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깔고 다시 윈도우로;;
2010.07.10 23:20
코분투(우분투의 한국판? 로컬리제이션만 된것인지;;)를 usb메모리에 설치하여 집 랩탑에서 가끔 씁니다.
하지만 제 무선랜카드 드라이버를 어떻게 인스톨해야 할지 몰라서 windows를 쓰고 있습니다.
판매업체가 제공하는 드라이버들이 전부 c 소스이던데, 저는 makefile이 뭔지도 몰라요 -_-;
오늘은 실험실 제 개인컴퓨터에 클러스터링 툴로서 CERN에서도 쓰고 있다는 Scientific Linux 5.5를 인스톨했으나,
유선 네트워크가 떡하니 잡혀있는데도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서 다시 windows로 복귀 했습니다.
심각할만큼 windows에 익숙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어떤 운영체제를 쓰는가 보다 얼마나 잘 쓰는가가 중요하긴 합니다만,
때로는 연구 목적으로 리눅스를 써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한다는게 안타깝긴 합니다.
사용기에 클러스터 관련 글을 올렸는데,
제가 사용하는 상용 유체해석 코드가 리눅스에서 10% 정도 성능 향상이 있다해서
리눅스를 설치해봤으나 사용을 못하는군요.
다음에 재도전을 해봐야 겠습니다.
코멘트 4
-
마루타
07.10 23:36
익숙한것을 사용하는것 자체가 효율적인것일수있죠 ^^;
무엇을 사용하든.. 잘사용하는것이 중요한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무엇이 좋아서 그것을... 이 아닌 잘사용하는것이 중요한것인것같아요.
-
저도 이해합니다.
비디오 분석이였는데요. 우분투에는 기본 미디어 플래이어에 있는 기능을 윈도우나 맥에서는 찾기 힘드네요. 그래서 리눅스로 돌아갈일이 가끔씩 생깁니다. 지금 마음 같아서는 운영체제를 3개나 다 갖고 있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야 일을 빨리 끝내고 집에 일찍 가죠. ㅎㅎ
-
왕초보
07.11 15:28
필요한 OS갯수대로 컴터 댓수가 있어야 합니다. 멀티부트 하나만 가지고도 머리아프거나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거든요. 일 하는데는.. 돈으로 쳐발라야 합니다.
리눅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리눅스가 잘 돌아가는 하드웨어가 있습니다. 그대로 맞춰주면 무선랜도 그냥 붙습니다. -_-;;
Ralink 계열도 우분투에서 쓰려면 칩셋에 따라서 컴파일 해야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