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보험 들어야 할까요?
2012.01.06 11:21
40대 중반이고 늦게 결혼해서 아이들이 어립니다.
종신보험 초기에 좀 불입하다가 몇년 후 해지했었습니다.
지금은 의료실비보험 (삼성화재) 하나 들고 있는데
추가로 종신보험 또는 그에 준하는 보험을 하나 들어야 할까요?
보험은 무조건 손해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질문 올려봅니다.
코멘트 3
-
맑은하늘
01.06 12:00
1. 실비보험 / 몇달전인가 검토해 보다가, 별로 실익이 없는것 같아.. 안들었습니다.2. 종신보험 / 지출 가능, 최소 금액으로 가입하는것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보험을 너무 무시해도 안되고, 너무 많이 들어도 안된다고 생각하는 이랍니다.수입의 5% 정도를 넘기지 않는것이 어떨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
지금 연세에 종신 보험 가입하시려면, 꽤나 많은 금액이 필요하실껍니다.
소위 말하는 억대의 일반 사망 보험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납입 기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최소 2~30만원...
거기에 입원비, 수술비 등의 특약을 통해 보장을 받으시려면, 꽤나 큰 금액의 보험료를 준비 하셔야 합니다만...
종신 보험이란것이 접하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조금 저렴하게 하실려면, 제 경우처럼 보장성 보험 + 일반 사망을 담보로 한 정기 보험이 납입 보험료는 조금 저렴하지만 보장 내역은 얼추 비슷하게 할 수 있습니다.
실비 보험 있으시면, 연세도 있으시니 생명 보험의 성인병 및 일반 질병을 담보로 한 보장성 보험을 한 번 찾아보시구요.
(이것도 연세가 있기 때문에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10년납 등이 보험료가 매우 비싸다면, 그냥 의료보험 공제 되듯이 전기납을 선택하시면 비용은 조정이 가능합니다. )
각 보험사마다, 상해 사망이나 질병 사망을 담보로 한것이 아닌 일반 사망을 담보로 한 정기 보험이란 상품이 있습니다.
이것의 조합이면 적어도 기본 보장 및 사후(?) 가족들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는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보험은 무조건 손해라는 의견에는 동의 못합니다.
저처럼 주변에 도움 받기 어려운 사람일 수록, 제 몸 건사는 제가 해야 합니다~ 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제가 아프거나 다쳤을 때, 누구의 도움을 받겠습니까~
그래서 전 건강할 때, 보험 많이 들어놨고, 지금은 상당수의 상품의 납기도 완료 했고, 몇개는 몇만원씩 지금도 빠져 나가고 있습니다.
-
phoenix
01.09 16:40
하얀강아지님 안녕하세요..
종로에서 N12 키보드 수령차 갔다가 식당에서 잠시 얼굴만 보고 왔던 기억이 납니다.. 대화는 거의 못해봤죠..ㅎㅎ
현업에서 일을 하고있습니다. 현재 외자계 보험사에서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어서 간단히 답변드리고자 합니다..
전반적으로 산신령님의 답변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보험이 무조건 손해이다" 라는 생각은 제 경험상 "아닙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6년간 근무하면서 3번의 사망보험금을 지급했고 그 중 두 번이 저의 가장 친한 친구와 가장 친한 후배였기에 생각이 남다른 부분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부자에게는 필요가 없고
가난한 자에게는 비싼게 보험일 수 밖에 없다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게 현실입니다.
우선 지금 40대 중반이시기에 충분한 사망보험금을 준비한다 라는건 정상적으로는 너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게 사실입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우선 삼성화재 실비보험에 발생빈도가 가장높은
암(진단비,수술비,입원비)과 관련된 추가 특약과 성인병(급성심근경색,뇌출혈)특약 이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암의 경우에는 세명중에 한명에게 반드시 발생하는게 통계상의 수치이며 치료비용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암진단금 2000~3000만원으로는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당하기에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료보험이 비적용 항목들(치료효과가 높은 신약사용 및 새로운 치료장비 사용)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면 가족력 등을 확인하여 보장금액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셔야 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 위의 특약과 수술, 입원특약 정도를 생명보험으로 준비 하셔야 합니다.
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드리자면
사실상 정기보험을 활용하여 일반 사망과 재해 사망 그리고 재해상해 보험금을 준비하셔야 하는데
그 기준으로 알고 계셔야 할 부분이 자녀의 자립(대학졸업 또는 취업)시기가 언제인가가 중요합니다.
현제 40대 중반이시고 자녀가 5세~6세 정도라고 가정하면 자녀의 대학졸업시기는 20년뒤 또는 65~67세 정도까지로 볼 수 있습니다.
사망보장기간을 이 시기까지 설정하시면 될 거라 생각되며 이시기가 되면 어느정도의 자산형성 이루어 져 있고
자녀 스스로 자립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종신이 아니라 가장 중요하고 꼭 필요한 시기까지만 정기보험으로 위험을 대처하신다면 소멸성이지만 가장 적절한 보험료로 보장을 준비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사실 정기보험으로 2억~3억을 준비하시는 것도 결코 만만한 비용이 드는것이 아닙니다(확인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대략 15만원~25만원정도 까지도 들 수 있습니다) 위험에 대한 준비에 공짜는 없다고 생각해서 어줍잖은 생각 적어봤습니다.
시간 관계로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저랑 의견이 다른 분도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유롭게 의견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