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후후 엑셀의 한계를 뛰어넘었습니다.
2014.05.02 22:55
새로운 걸 배우느라 악전고투 끝에 결국 엑셀에서 104 만 줄의 한계를 넘는데 성공했습니다 ~_~
엑세스의 문법이 생소해서 여러가지로 고생이었습니다만 결국 가능하네요.
(1) 엑세스 파일 생성 : 테이블에 수백만개의 정보를 입력
(2) 엑셀에서 데이터 탭의 Access 를 통해 해당 엑세스 파일을 로드
(3) 파워 피봇 기능으로 데이터만 받아서 사용
이러면 데이터 자체는 엑세스 파일에 저장되고 관리되면서 동시에 엑셀에서 파워피봇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맘대로 끄집어 낼 수 있게 됩니다.
단점이라면 엑셀에서 120 MB 정도하는 100만줄 파일이 엑세스에선 300 MB 가 넘어버리네요.
용량의 압박이 거세므로 SSD 용량을 키우는 걸 고려해봐야 겠습니다.
코멘트 7
-
어둠팬더
05.02 23:00
-
SON
05.02 23:10
오 이런 방법이 있었군요
-
근데 2013 에선 Access 가 들어간 영구 사용 버전은 무려 50만원이 넘습니다.
제가 쓰고 있는 건 엑세스만 뺀 20만원짜리 홈/비즈니스....
엑세스만 10만원 주고 단품으로 살려구요 'ㅅ'
-
Access를 어느정도 공부하셨으면, 그냥 MySQL, 혹은 SQLite 를 이용하여, Access를 쓰시는 것과 비슷하게 ODBC로 연결해서 쓰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일단 두개 다 무료고, 특히 SQLite는 파일기반이라 ODBC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되구요. Access의 경우 전용 API가 32/64bit 호환성을 극악이라 개발업체에서 유지보수때문에 욕을 해대고 있고 심지어 일부 업체들은 DB 지원기능을 아예 다 제거해버리기까지 하고 있거든요. MS도 내부 DB 기능을 AccessDB에서 다른 걸로 다 교체하고 있고 점점 지원을 줄이고 있어요.
-
김강욱
05.02 23:23
MySQL 연결해서 사용가능합니다. ODBC 로 바로 불러올 수 있어요.
바로 피봇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Access 와 동일하게 불러올테니 될 듯도 합니다.
-
엑셀이 기존 DB를 불러올 수도 있군요!!!!
좋은 것 배워갑니다.
-
기존 DB를 불러올 수 있다기보단, ODBC 클라이언트 기능을 겸하고 있어요. 단, DB에 연결할수 없는 환경일 경우, 마지막에 저장된 결과만 볼수 있고 추가적인 작업은 불가능하지요. 그냥 레코드셋을 저장하는 클라이언트일 뿐이거든요.
멋지시네요!!
이걸로 저희 회사에서도 4GB되는 액세스를 엑셀로 불러와서 돌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