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추천 좀 해주세요.
2018.02.26 21:42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해색주입니다. 먼지가 덜 나는 아파트로 이사왔는데요. 밖에 공기가 너무 안좋아서 결국 공기청정기를 사려고 합니다. 집에 천식이 있는 아이가 있어서 꼭 필요한데요. 지금까지 알아본거는 삼성, 엘지, 쿠쿠, 샤오미 미에어2입니다. 단순한 기능에 필터 계속 갈아준다는 생각이라면 미에어2도 좋지 않나 생각도 합니다.
근데 금방 고장나면 어쩌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어떤거는 기계는 싼데 필터가 기계 절반 가격이라네요.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공기 청정기는 사람마다 다 기준이 틀려서 검색이 힘드네요.
코멘트 16
-
바보준용군
02.26 22:30
미에어2s 보단 미에어 프로 추천 드려요^^:
-
요즘 프로가 싸게 나오더라구요.
할인이벤트있으면 프로 사는거 저도 프로추천합니다 -
바보준용군
02.26 22:49
한마디 더 팁을 드리자면 저는 4~5개월에 한번 필터 한번 털어서 재활용 합니다.(중국애들이 6월마다 갈라고 만든건데 적어도 대한민국 대기상태가 중국 서부처럼 개차반이 아니라고 생각해서-_-..1년은 울궈먹어 줍니다)
저는 지저분한거 무자게 싫어해서 집구석에 먼지 굴러다니는거 안좋아해요.
두대 굴리고 나서 느끼는건데 먼지 제거 청소로 물티슈나 물걸래로 딱아내면....이전에 비해서 먼지 가 반 이상 줄었다는 겁니다.
봄 가을 같이 창문열기 골룸할시기에 심리적인 압박감도 줄고요
그래도 라돈 이라던지 주방에서 나오는 유독 가스 그리고 인체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기타등등 환기는 시키셔야 해요
-
바보준용군
02.26 22:29
미에어2 두대 쓰고 있습니다
(실평수 16평 정도되는 이상한 직삼각형 형태의 다가구 주택입니다-_-;;;)
한대는 거실에서 가동중이고 한대는 침실에서 가동 중입니다.(아내가 기관지가 매우 약합니다. 저는 미세먼지 이딴거 신경 안써요-_-영원히 살생각은 없는데 제가 아프면 가슴 아플사람이 눈에 보여서 건강관리 조금이라도 하고 있습니다.)
다른집들 쓰는거 보니 확연하게 성능차이는 느끼지 못하나 ....싼게 비지떡이겠죠...
미에어2의 최대 강점이 싸다는 겁니다-_-
필터도 싸다는겁니다 (원형모델이 발뮤다 고스란히 카피한거라-_-....공기청청기 기기 자체 성능 따지는것 자체가 좀 많이 웃기는 겁니다-_-...걍 센서랑 연동된 팬이 들어 있는 플라스틱 상자에요)
결국 필터 뭐가 좋냐 에서 차이나는거지 기계 자체에서 차이나거나 부가기능 더달려있냐 거기서 차이 인게요
진리의 가성비는 사각선풍기 돈만원짜리에다가 자동차용 에어콘 필터 매다는게 최고죠-_-
미에어 단점은 팬 분해해서 청소하기 x랄 같다는거고요....센서가 좀 x신입니다-_-.(그래도 밥값은 해요)
활성탄 필터도 내장 되어 있어서 냄새도 잘 빨아들입니다.(굳히 필터 여러개 안써도 되고 한개만 통체로 교체하면됩니다.그래도 환기는 시키셔야 해요 )
중국처럼 스모그 속에서 해엄치는거 아니라서 1년에 1번 교체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만 아주 비싼모델아닌 이상 적당한 가격에 한대 사실듯 한데 그냥 싼거 두대 돌리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솔직히 제일 문제는 유지비 거든요
특성상 셧다운없이 1년 내내 24시간 가동해야하는거고요
-
가을
02.27 20:53
위닉스 제로가 가성비가 좋다고 합니다. 효과도 좋구요.
중국산을 사면 중국 공장을 더 돌리게 만드는 거니까 중국산은 되도록 안 사는 게 좋겠습니다.
중국 공장들 때문에 공기가 나빠진 건데요...
자기들이 매연을 뿜는 공장들을 중국 동해안 근처로 옮기니까... 공청기나 필터. 마스크 원자재 등등 수출이 더 늘어났다는 결과가 되면 중국은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는 거죠. 그럼, 공장을 더 옮길지도 모르고요.
삼성 공청기는 중국에서 만드는 걸로 알고요. (백프로 확실친 않지만) 위닉스는 국내 제조인 걸로 압니다.
