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에 대한 간단한 질문입니다.
2011.12.24 15:22
안녕하세요.
교양수업 케이스에서 나온 퀴즈입니다.
철강회사가 물류사업으로 진출할 경우 이익이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원료 수입과 가공품 수출을 직접 담당함에 따라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류회사 운영비용과 타산을 따져봐야한다는 점은 있겠지요.
또한 유럽과 미국 경제 난황에 따라 선사들이 그룹을 형성하는 시점이라 조심스럽긴 하네요.
만약 물류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좋다라고 주장하려면 어떤 방향으로 하면 좋을까요?
위의 장점 말고 다른 장점이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의견이 있으시면 거침없이 부탁드리겠습니다.
꼭 크리스마스까지 과제를 받아야하는지. ㅠㅠ
과제와 함께하는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교양수업 케이스에서 나온 퀴즈입니다.
철강회사가 물류사업으로 진출할 경우 이익이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원료 수입과 가공품 수출을 직접 담당함에 따라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류회사 운영비용과 타산을 따져봐야한다는 점은 있겠지요.
또한 유럽과 미국 경제 난황에 따라 선사들이 그룹을 형성하는 시점이라 조심스럽긴 하네요.
만약 물류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좋다라고 주장하려면 어떤 방향으로 하면 좋을까요?
위의 장점 말고 다른 장점이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의견이 있으시면 거침없이 부탁드리겠습니다.
꼭 크리스마스까지 과제를 받아야하는지. ㅠㅠ
과제와 함께하는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코멘트 4
-
해색주
12.25 01:22
-
단순하게 생각해서, 철강 경기가 좋을때는 상관 없다고 하더라도, 불경기일때 물류 회사는
일하지 못하는 차가 많아지겠죠..인건비도 나가야 하고.. 고정비용 때문에 적자가 발생한다면 안 되겠죠.
경기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려면 물류는 외주 업체에 위탁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Freedom^^
12.26 00:42
그렇군요. 자회사를 자회사 생산물품으로만 한정한다면 경기가 안 좋을 때 큰 위기가 있겠지요.
물류회사를 인수해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모회사 물류를 위탁시키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면 괜찮은 회사를 인수하기 위한 자금문제가 또 남겠네요.
흠. 고민입니다. 일단 제출은 해야하니까 장단을 모두 써봐야겠어요. 그럼 기획서가 아닌가. ㅠㅠ
-
iris
12.26 10:16
물류사업이 국내 한정일 경우 문제가 복잡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 대기업, 특히 물류쪽과 별 관계가 없는 기업이 세우는 물류회사는 대부분 오너 일가의 경영권 편법 승계나 내부 거래(일감 몰아주기)로 오너 일가에게 이익을 안겨줄 목적인 경우가 많습니다.(예: 현기차 그룹의 글로비스, SK그룹의 마이트&메인 등) 이런 '대한민국의 특수한 사례'를 기준으로 한다면 몰라도, 사실 외부 주주들의 평가는 철강기업이 물류기업을 세우거나 인수하는 데 그리 달가와하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포스코의 대한통운 인수 시도때 주가가 떨어진 것이 시장의 반응의 좋은 예입니다.
얼마전에 대학원에서 XX제강 발표 자료를 보면 대부분 물류 회사를 자회사로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조업은 제조지와 수요지를 맞춰서 최적화 동선을 만들구요, 원료비를 제외하고 외부비용으로 물류비용이 많아서 물류에 많은 관심을 갖습니다. 대신에, 전문성이나 위기대처 능력은 떨어질 것입니다. 채산성이나 이런 것을 보면 솔직히 저는 부정적으로 봅니다.
철강산업 분야가 최근의 철광석 원가가 높아지고 마진이 낮아서, 포철이나 현대제철처럼 일관제철소가 아닌 경우 슬라브 조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더라구요. 어중간한 다각화를 할 바에는 본업에 적극적으로 매진해야 간신히 살아남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가절감 부분에 전사의 역량을 쏟아도 살아남기 힘든 판에, 다른 부분에 손을 대는 것은 좀 위험하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