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와 산업디자인
2025.07.16 00:25
거창하게 제목을 올리긴 했지만, 냉장고 구매 후기 뻘글입니다. ^^
차고의 냉장고가 퍼지고, 짧은 고민끝에 수리 포기하고 새로 구매하고 잘 사용중입니다. 신기했던 것이, 외형크기는 퍼진 구 냉장고랑, 새 냉장고가 거의 같은데 용량이 57리터 차이가 난다는 점이었는데, 제가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는..
새 냉장고가 훨씬 더 직육면체에 가까운 설계입니다. 뭐 별다른게 없고, 곡면이나 튀어나온게 전혀 없는 설계예요. 대신 냉장고 속이 약간 삐뚤빼뚤합니다. -_-;; 그래서 외형크기를 유지하면서 용량을 8%! 가까이 키운 거죠. 왜 그랬을까 생각해보니..
결국 박스 크기가 한 컨테이너에 몇개 넣을 수 있는가를 결정하고, 그게 운송비를 결정합니다. 즉 국제무역이 당연한 전기전자 제품의 설계에 있어서 운송비를 절감하는 방법은, 무게를 줄이는 것은 아니고, 부피를 줄여서 컨테이너에 한개라도 더 싣는 것이 거의 유일한 방법인듯 합니다. 그 목적을 위해, 제품의 간단한 변형도 필요하다면 할 수 있겠는데, 이 냉장고 경우엔, 메뉴얼, 설치공구 같은 것들이 냉장고 안에 들어있더군요. 옛날엔 별도 작은 박스에 넣어서 제품박스 제일 위 (즉 열면 바로 보이는 곳)에 넣어두었었듯 하거든요.
제품 자체의 가격이 상당하다면 (예: 수퍼카) 이런 고려가 큰 의미는 없겠지만, TV나 냉장고처럼 이윤이 극히 박한 제품의 경우엔 이런 고려가 중요해질 수 밖에 없고 컨테이너 구성 측면에서 더 효율적인 설계 기술이 의미가 있겠습니다. 그런 생각에서 냉장고 손잡이 아이디어가 생겼는데.. 그 업계가 아니니 사장(killed)되겠죠.
망가진 냉장고는, 생각해보면, 아마도 motor driver IC 한두개 또는 캐패시터 한두개 망가진 정도였을텐데, 버려야 했던게 안타깝기는 하지만, 저로서는 이게 최선이었던듯 하고요, 그 냉장고는 잘 닦아서 보냈으니 어쩌면 landfill로 안가고 누군가가 수리해서 사용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제품도 소비자가 수리하기 용이한 설계를 적용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코멘트 3
-
PointP
07.16 07:35
저는 왕초보님의 냉장고 글을 보고 묘하게 대한민국 아파트와 평형이 생각났습니다. -
요즘 냉장고 보면..외부 크기는 같은데 내부 용량이 좀 틀린 경우가 있는데.. 아마도 그러한 이유로 외부 크기는 제한을 두고 내부 용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용량 늘리는 것 같습니다. 고급형은 비싼 단열재 들어가고 일반 보급형은 스티로폼 들어가고. 저희 집에 있는 냉장고 상냉장 하냉동 폭 60cm 냉장고인데.. 하나는 400리터, 다른 것은 320리터 입니다. 냉장고 벽 뚜께도 다르네요.
-
minkim
07.16 13:51
가전제품은 수명이 다 하면 새로 사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이사온 지 10년이 넘었는 데, 세탁기와 전자 레인지만 바꾸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