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 앞으로 두달은 최소한 걸릴거라네요.
2015.06.26 18:00
유언비어라면 유언비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의사들의 의견이라고 합니다. 그 근거가..
1. 지금도 확진 환자가 나오고 있다. 이 확진환자가 마지막 확진 환자라고 가정.
2. 이 확진 환자들이 확진되기 전까지는 증세가 있더라도 (즉 전염가능) 다른 사람들과 접촉한다. 즉 확진환자가 나온다는 얘기는 잠복기의 바이러스를 가진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
3. 이 잠복기의 바이러스를 가진 분들이 확진 될때까지는 길게는 3-4주까지 걸릴 수 있다. 지금 확진환자 접촉후 3주 이상 지나서 증세가 나오는 분들이 속출하고, 여기서 확진까지 또 며칠이 더 걸림.
4. 이분들이 아무 문제없이 낫는다면 지금까지의 추세를 볼때 거기서 3-4주는 더 걸린다.
그래서 두달 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더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나오는 얘기라, 한명이라도 확진환자가 나온다면 거기서 또 두달이 되는 것이죠. 9월도 완전히 안전하지는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모든 환자가 퇴원하는 시점이 두달.. 무든 환자가 퇴원하고 모든 격리대상자의 격리가 풀리고 4주 정도는 조심해야 한다고 하니.. 조심합시다!
코멘트 7
-
이런 난리통에 우리집 아이들은 마스크를 안하고 다니네요 ㅜㅜ 초반에 어렵게 구한 N95 인데... 물론 저도 안합니다 -_-;;
-
BeerInside
06.29 15:35
일단은 Community Base로 MERS가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소강상태라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마스크 강제착용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지금 문제는 Hospital based infection인데 증상이 있는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이 새로운 환자가 되고 있습니다.추가 감염자가 없으면 2주면 격리는 끝이 나는데,
추가 감염자가 계속 발생하면서 격리의 범위가 늘어나거나 격리 기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왕초보
07.04 05:52
2주면 격리가 끝난다는 얘기는 처음부터 정부의 주장이었습니다만 많은 확진 환자가 이 최장 잠복기를 지나서 증상이 나타났고 거기서부터 실제 확진까지도 길게는 한주 이상이 걸려왔으며, 그동안 제대로 격리 안된 환자가 마구 돌아다니거나 많은 일반인을 접촉한 것이 현실이죠. 그래서 2주면 격리가 끝이 난다는 것도 별로 신빙성이 없고 (실제로 잠복기가 얼마가 되는지 모른다는게 정설), 또한 바이러스가 혼자 얼마나 살아남느냐조차도 정확한 연구결과가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또한 일부 확진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고도 대중 교통수단을 며칠동안이나 마구 사용하고 돌아다닌 상황에서, 병원에서만 감염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도 얼마나 믿을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쥐라기 공원 1탄을 보는 느낌이랄까요.
-
BeerInside
07.06 16:07
SARS때에도 유사하게 진행이 되었지만 결국 influeza 수준의 대유행은 없었으니까 하는 이야기이지요.
-
왕초보
07.06 23:54
다행히 진정국면이긴 합니다만, 아직도 감염경로 규명이 안되는 환자가 있다는게 걱정입니다. 고의성이 보이게 이름이 누락된 병원도 있고요. 처음부터 그랬습니다만, 이번 메르스 사태는 인재라고 보아야 하고, 이 인재의 원인을 규명하고 고치려는 시도는 전혀 보일 생각도 안한다는 것이 세월호 사태랑 똑같은 측면이라고 하겠지요. 열심히 일한 해경만 질타하고.
-
BeerInside
07.07 10:05
빌어먹을 나라에 살면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 할 일일지도 모릅니다.
어느 분야나 사고 원인 분석하고 있으면, 나를 죽이려는 나쁜 놈으로 생각하니까요.
마스크를 더 사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