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프라임이 터지면 뭘 해야 할까요?
2011.11.28 16:12
은행도 줄도산 할텐데, 현금이나 챙기고 있어야 할까요? (현금이나 있나~)
뭐~ 마땅히 할 것도 없네요~
코멘트 18
-
iris
11.28 17:38
옳소~ 추천합니다.
-
중국으로 오쎄효~
-
사실 여행하다 생긴 꿈인데...
그냥 네팔 포카라에서 게스트 하우스 할 정도 자금을 가지고 평생 게스트 하우스나 운영했으면 좋겠다...
이런 상상을 해봤습니다.
-
505초보
11.28 21:19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 분을 며칠전에 봤습니다만~~~
근데 취업비자 없이 한 국가에서 게스트하우스 운영하려면 뭔가 특별한 방법이 있나요?
저두 언제가 여행을 하다가 맘에 드는 곳에서 정착하고 싶다는 막연한 희망을 가져보기는 했는데
비자는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하던데요.....
-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태국,네팔,인도 각지에서 게스트하우스를 여시는 한국분들을 보면 방법은 있는것 같더라고요...
우선 랜트를 하고 외국인 등록을 하고 아이는 외국인 학교에 보내고 등등...
-
왕초보
11.29 04:59
은행 줄 도산하는데 대출금은 왜 갚나요 ? 왕창 빌린 다음에 함께 망하는게 바람직한 방법 아닌가요 ?
-
김강욱
11.29 10:22
이게....도산해도 인수당하면 다시 갚아야 한다는 무한 루프가....
-
김강욱
11.29 10:22
왜....댓글이 산으로 가냐고~~~....요....ㅋㅋ
-
대머리아자씨
11.29 11:38
저도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이 궁금하네요.
미국의 경우 서브프라임 사태가 벌어지고 많이 빠졌다 서서히 안정을 되찾으며 가격이 회복된 주식이 무엇인지?
같은 기간, 같은 영향 관계에서 빠졌다가 다시 올라온 우리나라 주식은 무엇인지?
우리나라에서 서브 프라임 사태가 벌어질 때, 미국식으로 갈지?
부동산이 빠지는 것을 기다렸다 잡는 게 좋을지? 아니면 주식에 투자하는 게 좋을지.... 등입니다.
-
역시 금이 가장 좋지 않을까요 ? ㅎㅎ 껴드를이야기는아니지만요
-
김강욱
11.30 16:15
주식에 당장 투자하는 건 위험할 것 같아요.
주식이라는 게 같은 크기의 빵을 누가 많이 먹으려고 덤벼드느냐에 따라 빵의 가격이 결정되는 데, 서브 프라임 터지면 중/저산계층들 PF 대출 환수, 일단 빚갚기, 먹고 살기 위해 은행뿐만 아니라 주식에 넣었던 돈 다 뺄 겁니다. 그럼 폭락이라는 수순인 것 같은데.
문제는 빠져도 다시 복구할래도 이미 서브 프라임으로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한 계층이 다시 올라오기에는 보통 십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합니다.
악재중에 단기 복구 불가능한 악재인듯 합니다.
거기다 금리는 계속 오르니 걔네들 살림은 더욱 팍팍해질테니...죽어라 일하는 수밖에요. ㅋㅋ.
제가 쓰고도 그런 인생 진짜 싫네요...-_-;
-
대머리아자씨
11.30 08:09
음.... 금은 지금도 고가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해요.
살 돈이요?
히히히 없지요.
-
김강욱
11.30 16:15
진짜 금 시장은 이해가 불가능합니다.
대체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
과거 미국에서 1$ 가 금 1 온스...인가 뭐 이런식으로 매칭이 될때는 이해하기가 편했는데, 이젠 종이 쪼가리만 돌아다니는 상황이 됐고....종이 쪼가리가 아니라 실물가치만이 진짜 가치로서 인정받을 수 상황인데.
금만이 중요하다고도 이젠 못하고(함부로 증산을 하거나 하는 게 쉽지는 않은 이슈도 있겠지만) 어떤 실물 자산이 중요할지...먹고 사는 자산이 제일 중요한 건 맞긴 한데...이건 좀...애매하고~ 복잡~ 복잡~
-
왕초보
12.01 06:39
미쿡은 자동차 회사, 금융회사가 몽땅 쫄딱 망할걸로 예상했었는데.. 정부가 엄청나게 돈을 찍어내고, 금융회사에 거저 돈을 빌려주고 투자를 보장 (거저 빌린 돈 투자할 곳이 없으면 정부에 다시 빌려줘서 이자수입올리게.. 말이 안되죠 ?)하는 식으로 하고 금융회사는 정부에서 거저 빌린 돈으로 다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버금가는 위험한 투자를 해서 (이젠 정부가 도와주니까 위험할 것도 없지요) 엄청나게 돈을 벌었다죠.
즉.. 정부만 잘 구워삶는 넘이 있으면 그넘한테 투자해라! 예: ㅅㅅ
-
김강욱
12.01 17:28
오호~
-
기본적으로 레이건 이후 인류는 신고전주의 경제사조하에서 통화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면서 경제성장을 이뤄왔습니다.
그리고, 더이상 자산버블이 지탱되지 않는 그 끝에 와있는 거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신자유주의는 08년으로 종치고, 앞으론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도래할 겁니다.
유동성은 넘쳐나고 자산버블은 더 이상 지탱이 되지 않으니 보다 안전한 자산을 찾게되고 그러다보니 금에 돈이 몰리는 건데,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금은 좀 낫고, 미술품 같은 건 휴지가 될지도.
사견으로는 미국이 더블딥에 빠질 개연성은 낮아 보이고, 인류 경제가 파국으로 치달을 개연성도 별로 없다고 봅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수년 이상의 꽤 장기간에 걸친 불황에 시달리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렇다면, 적어도 당분간은 금리를 올릴 일은 없을 겁니다. 따라서, 극심한 인플레에 시달리겠죠. 실질소득은 줄어들테구요.
투자의 관점이라면 부동산은 음. 글쎄, 명목가격이 올라가긴 쉽지 않을 겁니다. 돈가치가 떨어지면서 실질적으론 보유하고 있어봐야 손해보는 결과가 될 수 있을 테구요.
여전히 2금융권에 4천5백씩 나눠서 적금하는 것이 베스트가 아닐까 싶구요. 아니라면, 주식. 주식은 펀더먼틀보다는 수급에 의해 좌우되며 시장참가자들이 패닉에 빠질 일만 생기지 않는다면 나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만에하나 가계부채가 뇌관이 되어 대한민국이 외환위기를 또 겪게 된다면 그땐 달러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겠죠. 펀드들보면 환헷지 옵션들이 있습니다. 환율이 올라가면 수익률이 올라가는 거죠.
-
김강욱
12.01 17:29
음...그렇군요.
역시나 어렵네요.
대출금 빨리 값는게 가장 급선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