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글은 필요 없다! 한 줄이면 충분하다! [예전 한줄메모 보기]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글수 24,849
20389
준용군님 말씀처럼 "막대한 인프라로 쪽쪽 빨아먹던". 이게 박 시장의 프레임이고요. 실상은 돈 남는 구조가 아닙니다. 박시장도 당연히 알겁니다. 모르면 이런 정책을 펼칠 수가 없죠. 서울페이가 직불기반 시스템이라는건 서울시 자료에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직불기반이라 해서 별도의 망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는 전혀 아닙니다. 당연히 전용망을 구축해야 합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하나의 작은 모듈이지만, 뒷단에 들어가는 시스템은 결 18.07.27
SYLPHY
20388
현재 카드결제 수수료는 크게 볼때 똔똔입니다. 고비용 하이리스크 구조죠. 금융권에서 수수료를 줄이고 싶어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신용카드 수수료는 각종 카드 혜택(포인트, 무이자할부 등)로 돌아가서 똔똔인 실정이고, VAN쪽은 망 운영 비용 및 단말기 지원(몇십개월 이상 계약시 단말기 무상제공 및 무상 유지보수 - 결국 수수료로 벌충)하고 나면 똔똔입니다. 18.07.27
SYLPHY
20387
그리고 과거 2011년에 있던 개념과 전혀다른거고요 솔직히 인프라는 이미 구축되어 있고 유저가 없어서 실패 하면 모를까 해봄직한 사업이죠 18.07.27
바보준용군
20386
물론 승인은 최종 소비자가 승인 하는 방식이고요 그간 국내 막대한 인프라로 쪽쪽 빨아먹던 van사와 카드사가 울어야 하는 판국이죠 카카오페이나 다름 없는 것 입니다 하다못해 마이 페어 방식의 교통 카드 보다 좋습니다 장비가 필요 없으니까요 즉 장비 비싸게 팔아서 먹고사는 van사 각종 금융관련 업체 말고 손해볼게 없는겁니다 18.07.27
바보준용군
20385
기본적으로 일명 새로운 전자 결제 시스템은 말그대로 금융권 에게 손실을 강요하는 시스템인겁니다 즉 서울시에서 지원할건 약간의 비용이죠 그것도 아주 극미한 자꾸 van 사 이야기와 장비 유지보수 비용을 이야기하시는데 기존 pos장비에 아주 간단한 결제 모듈 하나 붙이는 정도입니다 18.07.27
바보준용군
20384
지금 kpug은 원칙적으로 실명제입니다. 아예 id도 안뵈는 것도.. 18.07.27
왕초보
20383
금요일...오늘 10시...국회 본관에서의 고.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그의 삶의 궤적을 생각해봅니다....... 18.07.27
맑은하늘
20382
익명이 있었던적이 있지 않았나 기억해봅니다.../ 현재 id 방식도 약간의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의견 감사드립니다. 18.07.27
맑은하늘
20381
익명게시판이 있으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좀 편하게 표출할수 있지 않을까요? 18.07.26
ds1dvm
20380
어찌됐건, 박시장은 서울페이 추진할겁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박시장에게 서울페이에 관한 의견을 전달했지만, 반대의견은 묵살해 왔으니까요. 오늘 인터뷰에선 자신의 의견에 반하는 사람을 "직업비판가"라고 말할 정도니, 시장 그릇은 아닌데 시장 하고 계시는구나 싶습니다. 18.07.26
SYLPHY
20379
습니다. 중요한건, 아무리 뜯어봐도 서울페이는 구조적인 장점이 전혀 없다는 것, 이미 2011년도에 실패한 사업이었다는 것. 실패한 사업을 세금보조받아서 한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사례 아닌가요? 단지 박원순이라는 이미지 좋은(?) 정치인이 한다는게 다를 뿐입니다. 18.07.26
SYLPHY
20378
