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한참만에 쓰는 글이네요.


이 내용도 회자된 지 꽤 된 것인데. 들어보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저글링을 잘 해야 승진하는 회사가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었습니다.


다들 회사를 성토하고 대표자를 비난하고 그랬었죠.


여러가지 생각을 해 봤습니다. 과연 현재 우리나라 사회구조와 뭐가 다른가 싶어 말이죠.


요즘 애들은 유치원부터 초 중 고 대 사회생활까지 엄청난 경쟁을 합니다.

그리고 그 경쟁이 다 상대구조 입니다. 몇 명을 통과시킬지를 정해놓고 시험을 치르고 시험 점수로 평가하는 것이죠.

사실 이 시험점수로 평가하는 것은 굉장히 무식하고 단순한 방법입니다. 개개인에 대한 평가 오류가 심하게 날 수 있음을 감수하고

전체적인 총합, 집단 총계의 평가 통계에서 우수한 쪽을 뽑았다고 만족하는 구조이지요.


그리고 그 평가는 그냥 무식하게 하나의 잣대를 이용해 버리죠. 예를 들면 수능시험이나 공무원시험 같은 게 그렇습니다.

그리고 경쟁과 조금이라도 높은 점수를 받는 쪽이 보다 좋은 댓가, 학습조건, 노동조건, 사회적 대우를 받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사회가 그렇게 굴러갑니다. 승자는 모든 것을 얻고 패자는 모든 것을 잃는 경우도 나오죠.

이런 상황에서 상대평가에서 다른 경쟁자를 밟고 올라가는 것은 당연한 정당화가 됩니다.

경쟁이 심화되면서 평가의 고도화, 평가를 잘 받으려는 고도화가 모두 이뤄집니다.

평가의 고도화 쪽에서는 공부와 학습과 관계가 적어보이는 기묘한 문제를 출제합니다. 변별력이라 하죠.

평가를 잘 받으려는 고도화 쪽에서는 온갖 네트워크와 정보망을 통해 그 기묘한 문제가 무엇일지 슈팅하는 일을 합니다.

그리고 이 기묘한 문제의 출제는 변별력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죠. 우리사회에서 상당히 왜곡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변별력이라 함은 학습의 단계를 측정하고 피평가자가 어느 단계에 가 있는가를 구분하여 차기 학습과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변별력은 일정 점수 이상을 받는 사람을 줄여서 제한된 인원만 선발할 수 있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함을 의미합니다. 학습단계 측정 그런거 없습니다.

이해력과 사고력, 그리고 윤리성, 보편성 등의 종합적 변별을 위한 평가과정은 온데간데 없죠.

이런 불합리한 시험을 높게 받은 사람이 우수한 사람이다? 동의할 수 없습니다. 말도 안되는 변별을 위한 시험일 뿐입니다.

우리 사회의 젊은이들이 이런 불합리를 받아들이고 수용합니다. 그러면서 이 시험을 통과한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을 깔보고 경시합니다.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사람이 이 불합리를 깨지 못하고 오히려 수긍하고 동의합니다. 자신도 언젠가 합격하여서 저쪽으로 갈거야 하고 말이죠.

그리고 이 시험의 보편성을 지지하고 오히려 견고히 만들고 있지요.


이 말도 안되는 내용을 적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우연찮게 그 문제 자체를 평가하게 된 일이 있었는데, 참으로 납득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렇게 키워진 다음 세대에 면목이 없었습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으로 특정 재능과 직역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하고 지원하는 게 더 낫지 않나 싶은 생각까지 들더군요.


차라리 저글링이 나아 보였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공지] 중간 업데이트/ 다시한번 참여에 감사 드립니다 [7] KPUG 2025.06.19 235
공지 [공지] KPUG 운영비 모금. 안내 드립니다. - updated 250601Su [28] KPUG 2025.06.01 723
공지 [안내의 글] 새로운 운영진 출범 안내드립니다. [15] 맑은하늘 2018.03.30 31611
공지 KPUG에 처음 오신 분들께 고(告)합니다 [100] iris 2011.12.14 441902
28149 모형 근황 [5] file matsal 08.12 259
28148 구글 카메라 포토스피어 없어졌나보네요 [7] TX 08.11 339
28147 새 건물과 네트워크 선로, 와이파이. [6] TX 08.10 329
28146 펌, 링크] palm 새로운 모델 유출 [9] file 앙겔로스 08.10 414
28145 왔어요 왔어 !!!!! [6] file 바보준용군 08.09 363
28144 [지름 은 아름 다워라] 질렀습니다....드디어 ....드디어 ㅠㅠ [6] 바보준용군 08.08 397
28143 Nice boat [9] file matsal 08.08 404
28142 컴프레샤 방음부스 DIY [8] file matsal 08.07 3021
28141 상태를 알 수 없는 palm m515 2개 -> 잘 됩니다. [20] file 두치 08.06 389
28140 오늘 주행거리 20만 마일을 돌파 하였습니다. [15] file minkim 08.06 558
28139 모형 근황 [8] file matsal 08.05 275
28138 10년 이상 구형 에어컨과 신형 에어컨 전기사용량 차이.. [8] Pooh 08.04 1659
28137 옆동네 글/ 국가보훈처가 발굴하여 등록한 유공자 사례... [4] 맑은하늘 08.04 246
28136 박종철 열사 아버님이 영면하셨다고 합니다. [5] 왕초보 08.03 224
28135 가난할 수록 아이에게는 비싼걸 사주세요. [20] 최강산왕 08.03 507
28134 스냅드레곤 710 탑제한 그 폰이 도착 했습니다. [5] file 스파르타 08.02 368
» 저글링을 잘 해야 승진하는 회사.. [10] 피델리티 08.01 905
28132 샌프란시스코와 오사카 [7] 왕초보 08.01 268
28131 히로카즈 고레에다 감독 신작 '어느 가족' 개봉 기념 세일!! 박영민 07.31 204
28130 오랜만에 근황이야기 올려봅니다. [8] 인간 07.30 364

오늘:
1,113
어제:
1,262
전체:
16,402,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