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계학습, 딥러닝의 차이
2016.08.12 15:53

AI
기계에 의해 재현되는 인간 지능
- 인간의 모든 감각 또는 그 이상과 모든 판단력을 갖춘 놀라운 기계
- 아직도 영화나 SF소설에서 등장하고 있으며 지금 기술로는 실현 불가
- 이에 따라 AI 발전은 특화형 (Narrow AI) 로 집중. (카메라의 얼굴 인식등)
기계학습
특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단과 예측하는 알고리즘
- Narrow AI 보다 정교하게 발전된 개념이지만 알고리즘을 인간이 일일히 코딩해야 함.
- 스팸메일 처리 등 보다 복잡한 처리를 수행함.
- 테슬라 자동차 사고처럼 인지 불가능한 영역서 불안정하거나 오류를 일으킴.
딥러닝
뇌의 인간 신경 네트워크를 모방하고 복잡하고 방대한 처리를 강력한 컴퓨터로 실현.
- 기계학습보다 정교하며 자체적으로 알고리즘을 향상시키는 체제.
- 빠르고 강력해진 병렬처리 컴퓨터(GPU) 의 출현 및 방대한 이미지, 텍스트 및 상호 관계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 (빅데이터) 으로 현실화
- DB가 커지고 교육을 반복할수록 정확도는 기계학습보다 증가한다.
- 100% 에 점점 가깝게 확률적으로 정확도를 올리는 것이지, 100% 에 이르진 못한다.
- 3살 박이 아이가 말하는 것이 어색한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이 이상 (인간과 유사하게) 가려면 새로운 AI 패러다임으로 옮겨가야 한다.
코멘트 5
-
제이크스태덤
08.12 16:16
-
해색주
08.12 17:53
저는 세 가지 차이를 잘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바이오통계 갔는데 아직은 기본만 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에 관심이 많아요 ㅎㅎ. -
사드사랑
08.12 23:11
저 새로운 AI 파라다임이 그것이 실현된 사회에 사는 아이들한테는 당연한 상식일텐데 하는 생각을 하면, 이세돌이 세살 아이한테 진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죠. ^^ 그나저나 에너지 문제는 어떻게 흘러갈지 궁금하네요. AI가 해결해 줄래나.
-
제이크스태덤
08.13 15:06
그 말씀을 하니 아이작 아시모프 엔트로피 만화가 생각나네요. ㅋㅋ
-
SON
08.15 20:35
잘 읽었습니다~
이세돌은 세살아이에게 진...크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