개인사업자 입장에선, 특히 소상공인 입장에선 서울페이를 도입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현재의 VAN사 단말을 쓰면 수수료가 생겨도 결국 세금공제로 온전히 보상받고, 간이사업자는 매출액의 1.3%를 보조금으로 받기 때문입니다. 서울페이는 수수료가 없는 만큼 QR코드 발급이나 단말기 구입, 설치, 유지보수 모두 사업자가 직접 해야 할 가능성이 높고요. 컴퓨터 잘 못 다루는 분도 대다수인데, 단말설치는 커녕 QR발급도 못 하는 사업장이 넘쳐날 것 같 18.07.26
SYLPHY
20377
서울시가 VAN이 되는겁니다. 수수료 0%를 표방하는. 현재의 지불체계는 신용이지만, 이 부분이 직불이 되면서 수수료를 줄인다는 개념이죠. 그 외의 부분은 똑같습니다. 단말도입은 서울페이의 목표입니다. 단말은 누구 돈으로 만드나요? 망 운영 비용은 누가 내나요? 전부다 세금입니다. 심지어 직불방식은 세금공제혜택도 없고요. 18.07.26
SYLPHY
20376
오오. 좋은 토론이 오가고 있었네요. 이런 글들은 자게로 ㅎㅎ 18.07.26
최강산왕
20375
즉 엡데이터를 통한 승인을 소비자의 단말에서 pass 하게 되면 승인 시스템에서 처리되어 최종 결제 처리하게 되는 것이겠죠 즉 van사 의 간섭이 거의 없는 승인시스템인데 반대할이유가 없죠 18.07.26
바보준용군
20374
단말기 구입없이 qr코드 리딩후 승인하는 방식일텐데요 pos에 결제 정보 대입하면 사용자는 결제 금액 승인하면 되는 방식일겁니다 설마 바보가 아닌이상 장비를 ㅡ ㅡ 18.07.26
바보준용군
20373
그러면 일반 소상공인이 서울페이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없습니다. 오히려 VAN 기기 구입, 설치, 유지보수 비용을 점주가 직접 부담해야 할텐데, 비용증가로 이어집니다. 게다가 서울페이 자체가 영리사업이 아니다 보니 금전적 혜택을 일정기간 제공해 주는 다양한 프로모션도 없을겁니다. 이런 이유로 직불기반 결제 시스템은 2011년에 세상에서 퇴출됐습니다. 그걸 세금써서 하겠다는게 박원순판 서울페이입니다. 18.07.26
SYLPHY
20372
반면 서울페이는 직불 결제 시스템이기 때문에, 세금 공제 혜택이 없습니다. 세금공제는 신용/체크 결제에서만 받을 수 있고, 직불과 같은 계좌이체에는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상대적으로 봤을 때 서울페이로 이득을 얻는 주체는 대형마트라는 거죠. 얘네들은 현재의 지불시스템에서 수수료를 다 내니까. 18.07.26
SYLPHY
20371
무엇보다도.. 현재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수수료는 0% 또는 -1.3%입니다. 수수료로 사용한 금액(매출의 1.3%)를 세금에서 공제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간이과세자는 2.6%를 공제하기 때문에, 카드로 결제하면 매출의 1.3%(!!!)를 세금 혜택 받습니다. 순이익률이 1.3%나 개선되는건 엄청난거죠. 즉 정말 문제가 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현재의 수수료 체계는 아무런 부담이 아니고, 심지어는 순이익을 1.3%나 증가시켜주고 있습니다. 18.07.26
SYLPHY
20370
서울시가 어떻게 풀어나갈지는 모르겠는데, 구조적으로 봤을때 세금충당이나 수수료 0% 포기가 아닌 이상 답은 없어 보입니다. 아무리 서울시라도, 오히려 서울시기 때문에, 이런 사업은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QR만 한다면 문제가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수수료 0% 앞아서는 세금 지원은 피할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서울시 자체가 삼성페이급 지불체계를 만들고 싶어 해요. QR만 하는게 목표가 아닙니다. 18.07.26
SYLPHY

오늘:
636
어제:
2,236
전체:
16,27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