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TV 박스의 세계도 심오하군요.
2016.05.22 23:26
얼마 전 안드로이드 TV 박스 게시물을 보고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니 이쪽 세계도 장난 아니군요.
어떤 tv 박스들은 케이블과 위성방송도 볼수 있게 수신기도 달렸고;;
Kodi 또는 openelec 하나에 물린것들(iptv, tvheadend)만 알아가는데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제대로된 미디어 서버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추가적으로 NAS도 필요하고 추가 장비가 늘어날수록 전기세도...
리눅스로 간단한건 직접 빌드할 실력 정도는 갖춰야 해서 모르는 사람에겐 진입장벽도 높습니다.
예전 같았으면 끝까지 파고 들었을 텐데
요즘은 아무리 그래봤자 한순간의 자기만족에 불과하다는 생각에 적당한 선에서 멈춰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코멘트 13
-
해색주
05.22 23:34
-
종다리
05.23 15:28
단순 취미라면 이미 완성된 빌드만 즐기는거로 충분합니다... 솔직히 파고 들어가면 끝도 없으니까요
-
사지 마세요.
사운드에 노이즈가 껴는 문제 해결 못했습니다.
-
안드로이드 5.x가 되면서 usb사운드카드도 인식된다고 하네요. 그걸로 사운드 출력하면 처리되지않을까요?
-
별날다
05.23 10:00
아니..뭐... 할 만합니다. 다만,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ㅎㅎ
전 컴공출신도 아니지만,, 먹고 살려고 두루 섭렵을 하다보니, IP SetTopBox와 IP Cable Modem 등도 해봤는데, 뭐.. 그리 어렵진 않습니다.
어차피 펌웨어 쪽은 보드나 칩을 제공하는 쪽에서 설명서와 펌웨어 및 기본 데모용 무른모 및 소스코드를 제공하기 때문에..ㅎㅎㅎ
물론, 칩셋회사에 따라 그런 것들이 부실해서 맨땅에 헤딩하는 수준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ㅋㅋ..
시그마디자인을 그래서 싫어했죠... ISO나 ITU Recommendation이 새로 나올 때에 제일 빨리 칩셋과 Evaluation Board 등이 나오긴 하지만, 워낙 참조할 것이 부실해서... 한참 뒤에야 제대로된 자료가 제공된다는.. 쩝!
그런 면에서는 ST Micronics 나 TI 등이 잘 되어있긴 한데.. 이 동네는 봐야하는 자료가 너무 많다는 .... ㅋㅋㅋ
그리고, 음질에 잡음이 끼는 것은 하드웨어적으로 어쩔 수 없어요. 다만, 얼마나 그걸 최소한으로 하는 가죠.
어차피 D-A 변환을 해야하는 데, 지터의 문제는 주파수 파형의 특성상 백년이 넘는 오디오 역사에서 여전히 완전해결이 어려운 부분이고..
-
왕초보
05.24 01:21
오디오의 문제는 구체적으로 뭔가요 ? 하이엔드의 경우, 오디오 클록은 자기 크리스탈에서 생성해서 쓰고 (들어오는 오디오 클록에 동기하는데 자기 크리스탈로 샘플링해서 엄청나게 낮은 주파수로 평균해서 쓰죠.. 즉 들리는 차이는 없다는), 파형은 interpolation하니까 디지탈 도메인에서의 문제는 다 해결했다고 보고요, DA는 근본적인 문제지만 시그마델타가 나오면서 역시 들리는 차이가 없다로 결론이 난 걸로 알고 있는데 아직도 완전해결이 어렵다고 하시니 궁금해집니다. 더구나 올해말에 HDMI2.1이 완성될텐데 여기도 그런 방향의 요청은 없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요.
-
별날다
05.24 13:58
ㅎㅎㅎ.... 공자앞에서 문자쓴 격이 되었네요.. ㅎㅎㅎ
약간의 지식과 들은 풍월로 의견을 올렸는데... 워낙 오래전 거라서... 왕초보님의 내용을 몰랐네요..부끄럽습니다.. (! __)
-
왕초보
05.24 14:32
아니예요. 오디오필들이 하는 얘기는 아직도 많이 모자란다 거든요. 그래서.. 듣고싶습니다. 숫자갖고 노는 저희같은 사람들은 오디오는 다 되었다 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라는 얘기가 아직도 나오니까요. 비디오의 경우는 디지탈 비디오로 오면서 대략 다 해결했다고 보고, 실제로 그렇게 인정하거든요. 압축 같은 부분은 아직도 갈 길이 멀긴 합니다만.
오디오의 감성은 도대체 어디까지 가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비디오도 HDR이 나오면서 다시 감성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ㄷㄷㄷ
-
풀맨
05.24 16:09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귀로 소리를 듣는게 아니라 귀로 이미지를 들으려고 하기 때문에 그런 말이 나옵니다. 서로 입력 호환이 안되니 당연히 불만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분들은 어쿠스틱 음반을 사서 자기 스피커로 듣고 나서 그 가수가 하는 어쿠스틱 라이브 콘서트에 가면 좋다고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뭔가 항상 듣던거보다 부족한데?' 라고 마음 속으로 외치는 분들입니다.
-
왕초보
05.25 01:27
맞습니다. 그 이미지나 감성이란게 도대체 뭐냐는 화두가 나옵니다. 그걸 잡는 기술이 다믕 세대를 잡을 것이거든요. 결국은 문화별로 심지어 개인별로 다른 취향을 어떻게 제대로 저격하느냐 하는 얘기가 됩니다.
-
저도 매드캣츠 모조가 와서 주말내내 커펌 가지고 놀았습니다.
cm 12.1 로 업글 : 구글 플레이무비 재생 미지원,올레TV앱은 루팅기기라 떠서 사용불가 ㅡㅡ
remix os: 키보드 마우스 없으면 사용 불편
구글TVos :오늘 저녁 해볼까 하는데 결제한 영상과 팟캐스트만 보려는 용도로는 이게 최선인듯하네요
-
바보준용군
05.23 10:44
전 다포기하고 넥서스 플레이어 유튜브 머신으로 활용 중입니다 -_-
딱히 안드로이드로 삽질할거면 x86 기반 미니pc 하나 들이는게 압도적으로 편하죠
(실제 소비전력도 어느정도 하이엔드급 안드로이드 셋탑 과 비슷합니다 -_-)
굳이 nas 구축할필요도 없고 외장하느 하나 빅아놓으면 해결될 문제죠 -
돈돈돈까스
05.23 17:42
일단 유튜브 머신으로 쓰고...NAS가 있다면 KODI로 동영상 보는것만으로도 전 제값 하는것 같더군요.
저같은 경우는 POOQ이라는 VOD 서비스를 사용하는데...(월5900원인가 ;;;) 중국산 안드로이드TV같은 경우에는
POOQ도 설치되어서 편하더군요...거기에 블투 게임패드 하나 있으면....조작은 더욱 편해집니다;;;(물론 키보드만 하겠습니까만;;;)
취미로 할만한 게 아니라면 어느 선에서 멈춰야겠지요. 말씀하신대로 제대로 할려면 리눅스나 서버세팅 정도는 할줄 알아야 하는데, 나스도 그렇고 그럴 시간과 돈이 없어서 안하도록 선을 긋습니다. ^^ 뭐 컴공 석사 과장님은 혼자서 심심할 때 세팅해서 바로 즐기더라구요. 저는 그쪽 전공도 아니고 지식도 없어서 적당히 안하고 삽니다. 좀 힘들더라도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