-
바보준용군
02.28 11:01
그게...중국에서 만들게 하니가 더그럴수도 있다....라는게 ....좀.....
기본적으로 가공 해온 원자재는 대부분 중국에서 1차 가공을 거쳐서 오거든요...
.....대부분 설계와 조립만 국내에서 해요....그나마 임가공비 때문에 중국에서 다해오는 추세고요...
그래도... 필터 는 우리나라가 만들지 않냐 물어보신다면요...
필터 원단 공장이 아마 중국 일거에요...
아마 완제품 형태로 출고 된다 그런것 뿐이지...전공정을 자체 생산한ㅁ다는 없을거에요.....특히...생활가전은...거의 다그래요...
-
가을
02.28 19:38
정부에서 중국에 항의를 하는 것도 아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중국제품 불매하는 건데... 최소한 공기청정기는 중국산을 사면 안 될 것 같습니다.
공기청정기 품질비교시험 결과보고서 2016년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2023&itm_seq_1=2#report_tab02
-
SYLPHY
02.28 21:11
LG제품은 필터가 샤오미와 동급(저급)이고,
삼성이 필터가 괜찮습니다.
삼성이 싫으시면 위닉스도 필터가 괜찮습니다.
참고로 이 구역의 최강자는 암웨이 앳모스피어입니다.
저 또한 윗 분과 마찬가지로 샤오미를 굳이 사야 하나 싶습니다.
중국에선 한국이 싫어서 한국제품 안 삽니다.
사드 등 중국의 경제보복은 여전히 진행중입니다.
중국산이 싸다고 한들, 굳이 살 필요가 있을까요?따지고보면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싸지 않습니다.
필터를 싼걸 써서 쌀 뿐입니다.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모든 모델이 E등급, EPA 필터를 씁니다.
삼성, 위닉스는 H등급, HEPA 필터를 씁니다.
성능은 당연히 HEPA가 우수합니다.
미세먼지는 특히나 HEPA급은 되어야 걸러집니다.
같은 계열, 그러니까 EPA냐 HEPA냐는 근본적인 입자 필터링 성능을 나타내고
동일 계열 내의 숫자는 입자 저감 속도를 의미합니다.
샤오미로는 제아무리 잘 걸러도 EPA급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
풍량이 어떻고 간에, 필터 성능이 저급이기 때문입니다.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필터 성능 생각하면 비싼 편입니다.
샤오미 사실거면 제일 싼 모델을 여러개 사는게 가격대비 성능이 좋고
미에어프로같은 고급 모델은 비쌉니다. 비싼 값에 비해 성능은 겨우 EPA급일 뿐입니다.
여담이지만 천식이 있는 분이 계시다면 암웨이 앳모스피어 추천합니다.
HEPA보다 상급 필터를 씁니다. 필터 교체비용도 40만원선이라 비싸긴 한데, 사용해 보면 값어치를 합니다. 다릅니다.
-
바보준용군
03.01 17:54
저기 미에어 필터는 h12 등급입니다....
국내기준으로는 e12 등급이 되겠네요....
물론 기본 번들 필터의 기준이고요...
호환필터가 성능이 좀더 좋습니다....
샤오미 필터가 더 비싸다고 하시는데...적게는 2배...많게는 10배차이가 나는데요.....
샤오미 1세대가 h11 등급 쓰다가 개선후 12등급으로 사용하며
삼성도 12등급입니다.엘지도 12등급
위닉스도 최신 제품 아닌이상 12등급이고
샤프도 최근에 들어서 13등급 사용하며
암웨이만 13등급 14등급 사용해요.... -
SYLPHY
03.01 18:34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EPA 등급입니다.
E12등급은 HEPA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EPA입니다.
E12와 H13은 미세먼지 저감 능력에서 차이가 큽니다.
E11/12를 HEPA라 부르시면... 곤란합니다.
제조공정 자체가 다릅니다. E11/12는 제조공정이 유사한데 이 둘은 사실상 같은 필터입니다. 두께만 차이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H13은 별도 제조공정이 필요합니다.
EPA급과 HEPA급은 디자인도 달라져야 하는데, 샤오미 공기청정기 모양으로는 HEPA 필터를 쓸 수가 없습니다.
삼성 H13등급 공기청정기를 추천하는 것이고,
삼성 E12를 추천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정도 급이면 그냥 디자인 보고 사면 됩니다.
LG는 H13등급 공기청정기가 아얘 없습니다. E12가 최고입니다.
그러니 LG를 추천하지 않는다는겁니다. 아무리 비싼 모델도 EPA급입니다.
