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서브프레임 얼라이먼트 장착했습니다.
2014.03.26 02:35
요즈음 자동차 섀시랑 하체는 서브프레임이라는 구조물로 연결 되어있습니다.
보통 토션빔 쓰는 소형차는 전륜쪽에만, 멀티링크 쓰는 중형차 이상은 전후륜에 다 쓰입니다.
이 서브 프레임엔 전봇대용 대못 같은 굵은 나사가 박히는데,
이게 꽤나 유격이 많습니다.
윗 사진을 보시면 나사가 센터가 아닌 위치에 치우쳐 있죠.
저걸 두번째 사진처럼알루미늄 부싱으로 유격을 메워 잡스런 거동을 방지하면서, 저 나사를 센터에 오게 하는게 서브프레임 얼라이먼트입니다.
(사실 일본에서 한참 전에 유행했던...그거죠)
보기에는 정말 별거 아닌데, 효과는 기가 막힙니다.
발에 안 맞는 큰 운동화 신고 뛰다가,
양말 겨워 신어서 발에 맞춘 느낌이랄까요.
하체가 제멋대로 노는 느낌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또 휠 얼라이먼트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니,
얼라이 보실때 다 되어 가시는 분은 장착해보시길 권합니다.
보통 토션빔 쓰는 소형차는 전륜쪽에만, 멀티링크 쓰는 중형차 이상은 전후륜에 다 쓰입니다.
이 서브 프레임엔 전봇대용 대못 같은 굵은 나사가 박히는데,
이게 꽤나 유격이 많습니다.
윗 사진을 보시면 나사가 센터가 아닌 위치에 치우쳐 있죠.
저걸 두번째 사진처럼알루미늄 부싱으로 유격을 메워 잡스런 거동을 방지하면서, 저 나사를 센터에 오게 하는게 서브프레임 얼라이먼트입니다.
(사실 일본에서 한참 전에 유행했던...그거죠)
보기에는 정말 별거 아닌데, 효과는 기가 막힙니다.
발에 안 맞는 큰 운동화 신고 뛰다가,
양말 겨워 신어서 발에 맞춘 느낌이랄까요.
하체가 제멋대로 노는 느낌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또 휠 얼라이먼트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니,
얼라이 보실때 다 되어 가시는 분은 장착해보시길 권합니다.
코멘트 11
-
퍼플레인
03.26 06:01
이런건 어디서 구입하나요? 제차는 구형투싼입니다 -
뿌뿌아빠
03.26 08:13
오... 축하드려요~! -
http://mobile.auction.co.kr/Item/ViewItem.aspx?Itemno=A641807649
http://per.auction.co.kr/recommend/recommendbridge.aspx?itemno=A771322868
검색하니 몇개 나오네요.
위에 업체는 앞4 뒤4인듯 하고,
뒤 업체는 앞2 뒤4이나 재질이 황동틱? 하네요.
저라면 갯수 많은 것 하겠습니다.
꼭 구매하시기 전에 판매자에게 차종과 몇개짜린지 문의 해보세요.
그리고 즉석에서 실측 후 가공하여 장착하는 업체도 있는데...가격이 좀 쌔더군요.
하체에 수백만원 이상 쓴 사람들도 기가 막혀합니다.
특히나 승차감을 해치지 않는 탄탄함이라서 보통의 오너 드라이버에게도 충분히 추천할 만한 아이템이라 올려봅니다. -
퍼플레인
03.26 09:05
아. 멤버부싱 강화부시네요. 부싱 고무가 경화되면 고무가는게 더 좋습니다 -
우레탄 통부싱도 생각중입니다만, 아직은 짱짱합니다.
현재는 서브프라임 얼라이먼트 부싱 박고,
사진에 보이는 뒷 멤버에는 추가로 알루미늄 멤버 부싱 박았습니다.
2개의 시너지는...작살 납니다.
문제는 2가지 다하면 잡소리가 나네요 ㅜㅡㅜ -
수빈아빠처리짱
03.26 12:42
보통 멤버부싱이라고 하는데, 개당 5천원이 구입한 적이 있습니다. 제차는 2개 들어갔음.
차종에 따라 다르다고 갯수가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
DoNotDisturb
03.26 15:46
저것이 유격인지 설계인지는 개발사만이 알고 있습니다.
저 부분을 메워서 승차감에 향상을 가져오더라도, 풍선효과가 되어 프레임 특정부분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저 부분이 설계가 아닌 진짜 유격이라면,
아주 적은 비용을 들여 출고시부터 유격을 잡아 나오면
차량 주행성능에 적은 비용을 들이고 큰 개선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체는 그러지 않습니다.
저는 저 부분을 설계라 보고, 따라서 장기적으로 프레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서 추천하지 않는 편입니다. -
왕초보
03.26 15:52
부싱은 정상적으로 들어가는 부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렇게 유격이 생기는 것이 부싱에 문제가 생겨서 일어나는 문제라면 순정 부품인 부싱을 교체하는게 정석으로 보입니다.
-
http://www.autoview.co.kr/bbs/board.asp?news_section=qna&page=1&pageshow=4&idx=22980&mode=view
링크 하나 걸고 퇴근합니다.
판단은 여려분의 몫.
왕초보님, 원래 유격이 저만큼 있습니다. -
DoNotDisturb
03.26 22:21
저기서도 이렇다할 판단은 내리지 못했네요..
일본쪽에서는 프레임 충격을 이유로 요즘엔 좀 수그러든 모양새입니다.
설계자의 관점에서 역으로 생각해 보면, 저 부분을 유격없이 설계하면 그만입니다.
유격없이 설계해서 문제가 없다면, 롤링이 잡히고 드라이빙 감각이 향상되는데, 저 부분을 그대로 놓아 뒀다는 것은 유격이 필요하다는 의미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특정 브랜드 하나가 아니라 여러 브랜드에서 공통적으로 저걸 그대로 놔뒀다는 것은
설계의 일부로 보는게 타당하다는 생각입니다..
판단은 개인의 몫이겠지만... 저는 말리고 싶습니다.
건물과 교량이 그렇듯, 유격이 없는게 능사는 아닙니다.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마냥 딱딱하게 만드는 것 보다, 역설적으로 유격이 필요합니다.
-
SPOON
03.26 23:36
일명멤버부싱이라고 하는데 의외로 초기장착시의 성능은 좋아보입니다만 오래사용할수록 하체에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높아 요즘일본에서는 잘하지 않는 튜닝으로 알고있습니다 서킷주행을 위해 맴버부싱을많이하는데 이건 레이싱을위해 차체의 데미지를 감안하고 조향성능향상을위한튜닝이고 레이싱차량은 한경기후 사후관리를 할때 가능한것입니다
설계상 거의 모든 차량에 멤버에 유격을 주는데 일단 하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차체가아닌 멤버가 받게 설계하기위해 유격을 뒤는걸로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