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타 정수기 효과 있나요?
2014.12.21 12:03
안녕하세요. 물통에 교체식 필터가 달린 브리타 정수기를 쓰고 있는데요. 이게 오히려 박테리아를 증가시킨다는 말이 있어서 고민 중입니다. 만일 이게 사실이라면 왜 사람들이 이런 정수기를 쓰고, 정부에서는 규제를 안 하고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만일 이걸 안 쓰면 그냥 수돗물을 마시는 게 최선인가요?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코멘트 7
-
영진
12.21 15:07
-
왕초보
12.21 15:07
박테리아를 증가시키는 것은 물 주전자를 안 씻기 때문입니다. -_-;;
브리타 정수기 쓸만 합니다.
-
파자마
12.22 02:42
네 몇년째 잘쓰고 있습니다. 필터 교체주기는 한달정도 구요. 물주전자도 필터 교체 때마다 잊지 않고 씼으면 됩니다. 오히려 고정형 정수기보다 더 깨끗하게 쓸 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
calm
12.22 07:52
브리타는 뭐 그냥 석회 제거용 정도로...
-
별사랑
12.23 08:51
저도 브리타 정수기 사용한지 1년가까이 되가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에 박테리아 문제는 내부에 물을 항상 저장하고 있는 정수기 방식이 훨씬 더 문제가 클것 같습니다.
매번 사용할때마다 정수해서 사용하는 방식하고 내부에 항상 일정정도의 물을 저장해 두는 방식하고 비교를 한다면 당연히 물을 저장해 두는 방식이 더 문제가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매월 한번씩 와서 청소해줘야 하는거고, 요즘에는 대안으로 순환식, 전기분해 살균식..이런 제품들이 나온다는게 저장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방증해주는게 아닌가 싶구요.
저도 처음에는 국내에 많이 퍼져 있는 렌탈 정수기를 사용하다가 박테리아 문제 때문은 아니고
역삼투압방식이 미네랄성분까지 모두 걸러주는게 건강에 좋지 않을 듯 싶어서 생수를 사먹다가
PET병에 보관되어 있는 생수가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고 해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브리타 정수기(피처형)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얼마전까지는 그래도 최선의 선택이라 믿고 잘 사용해 왔었는데,
추적 60분 낙동강 녹조 관련 방송에서 녹조가 증가하게 되면 정수장에서 정수시 염소성분을 더 많이 써야 하고,
이럴경우 부산물인 THM(트리할로메탄)이 더 많이 발생되게 되는데 THM이 발암물질이라고 하더라구요.
혹시나 싶어 웹서핑을 해보니, 정확한 정보인지는 모르겠지만 브리타정수기(피처형)은 THM이 걸러지지 않는다는 내용이 많더라구요.
지금은 좀더 좋은 대안이 없을까 고민 중이며, THM이 끓이면 괜찮다는 내용이 있어 끓여 먹어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중에 있습니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물을 이것저것 걱정하면서 먹어야 한다는게 답답하네요.
저도 물때문에 많은 고민을 해서, 참조하시라고 글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김군
12.23 10:37
감사합니다. (좀 뜬금없지만) 즐거운 성탄절 되세요. ^^
-
쓰는분 물 몇번먹어보고...
성능이 의심스러워서 전 이번 필터까지 사용하고 (원봉)
에버퓨어로 갈아타려고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필터는 꼭 주기에 맞춰서 갈아야지 아니면 수돗물이 나을테고요. 브리타같은건 직접 물을 받아먹으니 더 자주갈면 좋겠죠. 대개는 박테리아는 문제가 안될테고요 걱정이 된다면 생수시켜 드세요. 필터자주 갈거나 생수나 가격이 비슷할거에요.
저는 반쯤은 생수로 사먹고 반쯤은 수도물 끓여서 보리차나 녹차타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