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노하우


난방효율 올리는법

2013.12.25 08:40

전설의주부용사 조회:11387 추천:1

요즘 많이들 춥죠

도시 가스비는 나날히 오르고 전기 요금도 나날히 오르고-_-



저는 요즘 많이 하는 문풍지,뽁뽁이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일단 열손실이 많은 집들의 공통점은 노후 주택입니다.

그리고 많이 발생 하는것이..


창호

현관문

외벽

내벽


이순서 이겠죠.


일명 한국식 보일러는 버너로 물통의 물을 가열해서 물탱크로 물을 보관하고 그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방바닥의 매설된 파이프를 이용하여 데워주는 방식입니다.


방바닥은 따듯한데 공기는 차가운것이죠.

더군다나 침대 생활을 하는 인구가 많아 지면서 전기 장판까지 사용 많이들 하시더군요.



일단 해결책을 저도 제시를 해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창호에서 외풍이 새는 이유는 둘중 하나 입니다.


1.시공이 잘못되었다( 괜히 창호 기술이 배우는게 쉬우면서 어려운게 이것 입니다. 더군다나 단가 후려 치기 때문에 일당 따먹기식으로 변하면서 빨리 많이 시공을 해야 이윤이 남죠 덕분에 개판 오분전으로 되는 겁니다)- 저는 여기에 해당 됩니다


2.노후 되었다



일명 노가다 전문 용어로 개털 이라고 합니다.

창틀에 보시면 샤시에 털이 달려 있죠 이것을 개털 이라고도 합니다.

철물점에가서 이야기 하신후 구매후 창호에 겹대서 붙여주세요(양면테이프 발라져 있는걸로 사십쇼-_-)

오히려 문풍지 보다 지저분 하지도 않고 외풍도 줄어 듭니다.


노후 창호 특히 2중창이 아닌 경우 플라스틱 소재의 하이샤시로 교채 하셔야 합니다. 돈이 많이 들죠-_-



현관문에도 붙여 주세요 지저분 하지 않습니다.

현관문에서 새는것도 시공 불량 입니다-_-



저는 절대 뽁뽁이 추천 하지않습니다.


하면 안되는 이유


얻는것 보다 잃는게 더 많습니다.

채광을 손해를 보면서 더군다나 내부에 수증기가 생기면서 벽지가 젖어서 색이 누래지거나 곰팡이 생깁니다.

차라리 관리하기 어렵더라도 커튼을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난방은 자는 방만 트는게 아닙니다.

몇 만원 더 투자 하세요

내부에 수증기 생기면서 벽지 다 상합니다

그리고 방 하나만 틀어 놓으면 내벽에서 열 뺕겨서 그게 그거에요





일반적으로 가정집에 있는 순간식 가스 보일러의 수명은 10년 이상이나 실제 기기적으로 성능을 효율적으로 발휘 할수 있는 수명은 4-6년에 불과 합니다.

보일러의 가격은 천차만별이나 끽해봐야 50만원 수준이면 교체가 가능합니다.(단가 때문에 저가형들은 중국산 부품을 쓰기 시작 하면서 수명이 더 줄었습니다-_-;;;)


왜 주기적 으로 교채 하여야 하는가?


난방 효율이 7년이상 지난 녀석들은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순환펌프의 노후화로 재대로 가동 되지 않으며 제일 중요한 버너가 내부에 불순물인 슬러지 때문에 밥값을 못합니다. 보일러 내부 열배출에도 차이가 있지요

기름 보일러는 분해하서 청소라도 가능한데 가스 보일러는 손 안대는게 이롭습니다-_-










가장 좋은 방법은 노후창호와 보일러 교체가 제일 좋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비용 때문에 엄두도 못내는점이 많을것이라 사료 됩니다.

최소한의 투자로 난방비를 줄이는것과 따뜻하게 지내는것이 참 좋을것이죠.



노후 주택이고 자가주택이 아니거나 투자할가치가없다면 오만가지 방법을 투입하는게 좋겠지요

70-80년중반이전 건축물 같은경우 답이 없습니다. 나무 창호나 알루미늄 재질의 이중창이 아닌 경우도 많지요

이런 주택의 경우 도배 하실 기회가되면 내벽에 두깨 0.5mm 단위의 단연재가 들어간 단열 벽지가 있습니다 가격은 일반 벽지보다 가격이 좀 나가는편이며 벽지가 약합니다.(제가 그냥 좀 도와 주고 싶은분들 그냥 친구들 이랑 해드리고 다녔습니다 벽지 가격은 인건비에 절반수준입니다.)

장판을 드러내고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그위에 2.5mm 가량의 스티로폼 소재의 단열재를 장판 안쪽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후 장판을 잘 정리해서 붙입니다.



끝으로 제가 알기로는 일반 평범한 가정집에서 보조 난방 수단인 전기 스토브,전기 장판,온수 장판 이런류 실제로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편입니다


방바닥 뜨겁게 데우기 보단 적당한 난방온도(실내 20도에서 22도를 유지하세요)와 내복과 스웨터나 걸치는 담요를 이용 하시고 따뜻한 물을 많이 드시고 적당한 움직임으로 신진대사를 높이세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0 심심해서 올려보는, 무선랜 감도 증가시키기 [6] file 불량토끼 06.17 7082
99 제일 쉬운 과자만들기 [8] 영진 05.15 7084
98 집 복도를 이용한 에어컨 셰어링 [3] file matsal 08.19 7155
97 아두이노(ESP8266)에서 돌아가는 텔레그램봇 [4] 건설노무자 01.19 7158
96 스팸전화 짜증나시죠? [10] 영진 04.27 7176
95 구글 캘린더로 핸드폰과 연계하여 일정 관리하기 [7] Freedom^^ 03.03 7195
94 라스베가스 - 2가지 쇼 간략 설명 (O쇼 vs ka쇼) [5] SON 03.03 7314
93 The NAS Maker 2(3) - 비싼 홈 서버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19] iris 03.05 7460
92 겨울철 보일러 관리 요령 [4] 준용군 02.03 7469
91 AutoCAD 화면이 느릴때(zoom, pan 명령등) 대처방법 미케니컬 02.10 7497
90 한 줄 노하우? 디카로 동영상이 길게 저장되지 않을 때... [4] 휴911 08.18 7544
89 ubuntu에서 로지텍 마블 마우스 (트랙볼) 스크롤 설정하기 file 건설노무자 02.06 7691
88 적금 풍차돌리기로 보험료 할인 받기... [4] yohan666 07.02 7708
87 자녀 폰 사용이나 위치체크할 때 무료앱 [1] 메이플 12.17 7734
86 산신령님보다 대충, 하지만 살짝 빨리하는 차량 셀프세차법 [15] file iris 07.09 7742
85 윈도7 자동으로 슬립모드/복귀하기 matsal 07.06 7761
84 HDMI 디비파기 -- 질문 받아요 왕초보 05.14 7779
83 가장 저렴하게 스키장 당일치기 가기 팁 (비발디파크) [2] Freedom^^ 03.13 7812
82 토렌토 막힌 ISP 뚫는 법 [4] 파리 09.16 7895
81 (자작) 버리는 컴퓨터를 이용한 벤치 파워써플라이 [10] file 건설노무자 04.09 7975

오늘:
467
어제:
727
전체:
15,224,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