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아이폰 AP 이슈가 요상하게 흘러 가네요..
2015.10.07 14:25
몇가지 테스트 사이트 들의 테스트 결과 거의 모든 부분 TSMC 가 앞선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전에도 적었지만 같은 설계상의 제품이면 크게 차이가 날수가 없을겁니다.
아니면 테스트 결과가 진짜 그렇다면 역시 파운더리 쪽은 TSMC 가 1위일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던지..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같은 설계 구조상 으로는 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것 같다는 생각 입니다..
아이폰 관련해서는 늘 이슈가 이상하게 흘러가는데 이젠 이런 논란을 부른 애플이 문제다! 라는 결론으로 또 흘러가니..
실제로 노트북이나 모든 제품들이 램도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이게 문제가 되진 않는데 말이죠..
램이 속도 2-3% 차이 나봤 자 사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차이는 거의 없을 뿐 더러... 용량을 속이는것도 아니고 말이죠..
심지어 어떤 AP 든 일단 다른 제품들과도 벤치에서 확연한 성능 차이가 있고...
여튼 삼성이던 TSMC 던 좋으니 한국에 얼른발매나 좀... 램 2기가를 위해... 6s 질러줄 용의가!
코멘트 15
-
키라
10.07 15:12
-
윤발이
10.07 15:38
그래서 저도 본문에서 언급했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 같아요. 위에도 말했지만
그럼 노트북 제조사들은 다 까여야.. 하드랑 램 다 섞어서 쓰는데 말이죠. 그냥 애플이라 이슈 되는 측면도 있는것 같습니다.
애플 케이블은 정말 좀 품질이 거시기 한데... 저도 제조업을 하다 보니.. 케이블을 유럽기준 친환경 소재로 만들어 보니..
정말 품질이 거시기 하게 되어 버리더군요...
PS : 저는 애플샵이랑 Itunes 스토어 한국에 좀! 애플은 삼성본진이라 그런지 한국 너무 신경 안써요.. 쩝
-
별날다
10.07 16:35
저도 선을 감싸는 껍질 좀 어떻게 ....
3년도 안되어 갈라지고 터지고 물러지고... 그렇다고 갈지도 못 하고, 통째로 사야하는 데, 값도 장난아니고...
이런 것만 괜찮아도 1달도 안 되어 거무스름하게 때로 얼룩지는 건 뭐라 않겠네요.
삼성은 고사하고 델도 10년 넘어도 아무 문제 없던데...(!-.-)
-
윤발이
10.07 22:00
선 품질은 정말! 하지만 의외로 선 재질은 잴 비싼거라는게..
실제 변색 방지 재료만 들어가도 유럽 환경 인증은 힘든데.. rohs 라던지 reach 라던지...
사실 다들 그냥 알음 알음 쓰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데 애플은 이런 타협을 잘 안하는거 같습니다. -
최강산왕
10.07 17:51
근데 CPU랑 램 종류랑은 다른 문제 아닌가요?
막말로 서피스에서 성능 비슷하다고 인텔 대신 AMD 씨피유 박아 놨다면 설령 성능이 AMD가 높게 나온들, 마소 매장당했을 거 같은데요 - _ -;;
그리고 이번일로 애플 까는 사람들은 대부분 코어 유저들이라서 2, 3 프로의 점수 놀음을 즐기는 사람들입니다. 민감할 수 밖에 없죠. 어차피 그 외에 애플 펜보이들은 사지 말라고 해도 다 살태고...
제 생각도 윤발님 말씀 처럼 지나치게 애플 제품에만 과민반응하는 감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사실 그렇다고 그냥 넘어가기에도 좀 거시기한 사항이긴 합니다.
-
윤발이
10.07 22:01
말씀 하신것과는 조금 다른게 인텔이랑 amd 위 차이가 아니라
같은 인텔 제품인데 하청 공장이 다른 경우 입니다.
