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p드라이브용 패러랠케이블 핀배열좀 알수있을까요?
2014.06.17 15:53
케이블이 이사하면서 어딘가로 사라져버린후 저장해둔 데이타를 수년째 읽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페러렐방식의 zip드라이브를 가지고 계시면 케이블의 핀배열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테스터의 도통시험모드에서(벨울리는) 콘넥터 양쪽끝을 찍어서 몇번이 몇번으로 연결되었는지만 알면됩니다
시간도 좀걸리고 귀찮은 작업입니다만 편하신 시간에 한번 해주시면 은혜는 잊지 않겠습니다
가지고 계신분은 꼭좀 부탁드립니다
구글링으로는 도저히 못찾겠습니다
그럼
코멘트 19
-
왕초보
06.17 17:15
-
네 100메가 맞습니다 혹시 일반 프린터케이블은 안맞겠죠?
-
왕초보
06.17 22:15
보통 일반 프린터 케이블은 한쪽은 패러렐 한쪽은 센트로닉스죠.. 안되는 거죠.. 100메가인지 여쭤본 것은.. 내장형 zip드라이브가 있긴 하거든요. 문제는 미쿡이란 쪼끄만 문제가..
-
그래서...핀배열 알아내서 반대쪽을 잘라서 만들려고 합니다만 어렵네요 같은 외장형타입을 가지고 계신분께 쪽지는 보냈는데 여건이 안되면 별수없죠뭐..나중에 또 기회가 올껍니다 그때하면 되죠뭐 암튼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왕초보
06.18 08:04
정품 케이블이 어딘가 굴러다니는데 주말에 한번 뒤져보겠습니다. 찍어보는 일이야 그리 큰 일이 아닌데 집을 뒤지는 일이.. ㄷㄷㄷ
-
감사합니다 ^^
-
왕초보
06.18 09:08
오래 걸릴지 모르니 숨 참지 말고 기다리시길. :)
-
부담드릴일은 아니기에 시간내서 찾지는 마시고요 대충 없으면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요렇게 써 있는 곳이 있네요.
IOMEGA ZIP DRIVE / Any scanner for Parallel Port Cable Pin-outs
(aka Straight-through PP Cable)
Most external parallel port devices like Iomega ZIP-Drives and most scanners use straight-through parallel port cable with straight pinouts like 1 to 1, 2 to 2, 3 to 3 and so on up to 25 to 25. The straight-thru cable is also used for printer data switches between motherboard and the data-switch.
출처는 http://www.bcar.us/pinouts.htm 입니다.
-
야채님은 능력자~ ㄷㄷㄷ
이걸 검색 하시네요;;;
예전에 zip드라이브 가진 적이 있는데 미디어만 14개 였던가;;;
안쓰고 있다가 다른 분께 드렸던 기억이 나네요; ㅠㅠ
키보드와 본체 사이에 연결하는 선을 빼서 zip드라이브 전원 연결하는 것도 지인께 받은 적 있는데;;;
-
과찬의 말씀입니다. :-) 우연히 검색이 잘 되었네요.
-
오~감사드립니다 정말 검색의 달인이십니다 ^^
근데 스트레이트였다니 허탈하네요 ^^;; 콘넥터 구해서 맹글어보고 결과를 올릴께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
야채님 덕분에 이렇게 만들어서 해보니 아주 잘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잘 해결되어서 기쁘네요. :-) 예전에 100MB ZIP 드라이브가 우리나라에 수입되기 전에 따로 입수해서 사용했는데, 그때 기억이 나네요.
-
그시절이면 지금처럼 쉽지않을때인데 대단하시네요 저는 ZIP이 국내에 풀리고 한참후에 알았습니다 나중에 컴잡지를 구독하면서 정보가 좀빠라지긴했습니다 암튼 참 추억돗습니다 ^^
-
왕초보
06.21 01:34
오호 며칠 바쁜 사이에 이미 문제가 해결되었군요. ^^ 매우 이쁘게 만드셨네요.
옛날 기억하니 생각나는것은.. fastwire 였나요. parallel port를 사용하는 데이타전송 프로그램이지요. USB도 ethernet도 보편화되어있지 않던 시절. 두 컴터사이에서 데이타를 옮기는 방법은 플로피 ? 이러고 있을때 혜성과 같이 나타난.
그런데 이넘은 매우 특이한 케이블이라.. ^^ 그래도 자작해서 썼다는.
-
보통 FX케이블을 사용했었는데 다른 프로그램도 있었나보네요 초창기엔 거의 만들어서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기성품 케이블을 팔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생각하면 요즘은 정말 좋은 세상이죠 암튼 신경써주셔서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왕초보
06.21 15:42
fastwire의 새 버전 이름이 fx였을 거예요. ^^ 같은 케이블. 뭔가 검색할 수 있는 것도 없던 시절인데.. fwdiag인가 하는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을텐데.. 이넘을 돌리면 그림으로 어느 핀이 어느 핀으로 맵핑되어있는지 보여줬었어요. 그래서 그대로 납땜해서 만들었더니 동작하더라구요..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도 정품 소프트웨어를 구매했으면 그 케이블 정보가 따라왔을지도 모르겠다 싶지만 말이죠.
-
FX케이블이라, 정말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ㅎㅎㅎ
옛날에 썼던 노트북에 데이터를 옮길 방법이 오직 3.5인치 2HD 플로피디스크 뿐이라, 너무 귀찮아서 FX케이블을 썼던 기억이 나네요.
그러다가 ZIP 드라이브를 쓰면서 무척 편해졌던 기억이... :-)
100Mbyte 짜리 집디스크 들인가요 ? 어딘가 집드라이브가 굴러다닐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