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량이 큰 또는 저렴한 Onedrive 또는 Dropbox 류 추천해주세요, ShareON Video은 좀....
2014.06.05 15:53
안녕하십니까? 정상호라고 합니다.
작은 회사의 무역업무를 맡게 되면서 관련 자료 관리 때문에 여쭙습니다.
목적은 사무실에서 저장한 파일을 사무실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용량이 큰 동영상 파일 같은 것은 서버에 별도로 저장해두고
문서 파일 류만 그렇게 하려고 합니다.
일단 Dropbox를 써보았는데 2GB의 용량은 금방 차버려서 추가로 계정을 만들었는데
이것을 왔다갔다하면서 쓰기도 좀 불편하네요.
Onedrive의 경우에는 MS Office와 바로 연결되고 7GB를 준다는 장점도 있기는한데
역시 7GB라는 한계가 있고 용량의 추가가 Dropbox보다 작은 것 같았고요.
ShareON Video라는 최근의 서비스는 스트리밍 기반이어서
저와 같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을 하고
나중에 동기화하려는 목적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NAS를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는 해보았는데
사무실의 인터넷 속도가 기껏해야 100M이고
외국에서의 인터넷 속도는 더 낮거나 아예 연결이 안되는 환경도 많은데
노트북과 동기화가 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이 곤란할 것 같습니다.
비슷한 질문을 드린 적이 있기는 합니다만, 결정을 못해서 다시 여쭙습니다.
필요용량은 당장은 15GB 미만이라 구글드라이브를 쓰면 당장은 괜찮습니다만,
안정성이나 확장 관련 비용은 잘 모르겠어서요.
항상 미리 감사드리며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10
-
집념
06.05 16:12
-
tomeast
06.05 19:21
중국의 바이두 클라우드 같은건 어떤가요?
평생 무료로 1T를 주던데 저도 가입은 해두었는데 뭐 그닥 이동중 다운받을일이 없어 그냥 놀리고 있는중입니다.
바이두 클라우드의 경우 토렌트와 연동이 된다고 해야되나??? 바이두 서버내 다운 받을 토렌트 파일이 존재할경우
복사해서 옮겨지는 방식이라고 들은것 같고 실제로 어떻하다 다운 받을 자료가 바이두 서버에 있는것을 찾았는데 일반적인 다운시간 절반도 안되는 시간에 제 클라우드에 다운 완료가 된적이 있었습니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더 많은 용량을 주기도....
구글링 하시면 어떤분이 동기화 프로그램을 한글화 하셔서 중국어를 몰라도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을것 같습니다.
참고해보세요...
-
tenders
06.05 20:14
+1
중국 서버에 자료를 올려둔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 없으시면 추천이요. 공짜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이것 저것 올려두고 몇달째 쓰고 있는데,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네요. -
휴911
06.05 21:34
-
hyperaesthetic
06.05 23:14
box.net 에서 저는 50 기가 줬는데 미국사용자이어서 그런가요?
기억해 보니 파일의 용량이 .5기가 미만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거 같습니다. -
휴911
06.06 09:06
그런 것 같습니다. 저는 접속해보니 10기가라고 용량이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
piloteer
06.06 14:06
box.net은 lg 스마트폰 프로모션 등으로 50기가로 올려줬던걸로 기억합니다. 지금도 하는지는 잘 모르겠군요.
-
쿠후^^
06.06 17:13
제가 보기엔 NAS가 제일 좋을듯 싶습니다.
참고로, LG전화기 쓰면 BOX에서 50기가 무료 제공해주고(단 파일 하나의 크기가 200M인가 제한이 있을겁니다.)
삼성 전화기 쓰면 드랍박스에서 50기가 무료 제공해줍니다.
-
휴911
06.06 22:35
네? 삼성전화기 쓰면 드랍박스가 50기가요?
저희 회사에서는 모두들 삼성전화기 쓰고 저희 집에서도 구입한지가 좀 되기는 했지만 다들 삼성전화기인데요,도대체 어떻게 50기가를 받는 거죠? 꼭 알려주세요~~~
-
휴911
06.06 23:15
우와... 성공했어요....
이렇게 되면 회사 전화기만 합쳐도 200GB는 확보하겠는데요? 감사, 감사합니다....
box.net 처럼 파일 당 크기 제한이 있겠죠? 얼마인지...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저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콰테말라, 멕시코 여러 지역에서 자료를 받고 업로드를 해봤지만... NAS 가 좋습니다.
1. 동기화
일단 QNAP, 시놀로지 NAS 도 지원을 합니다. 프로그램 설치하면 됩니다.(이건 다른 클라우드 시스템도 마찬가지죠)
제가 인도네시아에서 구글이나 NDRIVE 동기화를 해보긴 했지만 결국 NAS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속도가 느리다 보니 큰 용량은 언제나 실패를 하고 작은 용량은 되긴하는데 뭔가 느리고...
2. 회선 속도
유명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시면 확실히 빠르긴 합니다. 다만 그 속도가 열악한 환경에서 이용시에는 무의미하죠. 사무실도 그 정도는 나오니깐요.
3. 안정성
몇 메가~ 몇십메가 수준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NAS는 FTP 혹은 HTTP 관리 화면으로 라도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 다양해서 인터넷이 열악한 환경에서는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최근에 캄보디아의 거래처 서버에서 원격으로 NAS로 붙여서 이것저것 테스트 해봤는데 100KB는 꾸준히 나오더라구요.
4. 비용
매달 지불 비용을 차라리 현지 인터넷 상품 업그레이드에 투자를 하시는거나 본사의 인터넷을 기업용으로 바꾸시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희도 일반 FTTH였는데 오피스넷으로 바꾸었는데 한 1만 5천원 더 내고 고정 IP 에 유동 IP 4개를 얻었습니다.
제 개인 의견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