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직원이 속을 썩입니다.
2014.10.15 10:15
데리고 있는 개발자 한명이 오늘 퇴사를 합니다.
지난달 초 새로 한 명을 충원했는데, 충원하자마자 기존 인력이 나간다 하는 통에 인수인계로 업무가 많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 친구의 사고방식이 저와는 좀 많이 다른데, 제가 문제가 있는 것인지 케퍽분들께 한 번 여쭤보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1. 요청자의 요건대로만 개발한다.
원론적인 이야기이지만, 어떤 직군이든 경력이 쌓이면 본인만의 노하우와 함께 다양한 방향에서의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회사이고 영업쪽에서 간간히 요청 사항이 나오는데, 허무맹랑한 경우도 많지만 어쨌든 지원은 해줘야 합니다.
이런 요청 사항에 대해 분명히 문제가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데 이 친구는 그 내용에 대해 요청자에게 안내하지 않습니다.
저도 중도에 입사해 데리고 있게된 친구인데, 저한테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이후 개발이 완료되어 문제가 발생하면, 그때 다시 추가 개발을 합니다.
이런 일이 1달~2달정도 계속 반복되며, 다른 일정을 제법 지연시킵니다.
그래서 하루는 불러놓고 말을 해보았습니다.
잘못된 요청 혹은 보완이 필요한 요청을 그대로 개발했을 때 그건 누구의 착오(귀책사유)이냐라고 물으니,
당당히 요청자의 착오라 하기에, 그건 당신이 요청자에게 어느정도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가이드와 대처방안을 줬을 때의 이야기라고 했더니 그걸 본인이 왜 하냐고 합니다.
그 이후에는 좀 어이도 없고, 저와는 방향이 많이 달라 그냥 넘어갔는데,
저 친구가 어디가서 일을 할 때 참 피곤하겠다 싶습니다.
2. 근무시간 내 잦은 자리비움
업무가 타이트하지 않은 환경이고, 외주 업무와 같은 것이 없어 한가한 편입니다.
오전에 2차례 각각 20~30분정도, 오후에 3~4차례 30~40분정도 자리를 비웁니다.
이 때문에 저도 대표님께 불려들어가 아래친구 관리 잘하라고 말도 들어서 몇 번 주의를 줬으나...
그런 건 터치하지 말라는 태도를 보입니다.
자리를 비운 시간에 유관부서와 회의를 한다거나, 다른팀 업무를 지원한다거나 그러면 좋을텐데.
본인의 직무(개발)와 아무런 상관없는 경영지원팀 사람과 항상 같이 있어 눈에도 잘 띕니다.
도대체 어디서 사회생활을 배웠기에, 저런 식의 마인드가 가능한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3. 퇴사시 진행 과정
본인이 회사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어 퇴사를 하는 상황입니다.
대표와 이사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감을 표시하고 있고, 신규 입사자를 뽑은 이유가 본인을 퇴사시키기 위함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작은 규모의 회사라 연차 촉진과 같은 내규 자체가 없는 상황인데, 다른 퇴사자들에게 없었던 전년도 잔여 연차에 대한 지급을 요구하고 있어, 노동법을 찾아보니 법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대표님을 겨우 설득시켰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경영지원팀 사람의 입김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근무시 구매했던 도서들을 저에게 말도 없이 모두 집으로 가져갔기에 도로 가져다 놓으라 했더니, 본인을 도둑놈 취급한다며 오히려 역정을 냅니다.
인수인계로 인한 신규 직원에게 각종 자료들은 전달이 된 상태이나, 회사에 대한 반감이 충만한 해당 직원을 신뢰할 수 없어 PC의 자료 보존을 위해 포맷을 하지 못하게 하니, 해당 PC는 개인의 자산이라고 포맷한다고 합니다. 제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하지 말라 했더니 이제는 이전에 본인을 맡았던 팀장과 이사에게 의견을 물어 그 둘이 포맷하지 말라 하면 포맷하지 않겠다 합니다.
아침부터 혈압이 올라 머리가 핑하고 돕니다..
대체 제가 뭘 잘못한 걸까요.