암웨이 앳모스피어는 H14입니다.
실내에서 미세먼지 측정기 가지고 실험해 보면
E12와 H13은 미세먼지 저감 능력에서 차이가 꽤 나더라구요.
-
바보준용군
03.01 21:54
좀 복잡한 사정으로 이런이야기까지는 안하려 했습니다.
삼성전자 홈페이지나 제품 카달로그에도 아에 h13필터를 사용한다가 아니고 h13등급에 준하는 필터를 사용한다 라고 2016년도에 바뀌었습니다.(한번 재대로 털려고 하다가모종의이유로 좋게 좋게 넘어간걸로 압니다-_-)
(해당건 이슈로 말이 많이 많습니다.)즉 말장난에 놀아나면 안 되는겁니다.
실제로 성능은 h12 등급 수준으로 알고 있고요...
오존 발생여부는 일단 접어 두죠
미에어 시리즈나 에어엔진 시리즈 퓨리케어 시리즈 터럼 원통형 터널방식 쓰는 이유는 공력 특성상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부르는 h13등급의 필터를 사용하려면...제품이 그만큼 대형화 되어야해요...(끝판왕이라고 불리는 그놈이 칭찬받는이유도 상당히 크지만 소형화 성공해서-_-...로터리 팬방식이 오히려 필터크기 키우고 제품 대형화시키면 유리하죠)
샤오미 제품을 옹호하는게 아니고-_-
저런 가전류 자체의 크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겁니다 (장모님댁 미용실에 일명 끝판왕이 있긴 합니다-_-)
동일 형태의 동일 집진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중에 제일싸요-_-....유지비도 제일 싸요(교체도 제일 쉬워요-_- 걍 봉다리 대고 쏙뽑아서 그대로 갖다버리면 됩니다.
저런류 필터 제조 하는 회사 같은 경우 이런 이야기 드리면 뭐 하지만 들어가는 자재....원단....가격 차 가 없어서 (오히려 더 싼 경우가 많아서-_-) 뭐 이건 이야기 하면...좀 거시기 하네요....업체 원단 들어가는걸 집적 보셔야 납득 하실겁니다
뭐 자세한건 실제 실험을 통해 알수 있지만(아시겠지만 등급이나 실험해주는 업체도 전부 외주고요....잘 안써주면...일 끈겨서 망해요 -_-실제로 제 아는 동생 있는 그대로 술술 불다가 그다음날 해고 처리 되었다죠-_-)
솔직히 세상에 믿을거 하나 없는 세상 입니다-_-
여유가 있다면 엣모스피어가 답입니다.
뭐 배출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주깨끗하게 걸러져서 나오는게 아니고 적당히 걸러서 재순환해서 전체적으로 줄이는 그런 방식이에요-_-
원룸에서 엣모스피어 100개 돌려도 어자피 환기는 해야합니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라듐이런거 결국 환기시켜서 새로운 공기를 진입시켜야하는거죠...
차라리 창문에 집진장치 와 여과장비 달아서 대류 순환 시키는게 더나을거에요...(이건희 사는 집처럼-_-어지간한 반도체 공장 수준의-_-....)
끝으로 공업용이 아닌이상 가정에서 쓰는 공기 청정기의 성능은 따질 논의가 아니라서 ...(뚜껑열면 소비자 우롱수준이라)
그냥 공기 대류 하기 좋은 가장 강한 출력을 가진놈을 사시고 유지비 저렴한거 쓰시면 되는겁니다.
-
삼성 제품 구입하실거면... 혹시 주위에 삼성 에어컨 구입하는 분들중에
공기청정기 사은품으로 받은 것 싸게 구입하거나, 사은품 중고장터에 나오길 기다렸다가
구입하세요. 어느 특정 모델이 사은품에 물려서 싸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그렇게 싸게 구입 했네요. ^^
-
해색주
03.01 22:03
위닉스와 샤오미 프로 가운데 저울질 하다가 엉뚱하게 샤프로 구매했습니다. 그 전에 아이들 방 청소기나 좀 돌려야 하는데, 아이들이 청소하는 것을 정말 싫어하기는 하네요.
-
영진
03.03 06:14
공청기는 다 비슷비슷해요 그런데 공청기 사용하면 습기까지 빨아들여 너무 건조해지죠. 안그래도 건조한데 가습기기능이 같이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센튜리에서 나오는것도 있고 라쿠텐통해서 살수있는 샤프같이 일본제품중에 가습용량도 좋은 제품이 많아요.
-
해색주
03.03 13:35
샤프는 가습기 기능이 있더라구요.
메에어프로나 미에어2s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