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관련 질문이요!!!!
2015.12.11 12:01
Kpug은 중학생때 중국 태블릿을 접하면서 현재 대학을 진학하는 학생입니다!!!!
고교생활동안 전자기기와 잠시 거리를 두고 살아서 막상 구매해야 할 때가 돼니 어떤 것이 좋고 나쁜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노트북을 두개 구입해야 합니다!
한개는 친구는 80이하의 게이밍 노트북을 원합니다!!!
저는 과가 컴퓨터관련 과라 그에 적합한 노트북과 가능하면 음악 작업도 하고 싶습니다ㅠㅠㅠㅜ 가격이 저렴한...
이에 적합한 노트북 좀 추천해주세요!!!!!
감사합니다 ㅎ
코멘트 6
-
하루씨
12.11 16:40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친구님이 피파나 롤 같은 게임만 돌릴거라는데
쿨러만 따로 구입한다고 한다면 한성이나 레노버도 괜찮나요????
저는 잘 모르겠지만 vr관련 소프트웨어를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제가 이제 대학에 들가고 프로그래밍에 경험이 전무하고 성능관련부분을 잘몰라서요ㅜ
솔직히 가격이나 깔끔한 디자인인 밑에 두 모델이 선호가 가는데 제가 듣기에는 홈레코딩작업이 꽤나 고성능의 사양이 필요로 된다고 하셔서 괜찮나요?? -
쿨러라는게 딱히 없어도 상관은 없겠지만, 주 용도가 게임이시라면 수명을 생각해서 노트북용 쿨러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한성이나 레노보도 괜찮습니다. 거주하시는 곳에 A/S 센터가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거리가 멀면 귀찮아 지거든요.
피파나 롤 정도면 위에 추천드린 성능으로도 충분합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만, 성능은 데스크탑이 낫습니다. 대략 50만원이면 노트북 80만원대 정도 성능의 데스크탑이 나옵니다.
(단적인 예로, 데스크탑 i3 3220 성능이 노트북 i5 4200M보다 좋습니다, 맨앞 천의자리수는 3이상이면 성능차가 거의 없습니다. 일반적인 용도로만 볼때는 전력소모량만 개선되었습니다.)
노트북 i5 5xxx + 960M 탑재 모델이 113만원선입니다.
데스크탑 i3 4xxx + 960으로 맞추면 55~57만원이면 맞춥니다. 데스크탑용 960이 노트북용 970M보다 성능이 더 좋습니다.
거기에다가 노트북에서 970M을 탑재된녀석을 찾으려면 130만원 중반대로 갑니다....
따라서 꼭! 들고다녀야할 명확한 이유가 없다면, 데스크탑이 훠얼씬 낫습니다.
대학생이라면 노트북을 들고다녀야지! 하는 문화적 흐름?비슷한것에 휩쓸려 구매하시는 것이라면, 극구 말리고 싶네요. 정말 이동하는 도중에도 작업해야 할정도로 명확한 이유가 없다면, 결국 데스크탑 같이 집에 충전기 항상 물려 고히 잠자게 됩니다.
VR관련이면 노트북으로 해결하기 힘듭니다. 기 300만원짜리로 가셔야합니다. 데스크탑으로 100~150만원 정도 맞추셔야 VR렌더링과 VR플레이어의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2개의 초 고해상도 화면들을 실시간 렌더링해야 하니사양 엄청 먹지요.
디지털미디어 학과와 같이, 완전 전문적으로 3D 렌더링에 픽셀쉐이더 떡칠떡칠한 모델링/애니메이션 작업을 하시는것이 아니라면, 말씀드린대로 i5면 충분합니다. 음향레코딩쪽은 잘 모르나, 이미지 영상 처리보다는 사양을 덜 탈겁니다. 음향 레코딩 쪽도 전문적으로 가시려면 데스크탑에 고가의 사운드카드/레코딩 장비 조합으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좋을 뿐만아니라 그쪽으로 가셔야 맞습니다.)
단순 취미용이라면 노트북 i5면 충분합니다.
-
하루씨
12.12 01:28
컴퓨터 관련 설명 감사합니다!
VR관련해서 여쭌 것은 얼마 정도의 성능이어야 가능 한지 궁금해서 여쭌 것입니다 ㅎㅎㅎ
현재 저 같은 경우는 솔직히 프로그래밍을 위한 노트북이 아니라 평상시 상황에서 쓸만한 것을 찾고 있다는 것이 맞겠네요!