코멘트 49
-
주니
10.15 10:34
-
리베군
10.15 11:17
감사합니다..
-
나뚜루
10.15 10:49
정말 골치아프군요 힘내세요 -
리베군
10.15 11:17
일이 손에 안잡히네요..;
-
유태신
10.15 11:11
맘 고생 깊으시군요... 힘내세요..
잘못하신 건 없어보이네요.. ^^
다만...... 나가는 그 친구와 인간적으로 친했으면 그 친구의 태도에 좀 달랐을 지는 모르겠네요. 친해도 소용없는 사람도 있지만요..^^
-
리베군
10.15 11:18
3~4개월정도 같이 하면서 다른 운영진들에게 나름 방어로 해주고,
관계도 맺었다고 생각했는데 다 부질없는 것 같아 더 좌절스럽습니다..^^;
-
즐거운하루
10.15 11:57
힘내세요~! -
리베군
10.15 13:14
말씀 감사합니다.
-
사람 관리라는거 정말 어렵죠....
프리랜서 중에 저 위의 개발자 분과 비슷한 분도 있었으나, 사무실에 그런사람 없다는게 행복하네요...
그리고, 토닥~! 토닥~!
-
리베군
10.15 13:15
저도 내일이면 이제 이 친구를 안보게 되어 행복합니다..
-
이런 싸가지.....
그냥 냉정하게 대해주세요. 원칙대로, 회사 업무하며 구입한 책자는 회사에 반납이 원칙이죠.
모든 사항이 확인되기 전에는 퇴직금 지급을 미루셔야 할듯.....
업무PC에 개인자료 가 있다면 그것만 본인것이지, 업무중에 발생한 업무 결과물은 회사에 귀속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걸 포멧하겟다는 발상이 삐딱하네요.
-
리베군
10.15 13:16
그렇게 말을 해도, 개인이 쓰던 PC이니 포맷하겠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습니다.
대화가 통하지 않아 결국 법적으로 가겠구나 싶어 녹음기까지 켜서 보여주며 의사전달을 명확히 했습니다.
그래도 포맷하겠다 하더니 몇 시간 전 이사님도 포맷하지 말라 했다며 조용히 속삭이고 자리로 돌아갔습니다.
어이가 없는 친구입니다..
-
김강욱
10.15 13:24
본래는 업무 PC 에 개인적인 자료가 있으면 안됩니다. 회사 자산을 유용한게 되니까요.
-
인포넷
10.15 12:46
업무와 관련 없이 잦은 자리 비움은 근무태만으로 해고감 아닌가요???
-
리베군
10.15 13:17
대표님께서 많이 이를 갈고 계셨던 친구기는 합니다.
하지만 업무의 히스토리를 알고 있고, 장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던 친구라 많이 방어해주었는데, 결말은 이렇게 나네요..
-
정말이지 윗분 말마따나... 퇴사가 아니라 해고감인거 같은데요....
회사PC는 회사 자산인데, 개인 자산이라니.... 뭐 이상한거라도 깔아 놓은걸까요....
인수인계 문제 때문에 힘드시겠지만, 이참에 그냥 잘 나갔다고 생각하시는게.....
-
리베군
10.15 13:18
예. 내일부터 저 친구가 자리에 없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좋아집니다.
오늘만 잘 참고 넘겨보려고 합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다이버몰
10.15 13:18
근무태만이 적합한말이고요...
구매도서는 구매비용을 회사에서 처리했다면 당연하게 회사것 아닌가요...
회사비용으로 처리했는데 가져갔다면 비용청구하세요..
-
리베군
10.15 13:19
도로 가져오게 해서 비품은 모두 회수했습니다.
도서 말고도 산 것들이 분명히 있을 것 같은데, 경영지원(이 친구의 단짝)에서 협조를 해주지 않네요.
우선 표면으로 드러난 것은 모두 가지고 왔습니다.
그나저나 가져간 걸 그냥 두고 비용청구하는 게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네요..
몰랐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강욱
10.15 13:25
수거 못한 부분은 본인의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반드시 메일로 경영지원 그 친구와 사장/이사까지 포함해서 공적으로 처리하세요.
