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용량이 16GB 이하에서 Windows 10 설치는 온라인으로 해야되는게 아니었네요.
2015.08.26 13:37
혹시라도 저가 Windwos 8.1 타블렛 가지고 계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그렇지만
Windows 10의 업그레이드 경우 하드에서 공용량이 18GB이상이
(실제로는 23GB정도는 되야지)
되어야지 자동 온라인 업데이트가 가능한데요.
16기가짜리는 이 방식으로 하면 도저히 안되서
Windows 10을 받아서 인증받는 방식으로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가 안되니까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고 현재 Windows 8.1 타블렛 가지고 계신 분들은 업그레이드 하시기 바랍니다.
http://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10-win_upgrade/windows-10-upgrade-on-16gb-8-tablet/c307c22d-77ac-42f7-a668-1b2191175d6b?page=2
코멘트 5
-
별날다
08.26 14:05
-
Quiro635
08.26 14:53
윈10 업그레이드 할 때 SD카드가 있으면 용량이 부족해도 SD카드 용량 이용해서 설치할건지 묻는 메뉴가 떠서 좋더라구요.
-
바보준용군
08.26 16:04
자도 지금 그방법 고려중입니다 낸드 32기가도 너무 야박하죠 ㅠㅠ
설직히 128기가도 야박한세상 ㅠㅠ -
Quiro635
08.26 19:12
16기가 제품에 윈10 까니까 7기가였던가? 그 정도 남더군요.
어차피 자료 저장은 SD카드에다가 하니까 거기에 안드로이드 깔아서 듀얼 부팅이나 만들어볼까 하다가 어려워서 포기..
-
purity
08.27 14:26
16GB 스토리지인 윈북 TW700를 비롯 몇 종의 보유 태블릿들에 설치한 경험을 정리해보면...
1. 최초 업그레이드 설치
- 태블릿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비워 가능한 큰 가용 공간을 만들어 둡니다.
- 외부 SD나 HDD를 이용한 업그레이드의 경우 실패 확률이 있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 정리된 상태에서 3dp 등을 이용해 MS가 제공하지 않는 드라이버를 백업합니다. 후에 클린 설치시 필요합니다.
- MS에서 제공하는 설치 미디어 제작 SW를 이용한 USB 등 설치 미디어를 사용하세요.
- 만들어둔 설치 미디어의 setup을 실행해 업그레이드 합니다.
- 업그레이드 시 아무것도 남겨두지 않는다는 옵션을 선택하세요.
- 업그레이드 완료 후 초기 설정시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하세요. MS 계정 연결을 불필요합니다.
- 이의 이유는 인증 정보는 하드웨어 귀속이고 인증 정보를 MS에서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 업그레이드 설치는 기본 OS에서 지원되지 않는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전 드라이버를 자동 이용합니다.
- 따라서 장치관리자 느낌표 찾기 어렵고 터치 등도 대부분 정상입니다.
- 단 파티셔닝을 다시 하지 않기에 기존 OS의 리커버리 영역 등이 잔존해 용 용량 낭비를 가져옵니다.
2. 클린 설치
- 클린 설치 전 반드시 업그레이드 설치 진행해야 하드웨어 인증 정보가 MS에 저장되고 설치 완료시 자동 인증 됩니다.
- 즉 클린 설치는 업그레이드 설치 1회 수행하고 인증 여부 확인한 후에 진행해야 합니다.
- 앞서 만든 설치 미디어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이러면 설치 용량이 거의 10GB에 육박하게 됩니다.
- 따라서 스토리지가 작다면 compact 모드로 설치하는 것을 권합니다.
- 귀찮아도 리커버리까지 고려한다면 wim을 만들어 설치하고 아니면 그냥 MSDN 이미지 설치합니다.
- compact 모드 설치는 검색을~ 이와 관련된 ESD-to-wim 변환, 드라이버 통합 등 귀찮은 작업이 좀 있습니다.
- wim 제작시 드라이버 통합에 앞서 3dp 등으로 백업한 드라이버를 사용하세요.
- compact 모드로 설치하면 하이버네이트 해제 기준 7GB 조금 못 미치는 설치 용량입니다.
- 드라이버 통합 wim을 만들어 설치하지 않았다면 역시 3dp로 백업한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 드라이버 통합 설치의 경우 윈도우 제공 리커버리로 복구해도 드라이버가 유지됩니다.
- 드라이버 통합하지 않았다면 리커버리로 복구하면 다시 드라이버 설치해야 합니다.
3. 주의점
- 태블릿, 특히 별도 DC 전원잭이나 추가 USB 없이 단일 USB 포트만 지원하는 기기일 경우 키보드, 마우스 연결을 위해(블루투스는 설치시 사용하지 못하니...) 전원 공급 없이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소형 태블릿의 경우 자칫 애로가 잔뜩 꽃 필 수 있습니다. 이는 배터리 용량과 설치시 풀 스피드로 작동하는 특징 때문으로 몇몇 제품들은 전원 공급 없이 설치하면 배터리 방전되어 설치 중 종료되어 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필요할 때만 마우스, 키보드를 사용하시고 전원 공급을 계속해주세요.
그럼 이만 ==333
오... 좋은 정보입니다... 만.... 포터블기기 강좌에 올리시는 것이 더 모양새가 낫지 않을 까 싶네요.. ㅎ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