니다.
어차피 10월이후로 만들어지는 물건들의 경우
품질이 떨어지는 일은 없을겁니다. ^^;
-
낙랑이
11.29 22:38
확실히 QC가 잘 되지 않을까 합니다.
중국도 이제 서늘하니까요?!
-
방구왕
11.29 23:08
어느 분이 P85HD 배터리 테스트 혹은 배터리 정보가 정말 궁금합니다........정말로.....
-
원준예준아빠
11.30 03:32
안투투 점수가 참으로 복잡해지는것 같습니다.
버전에 따라 너무나 큰 차이를 보이니까 말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pipo u1이 2.9.x에서는 7700대 점수를 보이다 어제 다시 테스트를 해 보니까 11000대의 점수가 나오네요
전체적으로 점수대가 많이 올라간것 같습니다.
저도 다른분들처럼 안투투 베터리 점수에 대해서 엄청 궁금한것이 제 기기가 안투투 베터리가 361정도 나오는데
비디오를 풀로 돌렸을때 (와이파이 킨상태에서) 3시간 40정도 되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500점 정도 나오면 최소 4시간 이상일줄 알았는데
잘 읽고 갑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낙랑이
11.30 09:27
저는 2.9.4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3.x 버전에서는 성야무인님께서 태블릿당에 글을 써주셨듯이 점수 인플레이션이 보이는 듯 하구요. -
피버란
11.30 10:37
수고하셨습니다.
안투투 배터리 테스트를 지켜본 적이 있는데 100%를 시작으로 27%가 빠질 때마다의 시간을 총 세 번 체크해서 점수를 내는 방식이더라고요.
그래서 100%에서는 빠르게 빠지지만 점점 느리게 빠지는 momo8같은 기기는 낮은 점수가 나오는 반면에 100%에서 느리게 빠지는 기기들은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더라고요.
-
제로데이
01.28 12:45
잘 봤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
1159 | Dell Inspiron 7620 2 in 1 사용 소감 | matsal | 04.25 | 33 |
1158 |
중국제 블루투스 전력측정기
[1]
![]() | matsal | 07.31 | 310 |
1157 | 물 안쓰는 세차 키트 | 왕초보 | 12.03 | 447 |
1156 |
안드로이드 전용 블루투스 트래커. 치폴로 원 포인트 추천
[2]
![]() | 스노우캣 | 10.25 | 451 |
1155 |
블루투스 USB 동글 개선된 안테나
![]() | matsal | 08.18 | 467 |
1154 |
Wifi + BT 합쳐진 초미니 USB 동글
[3]
![]() | matsal | 09.19 | 497 |
1153 |
중국제 허접 CDP 사용기
[3]
![]() | matsal | 04.07 | 510 |
1152 |
옛날 오디오 2.4Ghz 트랜스미터/리시버
![]() | matsal | 12.23 | 531 |
1151 |
블루투스 체중계 길들이기
[1]
![]() | matsal | 08.25 | 534 |
1150 |
rx 470 사용기?
[2]
![]() | 박영민 | 03.13 | 599 |
1149 | QCY MeloBuds Pro 간단 사용기 [3] | matsal | 10.29 | 604 |
1148 | 라이젠 레이븐 릿지 2200g 영상 리뷰 입니다. [4] | 스파르타 | 05.30 | 608 |
1147 | 보일러 온도 조절기 교체(대성 제품) [3] | 아람이아빠 | 12.12 | 625 |
1146 |
2만 원으로 아이폰X 고속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피플 고속 무선 충전기
[4]
![]() | 스파르타 | 04.11 | 766 |
1145 |
MDR-NWBT20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리시버 개봉기
[3]
![]() | matsal | 03.30 | 773 |
1144 | Bitdefender 와 Avast 비교 | matsal | 01.25 | 786 |
1143 |
Ugreen USB 케이블 11종 테스트
![]() | matsal | 12.26 | 793 |
1142 | BOSE Sleepbud 사용기 v2 [4] | matsal | 03.20 | 848 |
1141 |
USB cable checker 사용기
![]() | matsal | 12.11 | 881 |
1140 |
샤오미 전기면도기 W482
[2]
![]() | matsal | 10.22 | 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