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하드디스크의 백업(미러링)하는방법
2016.10.21 16:43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2TB하드디스크가 용량이 다 차서 ,새로운 2TB하드디스크를 구입하여서 백업(미러링)하고
원본과 백업본 하드디스크2개를 archieve로 보관하려고합니다..
2TB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커서 백업하는데 엄청난시간이 걸릴것같아서 엄두가 나지않습니다.
이런경우에 SW는 무엇을 사용하면 좋나요
하드디스크를 장착할장비는 USB3.1 스토리지면 속도가 어느정도 괜찮게 나오나요..더 빠른장비는 없을까요
빠르고 안정적인방법이 있는지
고수분들은 이런경우에 어떻게하는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6
-
풀맨
10.21 19:53
USB 3.0 이상이면 디스크 원래 속도 다 나오구요. 단순 디스크 복사는 미니 툴 파티션 위자드 무료 버전도 괜찮습니다.
-
2TB 면 별로 많지도 않네요.
한두시간이면 끝납니다
전 탐색기에서 CTRL +C / +V 를 씁니다.
-
사드사랑
10.22 10:06
참고로..
1. SATA1 -- 1.5Gbps
2. SATA2 -- 3Gbps (SATA하면 대략 이것)
3. SATA3 -- 6Gbps
4. USB3 gen 1 -- 5Gbps (USB3 하면 대략 이것)
5. USB3 gen 2 -- 10Gbps
인데 여기 약간의 소금을 쳐서 볼 필요가 있는 것이:
a. SATA와 USB3 gen 1 은 IBM 8b10b coding을 쓰기때문에 실제 payload bandwidth는 저 속도의 80%.
b. USB3 gen 2 는 128/132 coding을 쓰기때문에 gen 1의 두배보다 성능이 조금 더 나옵니다.
c. SATA는 하드드라이브 자체의 인터페이스라 저 속도가 다 나온다고 보시면 되지만 USB3는 나름 overhead가 있어서 저 속도가 다 안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풀맨님이 USB3면 괜찮다고 하신 이유는, SSD를 제외하고 일반 하드의 경우 내부 속도가 USB3 gen 1 이면 충분히 지원되기 때문입니다.
-
그린
10.22 14:10
답글주신분께 감사드립니다.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
파일수가 많으면 복사시 엄청 걸립니다. 이런때는 아에 블럭단위로 카피해버리죠. 기업에서 스토리지 교체할때 이렇게함.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써본 툴이 리눅스의 dd란 툴이였습니다.
윈도용으로는 FTK Imager,Tableau Imager가 있다고 합니다.
Disk duplicator H/W를 쓰면 제일 간편합니다만,
S/W로 해결하시려면 Disk cloning 기능을 제공하는 Acronsi True Image 같은 도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True Image는 상용 S/W인데, 아마 비슷한 무료 S/W도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