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식 터치에 대해 질문 - 왜 정전식디바이스용 스타일러스 끝은 뭉툭한가요?
2011.06.15 09:01
안녕하세요, 토로록알밥입니다.
그냥 궁금해서 하는 질문이군요.
아이폰3gs에서는 스타일러스가 필요없었지만,
아이패드2를 사니,
스타일러스가 있어야 겠군요.
헌데, 스타일러스들은 끝에 모두 작은 콩알같은 펜촉을 달고 있더군요.
정전식은 기기의 액정(?) 표현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는 원리라
전도체에 반응한다는 데,
펜촉이 얇고(플러스펜 같은 펜촉 굵기?),
전도성이 강하다면, 가능한거 아닌가요?
뭉툭한 펜촉으론 필기감이 별루일 것 같다~라는 생각때문에 일단 스타일러스구매를 망설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너무 비싸잖아!!!;)
또 하나 유튭 자작영상 중, 제일 맘에 드는 것은
과자 봉지의 은박(혹은 은색?)부분으로 스타일러스를 만들더군요. (아래비디오)
<iframe width="560" height="349" src="http://www.youtube.com/embed/WwaMKP0ryH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중,
저 과자 봉지보다 더 전도성이 좋고, 펜 끝으로 쓰기에 적절한 게 있을까요?
덧. 비디오속 저 스타일러스 참 마음에 들지 않으신가요? : )
코멘트 5
-
토로록알밥
06.15 13:17
사람 손가락도 정전기를 일으켜서 그런가요? -
펜처럼 펜이 나오긴 부가능할까요? 건전지가 들어간 펜 같은 거 말이죠. -
예전에 중학교때 배운거로는... 프라스틱과 가죽, 동물의 털에 유리 등을 마찰시키면 정전기가 나죠..
그리고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제가 듣기로는 정확도가 감압식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그닥 좋은 성능이 나오지 않을거란 이야기도 있더라고요 ^_^;;
개인적으로는 정전식,감압식이 섞인 스타일이 나오면 좋을것 같아요~. 아니면 와콤타블렛같이 정전식+와콤 타블렛팬으로 섬세한 압력감지 기우림등을 가능 하게 만들던가요.
집에 쓰는 타블렛은 정전식으로 되어있어서 손가락으로 쓰다가 미세한 내용에는 타블렛 팬을 씁니다.
-
정전용량방식의 경우 노이즈에 민감합니다. 전기라는게 어디에서든 감지되기 때문인데요. 그렇게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건 아니겠지 싶은 레벨까지는 전부 노이즈로 처리해버립니다. 얇은 펜 형태로 만들게 될 경우, 실제로 감지가 된다고 하더라도 노이즈 패턴으로 분류해버릴겁니다.
-
와콤의 정전식이라면 펜 인식이 이중으로 이뤄지게 되어있습니다.
스타일러스펜이 둥둥 떠 있어도 '커서' 위치는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화면을 눌러야만 '클릭' 으로 인식하는데요.
이는 펜 안에 감압장치가 있어서 딱딱한 화면을 누르는 걸 정보로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256~1024 단계로 감압)
즉, 화면 보단 펜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는게 더 중요하죠.
와콤 껀 펜 안에 배터리가 없는데, 이는 화면에서 조성하는 전자기장 만으로도 펜을 가동하는데 충분한 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특허가 걸려있죠 -_-
전도성인게 아니라 정전기가 생겨야 하는 구조 입니다.
그렇기에 스크린과 팬이 닿는 면적이 넓어야 정전기가 생기기 좋고
때문에 뭉뚝하거나 털이있는등의 모양이 되는것 같습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