추후 본인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리베군
10.15 13:52
네 말씀 감사합니다.^^
-
김강욱
10.15 13:23
1)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웃기는 짬봉이네요.
2) 법적으로 문제시 될 부분은 깔끔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에 퇴사하고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잘못하면 깜빵 갑니다.
3) PC 는 압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4) 퇴사직원은 일주일내에 내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팀장이 대신 받는 한이 있더라도 2~3일 내에 소스 리스트와 명세서, 각종 암호들을 받고 내보내는 것이 사내 환경을 위해서 좋습니다.
5) 평상시에 문서를 꾸준히 만드셔야 합니다.
그래야 그 직원이 나가야 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직원이 교체될 경우, 휴가를 갈 경우에 대비가 됩니다.
개발은 다행히 로직이 소스에 있으니 맨땅에 헤딩한다 생각하고 자료 리스트만 받는 걸로 하고 내보내고, 암호도 다 바꾸고.
확인할 것만 확인하고 2~3일 내에 내보내야 합니다.
6) 평상시 자리 비움에 대해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그때 그때 경고를 메일로 경고를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에 법적 분쟁이 생길경우에 대한 대비입니다.
7) 퇴사일자가 정해졌는지 모르겠지만, 내부적으로 퇴사일 정하고 해고 당일 오후가 되시면 바로 익일부터 출근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안전할 것 같습니다. PC 는 손대면 안되죠.
-
리베군
10.15 13:52
말씀 감사합니다 김강욱님.
특히 4번, 5번, 6번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업무를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유태신
10.15 13:44
참고로, 비품 회수는 ... 회수하신 목록을 작성(수량 및 상태 - 앙, 불량, 폐기/파손 또는 A/B/C/D/폐기/파손 등)하셔서 그 친구에게 확인시키고 서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나중에 빠진 물품도 알게 되면 반납 요청도 가능하고... ^^)
-
리베군
10.15 13:58
아직 자리에 있으니 말씀하신 내용 참고하여 다시 날인처리토록 하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홍차모나카
10.15 16:14
제 형님이 삼성조선이나 현대중공업 계실 때 이야기를 들어보면..
회사 컴퓨터는 퇴사시 그대로 반납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회사PC내의 자료는 회사의 재산이기에 밖으로 반출하거나 마음대로 삭제하면 안된다고 하던데요
-
리베군
10.15 17:26
하도 당당하게 언성을 높여 개인 자산이라고 하는 통에 열이 머리 끝까지 솟았었습니다.
결국 포맷은 하지 않았으나, 많이 데이터를 지운 듯하여 복구 프로그램을 돌리고 있습니다.
이제 자리에 없으니 그래도 속은 시원합니다.
소금이나 뿌려야겠습니다.
-
김강욱
10.15 21:47
잘하셨습니다.
PC 는 회사 자신이므로 문제가 된다면 압수의 대상이지 주장이나 협상의 대상이 아닙니다.
회사 물건을 자기 소유로 주장하는 것 자체가 어불 성설.
-
홍차모나카
10.15 21:53
고생 많으셨네요.. 그나마 중요한 자료 안지웠길 바랍니다.
어디든 똘끼있는 사람이 꼭 하나씩은 끼더라구요.. ㅠㅠ
-
야다메
10.15 18:11
플라잉 니킥을 날려주지 그려셨어요....ㅡㅡ -
리베군
11.19 15:00
아. 이제 그 친구를 보지 않아도 되어서 행복합니다.
-
어이 없네요.
회사pc로 회사에서 일했으면 산출물은 회사의 자산이지 무슨 개인물품?
기본이 안 된 사람이군요.
-
리베군
11.19 15:01
나이가 서른 중반인데. 어디서 어떻게 일을 배워왔는지 궁금했던 친구에요.
-
나이가 어린 친구라면... 언젠가 자기 행동에 후회할 때가 있을 것 입니다. 아무리 사이가 나빠도 헤어질 때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것 깨달게 되길 바라는.... 싸가지가 생기면 그렇게 되리라 봅니다.