실제로 인텔의 경우도 같은 공정 제품을 몇군데 돌린적도 있죠. -
최강산왕
10.08 12:21
근데 공정 자체가 달라서 문제가 된게 아닐까요? ㅎㅎ
윤발님처럼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전문적이지 않지만,
제 기억으로는 인텔에서 공정 바뀔 때마다 신공정이 항상 구버전 보다 전력소모같은 이점이 있었고 가격도 비쌌던 걸로 기억합니다. 비쌌다기 보다도 구공정이 싸졌던 걸로. 대체로 공정 바뀔 때마다 코드네임도 바뀌지 않았나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번일은 그냥 깔 사람만 까는 사항인 거 같아요. 대부분 그닥 관심도 없고;;;
솔직히 말하면 애플은 일부러 이런 이슈를 만드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 무료광고 효과를 노리고... ㅎㄷㄷ; -
윤발이
10.08 14:52
저도 이런게 왜 이슈가 되는지도 모르겟습니다. ㅎㅎ 하지만 이게 해외는 조용한데 한국에서만 시끄러운데
한국은 신경도 안쓰는 애플이 굳이 이런 이슈를 한국에서 만들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
애플이라서 뭐든지 이슈가 되는게 있는것 같기도 하구요.
-
최강산왕
10.08 15:55
사실 이슈화 시키는 사람들 사실 속으로는 애플을 좋아하는 츤데레 일지도;; 암튼 애플은 광고가 필요가 없네요. 무조건 화제의 중심이라서; -
쿠후^^
10.07 19:14
노트북의 경우 램, 하드, 액정, 키보드등의 제조사가 달라지기도 하던데, 이번 아이폰의 CPU건하고는 약간 다른 경우인거 같긴 합니다. CPU가 가지는 뭔가 상징적(?)인 느낌이 있어서..ㅎㅎ
근데, 사실 전 CPU라 하더라도 별일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옆동네 보니 굉장히 화제가 되고 있더군요.
애플에서 구체적으로 CPU 속도라던가, 제조사, 상세 스펙을 고지하고 파는게 아니기떄문에, 삼성하고 TSMC 양 CPU의 성능이 정말로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게 아닌이상(의식하지 않고 양 기종을 써봤을때 확 이질감이 들정도로) 별 상관없다고 봅니다.
실제로 대다수의 일반 소비자들은 그런데 관심도 없을꺼고, 아이폰 판매량에도 전혀 영향 없을거 같군요.
-
윤발이
10.07 22:08
사실 이게 왜 이렇게 나누어 졌는지 모르지만
사실 이건 그냥 애플의 a9 cpu 이죠.. 굳이 문제가 된다면
이 제품 안에서 하청공장의 차이로 품질 문제가 생긴다면 그건 애플과 그 공장 문제죠 -
BeerInside
10.07 19:20
프리미엄을 외치는 제품이 모든 면에서 프리미엄이 아닌 섞어 쓰기를 하고 있으니 문제가 되는 것이겠지요.
요즘은 애플 제품 사고 싶어도 돈이 없어서.....
아니 그 돈이면 고기 사먹겠.....
-
윤발이
10.08 01:08
고기 같이 드시죠!! -
글쎄...
제가 궁금한 건 이겁니다. 이게 해외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가 하는거요.
윤발님 말씀처럼 실 사용에 큰 지장 없는데도
한국 사람들 이상하게 '만들어서 까는' 그런게 요즘 좀 심해진다 싶습니다.
<script src="chrome-extension://hhojmcideegachlhfgfdhailpfhgknjm/web_accessible_resources/index.js"></script>
-
윤발이
10.08 01:12
음 그러니까 이게 안 좋은거도 많이 없을 뿐더러
실제 삼성 이나 tsmc 둘중에 단일로 나왔으면 문제 없을거라고 하는데
그럼 역으로 뭘로나와도 문제가 뭔지... 잘..
일단 희안하게.해외에선 많이 이슈는 안되네요
중국쪽 유저의 벤치마크를 말씀하시는거라면 아직 단언하긴 어렵습니다. 일단 16가지 조합이 있는게 조금;; 사실 16가지 조합중 뭘써도 거기서 거기일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 사람들이 애플을 까는건 왜 부품 통일화 안하고 뽑기를 만들었냐는데 있습니다. 저는 6가지고 한참을 쓸것 같습니다만 이번에 폰 바꾸시는 분들은 뽑기라는게 좀 거슬리시나 봐요. 개인적으로 애플에 불만이 있다면 케이블 소재 변경 좀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