주목적이 서핑, 게임, 홈레코딩이니 ㅎㅎ
진짜 감사합니다 -
이제 입학하신다면, 사실 아직은 어느 정도의 제품이 필요한지 파악이 안되신 상태일겁니다.괜히 어정쩡하게 구입하셨다가 성능의 벽 앞에서 메롱거리게 되시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일단 당장 급한게 아니라면 일단 수업을 좀 들어보시고, 본인에게 필요한 사양을 정해서 구입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Lock3rz님 말씀대로 요즘은 학교에서 충분한 시스템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을테니까요.반면에 친구분은 "게임"이라는 분명한 목적은 있네요. 하지만, 어떤 종류의 게임을 생각하시는지는 전혀 안 나와있어서 이쪽도 확실하게 기종을 정하기는 좀 그렇구요. 저라면 게임을 위해서는 데스크탑을 구입하겠습니다. 이쪽이 같은 돈으로 조금이라도 더 강력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데다가, 업그레이드의 용이함도 겸비하고 있으니까요.
-
하루씨
12.12 01:31
현재 저는 제대로 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이 없어서 필요를 느껴 구입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Lock님의 조언을 들으니 확실히 프로그래밍을 목적으로 노트북은 효율이 너무 떨어지는거 같아 그냥 평상시 사용할 취미용 노트북을 구입한다고보는게 좋겠네요 ㅎㅎ
친구님이 주로 하는 게임이 피파라 엄청 고사양의 비싼 노트북은 선호하지 않는다구군요 ㅎㅎ
덕분에 제가 뭘 사야하는지 더 명확해지고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저는 컴퓨터학부 대학생입니다. 같은 IT대학 학우로써 반갑네요 ^^
컴퓨터관련과라는게 범위가 넓긴 합니다만, 보통 하드하게 CPU를 쓰더라도 대략 i5급 cpu, 라이트하게 쓰면 i3급 정도 까지는 괜찮습니다. 요새 성능이야 상향평준화가 완료되어서, 부품 각개의 성능보다는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무게, 배터리지속시간, A/S등 간접적인 요소를 주로 봅니다.
친구분의 게이밍 노트북 예산이 80만원 이하라면 한성 쪽 외에는 안보이네요. 그나마 게이밍으로 좀 쓸만하다 싶으면 100만원 초반대는 되어야 지포스 960m정도 쓰거든요. 무엇보다 무슨장르, 어떤 스타일의 게임을 주로 하시는지가 안나와있군요. 무엇을 하든지 세부적인 목표가 중요합니다.
많이 양보해서 950m으로 가면 ACER 아스파이어 V5-591G-557E 가 799,000원이긴 하네요....
아시겠지만, 노트북은 어디까지나 배터리전력과 휴대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가격대비 성능이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정말 게임을 좋아하신다면 노트북에 130만원 정도는 투자할 예산이 있어야 합니다. 고사양 패키지 게임 기준입니다.
LOL 정도 하신다면야 80만원대도 충분합니다. 940m 정도만 달아도 충분해요. LOL만 하신다면.
80만원정도의 예산이라면 PC를 들이시는게 성능상으론 정말정말 좋습니다.
"가격이 저렴한"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저렴하다의 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이죠.
하루씨님께 알맞는 노트북은 한성컴퓨터 U35S ForceRecon 3354 55만원 정도가 있네요. 1.3kg라 가볍습니다. 120GB SSD라 이것저것 막 설치하시면서 여러 고음질 소스 음원 작업하시면 부족할수도 있습니다.
55만원도 부담이 되신다면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100-15 80QQ000GKR 474000원이 있긴합니다. 2.2kg라 무겁고 500GB hdd입니다.
대학 진학을 해서 노트북이 꼭 필요하다는 법은 없습니다. 저희 학교는 컴퓨터학부용 컴퓨터실이 여러군대 잘 갖춰져 있어서 자리도 넉넉하고, 성능도 xeon 혹은 i5로 되어서 굳이 가방 무겁게 노트북을 들고다녀야 할 필요성을 잘 못느끼겠더라고요. 꼭 [내 개발환경]이 필요하다면야 집에 둔 노트북을 WOL로 켜서 학교 컴퓨터실에서 RDP로 접속하면 개발하는데는 전혀 지장 없습니다. 따로 파일 옮길 필요도 없어서 보안이나 작업간 동기화도 편하고요.
진학하시는 대학의 컴퓨터실 여건이 열악하다면야 구매하시는 편이 속편할수도 있습니다. 단, 학교측 Wi-Fi가 쾌적한지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도서관이나 라운지 같은곳에 유선랜이 제공되는지도 확인해보세요) 저희 학교는 캠퍼스 전체에 펑펑 터져서 편하긴 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