사회가 좁다는 것... 10여년전 때려치웠던 회사에 두번 다시 안 오겠다고 했는데 지금 회사 업무상 교육 와 있네요 ㅠㅜ -
리베군
11.19 15:01
본인도 언젠가는 알게 될 날이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레퍼런스 체크차 연락이 올 수도 있고, 어디서든 한 번은 만나게 되더라구요.
-
윤발이
10.15 21:11
진짜 뭘 하던 사람 관리가 제일 문제죠... 나갈때면 더 본성이 나오는 사람이 많죠.
윗선에다가도 뭐 저런 사람이 들어와서 라고 어필을 해주는게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
-
리베군
11.19 15:02
새로 뽑은 친구가 그나마 묵묵히 잘해줘서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osam42
10.15 21:47
ㅎㄷㄷㄷㄷ.... -
osam42
10.15 21:50
잘 읽어보았습니다.
사회에 재대로 뛰어보지못한 ㅅ의 시각으로봐도 저 글대로라면 ...... ;;;; 난감하네요.... -
하뷔
10.15 23:21
리베님의 말씀대로라면 문제점은
1.
'잘못된 요청 혹은 보완이 필요한 요청을 그대로 개발했을 때 그건 누구의 착오(귀책사유)이냐라고 물으니,
당당히 요청자의 착오라 하기에, 그건 당신이 요청자에게 어느정도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가이드와 대처방안을 줬을 때의 이야기라고 했더니 그걸 본인이 왜 하냐고 합니다.'
==> 말도 안되는 경우입니다. 잘못된 요건에 대해 현업에게 올바른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 PM 혹은 설계자의 Role입니다.
그걸 본인이 왜하냐고 답을 할 때에 당신은 그걸 해야한다라고 인지 시키고 왜 그래야하는지를 충분히 설명을 했는데 납득하지 못하는 설계자 혹은 개발자는 속히 보내야 합니다.
2. 근무시간 내 잦은 자리 비움.
- 이건 제 생각에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2-1. 본인이 기간 별 할당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면서 행선지를 명확히 밝히거나, 연락 시 항상 In-Lined인경우 -> No problem
2-2. 업무에 지장이 있으나 연락 시 대부분 Contacted 혹은 사전에 informed인 경우 --> Generally no Problem
2-3. 업무에 지장이 있고, 사전 informed 아니라도 연락시 대부분 contacted 인경우 --> Normally no Problem
2-4. ..... 뭐 어쩔? 더 있으면 안된다고 봅니다. 여튼 연락이 되어야하고, 업무의 progress는 되어야 합니다.
3. 퇴사는 직접 진행해본 적은 없으나, ...
3-1. 회사 비용 처리된 것은 누가 보더라도 회사 자산입니다.
3-2. 회사 업무를 위해 작성한 문서 및 프로그램, 소스코드 등등등등.... 여튼... 무엇이든.....
회.사.자.산.입니다.
자신이 작성한 내용이 회사 PC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자기의 주장으로 포맷을 하겠다?...
아.... 매우 심각하게 사고 회로를 분석해보고 싶네요.
3-3. 연차
- 관련해서는 노동법 관련하여 대처를 잘 하신 것 같습니다만,....
제 기억으로는 더 잘 확인해보심이...
뭐 근무연수가 그리 길지않아 걍 집행해도 액수로는 무리 없어보이지만,
옛날식으로 10년 만근해서 연차가 신입사원 대비 +10개에 안 쓴 일수 6일이면 수당 6일치... 뭐 이런건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안 쓴 연차에 대해 지급하는 일 수 한계가 있는거 같던데요.
-
김강욱
10.16 00:11
2번은 아무 연락없이 경영지원팀 친구 만나러갔다는 얘기입니다.
안될 얘기죠.
-
리베군
11.19 15:07
아. 하뷔님 댓글 감사합니다.
어쩌면 제 생각과 이렇게 비슷하십니까.
2번 항목의 경우 말씀하신 대로 본인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납기를 지킨다면 하등의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도 못한 상태에서 계속 자리를 비우는 친구다보니 일정은 일정대로, 일은 일대로 꼬여가고 있던 사연이 있습니다.
