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과 옥수수 (2)...
2010.10.19 15:49
자고 일어났더니 리플이 22개나....
예상못한 수치군요.
그래서 일단 part 2를 쓰도록 하겠습니다.
그냥 구해 보실 수 있으면 그게 훨씬 나을거 같습니다만.
그것도 그렇게 쉽지 않을 수 있을거 같으니까요...
대부분 질문 하신것이
"옥수수 먹지말라는 이야기 인가요?"
이신데
북미 인디안들의 주식도 옥수수 였고
남아메리카 인디안들의 주식도 옥수수 였습니다.
그러나 두 민족은 옥수수 때문에 비만으로 삶을 위협받았다는 얘기는 없죠
심지어 옥수수의 습격 2편은 지금도 살아남은 남미 인디오들이 전통대로
옥수수를 갈아서 먹는 식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도 보여줍니다.
물런 + - @ 가 있습니다만...
한마디로 옥수수 자체가 나쁜게 아님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안먹는다고 안 먹게 되는것도 아님니다.
패스트 푸드등을 튀길때 기름, 기타 식용유 유재품, 사먹는 음식의 단성분
과자 아이스크림 캐첩 마요네즈 청량음료 등등 부터
대부분의 소,돼지,닭 등 전세계의 가축사료는 주 원료가 이 옥수수 입니다.
심지어 그 닭의 계란과 그 소의 우유 까지도...
그러니 1년에 옥수수 하나 안먹는 저도 머리카락 뽑아서 조사하면
30~40%는 옥수수 성분입니다.
문제는 과다 섭취와 옥수수의 주 성분이 비만을 유발하기 쉬운 오메가 6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겁니다.
결국 균형이 깨어지면서 비만이 되고 그로인한 여러가지 질병 질환이 생긴다는 거죠
특별히 운동 하지 않아도 옛날 사람들은 기본적인 먹거리 만으로도 비만은 생기지 않았다는거죠
사실 상식적으로 세끼 햄버거만 먹어도 비만이 된다는게 이상하지 않습니까?
양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 먹는 밥의 양보다 적은데 ...
결국 결론은 저런 불균형 이고 현대 생활에서 저런 옥수수성분의 오메가 6가 포함된 음식을
피하기는 어려우니 옥수수의 습격 2부에서는 그렇다면 어떻게 그 불균형을 피할 수 있는가에
대해 나옵니다.
풀을먹고 정상적으로 자란 동물과 그 부산물
( 생각보다 닭도 풀을 엄청 많이 먹더군요
돼지도 주식은 풀이라고 할 만큼 많이 먹더군요
소는 말할 필요도 없고... )
그리고 각 대륙마다 숨겨져 있는 오메가3가 들어간 옥수수의 대항 식물들...
우리의 경우 옥수수는 고려시대 처음 들어왔습니다만
지혜로운 우리의 선조들은 항상 옥수수와 함께 참께를 같은 밭에 심었습니다.
지금도 과거 인디오 식으로 생활하는 남미의 부족들도
신기하게도 항상 옥수수를 갈아 음식을 준비할때는 오메가3가 많이 들어간
참께와 같은걸 갈아서 같이 먹는다더군요
유럽에서도 동물사료에 유채씨를 같이 첨가해 넣는 오래된 얘기들이 있다고 합니다.
결국 과거의 사람들은 알고 있었다는 거죠...
(그렇다고 결론이 이제 참께를 많이 먹자는건 아님니다... -_-;)
제가 보고 느낀것은 결국 균형이라는 거죠
현대 생활에서 아예 짐싸들고 귀농해서 자급자족하는 시골 생활을 하는것도 쉽지않고
그렇다고 저런 유기농 천연의 건강한 동식물의 음식만을 구해 먹는것도 어렵고
옥수수를 이용하지 않으면 사실상 현재 세계의 낙농업과 산업은
유지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오메가 3를 먹는것 혹은 포함된것을 먹어 균형을 유지하는것도 한 방법일테고
운동을 해서 균형을 맞추는 것도 방법이겠죠
제가 내린 결론은
"균형을 맞추는것"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공부하고 알아갈것
이었습니다.
저는 저 나름대로 보고 느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게 정답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위 내용도 나름 상당히 다큐의 내용을 축약 한겁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결론을 내리셔야...
뭐 일단 구하실 수 있으시다면 구해 보실것을 권해 드립니다.
다이어트가 좀더 쉬워 질 지도 모르죠
코멘트 10
-
김강욱
10.19 16:14
(혼잣말)술에는 안들어가겠지...-_-;
번개 가야 되는데~
-
왕초보
10.19 16:19
구하긴 쉬운듯. ( '')
-
옥수수만 보면 다이아를 달라고 할 것 같아서..;
-
왕초보
10.19 16:30
구글해보니 이게 문명 얘기라는데.. -_-;;
-
습자지처럼 얇은 지식에 불과한데도 한 줄 써봅니다....
현대 미국인들의 몸을 이루는 단백질의 대부분은 옥수수의 단백질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아마 단백질을 형성하는 탄소를 분석해서 알아낸 결과일 겁니다.
식물마다 탄소동화 방식이 다른데, 동물의 단백질을 분석(탄소동위원소 분석)해보면 어떤 식물에서 유래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오직 식물 만이 단백질을 형성하는 탄소를 끌어올 수가 있기 때문에 추적이 가능한 것이겠죠. 특히나 옥수수는 식물 중에서도 남다른 탄소동화방식이라 추적이 쉽다고 합니다.
여하간에 일년에 옥수수 10개도 안먹는 제 몸의 단백질 30% 이상은 옥수수에서 유래한 것이라 합니다(평균적으로).
미국인들의 거의 대부분의 단백질은 옥수수에서 유래했다고 하구요....
옥수수 자체의 유해성이 관건이 아니라, 오메가3, 오메가6의 불균형이 문제라고 보고 있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오메가6 많은 건 콩기름, 참기름, 옥수수기름, 면실유 등이 있구요(튀김에 많이 쓰는 식용유...)
오메가3가 오메가6보다 더 많은 음식은 아마씨, 연어, 청어와 같은 등푸른 생선이라고 합니다
근데 아마가 머하는 식물인지 생소하네요
-
왕초보
10.19 16:35
아마가 모시만드는 풀 아닌가요 ? 대마 사촌 ?
-
대마 하면 떠오르는 것이 대마초.....
어릴 때 호기심에 삼밭에서 슬쩍한 잎을 말려서 피워 봤는데, 전혀 감흥이 없더라구요.
그나저나 아마가 궁금하긴 한데......이름으로 봐선 대마사촌일 가능성도 있네요.
-
이거 구해서 한번 봐야겠습니다.
오메가 3 섭취하고 있는 1인
-
마음조정
10.20 01:54
오메가3를 섭취해야 하는건가요?
이제야 머리가 명쾌하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