노동법에 대해서는 자료를 찾아보고 우선 당월에 해당 직원에게 퇴직금이 지급된 것으로 알고 싶습니다.
장문의 의견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사회 생활에 있어 참고하겠습니다.
-
SON
10.16 22:29
생각이 일반적인 경우와 다른 사람이 10% 비율 정도로 있는거 같습니다.
-
근데 1번의 경우는 회사의 부조리인데요. 그런 상황은 그 사람의 팀장 잘못입니다. 계속 그 상황이 지속된다면, 그 사람을 자를것이 아니라 팀장을 잘라야 합니다. 엄청 일 못하는 팀장이니깐요.
그리고 요청사항을 개별 개발자가 팀장 컨펌도 받지 않고 진행하는 시스템인가요? 그 자체가 이미 심각한 잘못입니다.
1. 팀장이 바빠서 그걸 확인할 시간이 없다면? - 사람을 더 뽑아서 붙여줘야 합니다.
2. 팀장이 게을러서 확인하지 않는다면? - 팀장을 자르고 교체해야 합니다.
3. 팀장이 그걸 컨펌할 능력이 않된다면? - 팀장을 자르고 교체해야 합니다.
4. 팀장 확인이 없어도 되는 시스템이라면? - 그냥 총체적인 난국입니다. 제대로 된 결과물이 나올수가 없으니, 영업이 몸빵이나 술빵으로 때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개발자가 저걸 다 알아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 스타트업 멤버가 아니라면 어디선가 "우리 회사 ㅋㅋㅋ" 하고 클량같으데 올리는 사람중 하나가 됩니다. 생각해보세요. 납품물량을 회사의 컨펌 없이 영업사원과 배달직원이 적당히 이야기해서 바꾸는데, 영업팀장도 사장도 모르고 있는 회사가 과연 어떻게 될까요?
죄송하지만, 그런 회사에는 제가 아는 개발자 얘들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
리베군
11.19 15:11
웹팀이라는 조직 내에 제가 기획, 나머지가 개발/디자인 각각 한 명씩인 열악한 상황이었습니다.
게다가 신규로 입사를 해서 업무를 진행하다보니 뒷단까지 파악하는 데 시간이 제법 소요되었고,
아이러니한 것은 기존의 업무들에 대해서 문서화 되어 있는 것이 거의 없던 상황이었습니다.
3~4개월 정도 업무 파악 후 요청 건들에 대해서는 중간에서 걸러 요청자들의 요건을 제 선에서 걸러 대안을 만들어주고,
그 대안에 대해 개발자에게 안내하여 개발토록 처리하고 있었습니다.
말씀하신 3번 항목을 보니 마음이 많이 뜨끔합니다.
-
자리를 비운 시간에 유관부서와 회의를 한다거나, 다른팀 업무를 지원한다거나 그러면 좋을텐데. -------
왜요? 팀장도 아니고 팀원 나부랭이가 다른 유관부서와 회의를 주간하고 다니고, 다른 팀 업무에 간섭하고 다니면 되려 쳐내야죠. -
리베군
11.19 15:15
회사의 사정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연구실과 웹팀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업무적으로 각 팀간에 엮여 있는 부분이 많은데요,
자리를 비우는 시간 동안 본인의 업무가 중단되고 제 생각에는 생산적이지 않은 경영지원팀과의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업무가 엮인 유관부서와 이야기를 하거나, 본인의 업무 태만으로 지연되고 있던 것 중 빠르게 쳐낼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선작업을 하는 등과 같은 부분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
피델리
10.18 21:12
저런 사람들이랑은 역이지 않는게 최고일것 같네요.
그냥 명령조로 이렇게 하라고 지시만 하는게 최고일것 같아요.
사람대 사람으로 대하면 계속 충돌이 생깁니다.
-
리베군
11.19 15:15
서너번 충돌을 일으키고는 저도 그냥 업무를 지시만 했었습니다.
둘 다 애들도 있어서 친근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사회는 사회더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토닥토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