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보차는 평소 관리도 힘들고 정비하기도 힘듭니다
2014.04.25 00:38
안녕하시냐고 묻기가 힘든 날들입니다..
노동으로 몸을 좀 학대하면 생각이 잠시 없어지기에...
저번주말에 갑자기 엔진소리가 커지더니 급기야 오토바이소리가 나고
터보 부스터가 잘안걸리는 현상이 발생해서 차를 떠서? 기어들어가 봤더니
우려했던 1번 머플러는 멀쩡한게 배기메니폴드가 깨진게 확실해지면서(터보부스터가 안걸리니 당연)
1초정도 어지러우면서 잠시 이걸 또 DIY로 해야하나...고민을 했습니다
배기관 주변은 고열을 받는 곳이라 너트볼트가 잘안풀립니다 경험없이 돌리다가는 부셔져서 엔진내리는 사태가..;;
암튼 퇴근후 박스깔고 이틀간 차밑에서 박박 기었습니다 ㅠ.ㅜ
쩔어있는 볼트너트는 잘달래서 풀었고 1개는 결국 부셔졌지만 크랙간쪽에 박힌거라 버리면 그만입니다
터보차는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
역사와 원리를 보면...
1차세계대전때 높이 나는 폭격기의 엔진이 산소가 부족하니까 출력이 떨어지는걸 보완하기 위해서
공기를 강제로 밀어넣는 터보챠져가 개발되었습니다
실린더에서 폭발한 배기가스가 터빈을 돌리고 그힘으로 공기를 흡입해서 다시 엔진으로 밀어 넣는게
여러분이 아시는 보통의 터보입니다
그런데 배기가스가 터빈을 돌리다보니 냉각이 필요하게되고 윤활도 필요하게 됩니다
그래서 터빈에는 냉각수와 엔진오일이 순환됩니다
평소에 출발할때도 터빈내에 베어링을 보호하기위해서 예열이 항상 필요하고 운행을 마치고나면
경우에 따라서는 5분간의 후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노고단 성삼재를 전력으로 질주한후 시동을 딱 꺼버리면 과열된 터빈의 베어링은 고착되서 고장나게 됩니다
모든 차량은 주유소에서 엔진을 끄게 되지만 예외차량이 터보차량입니다 얼마전에 주유알바가 저보고 시동끄라길래
터보라서 안꺼도 된다고 알려주었습니다 ㅋ
암튼 보통차량은 배기메니폴드와 촉매가 바로 연결되서 분해가 쉽습니다만..터보는 터빈에 연결된 각종관들을 분리해서
위로 들어내기가 좀 어렵습니다
부품을 주문하고 기다린 하루동안 터빈이 제거된 텅빈공간에 보이는 실린더블록의 찌든기름때를
석유로 닦아내고 여러가지 불안한 요소를 수정하느라 아무것도 못하고 밤이면 파김치가 되어서 잠이 들었습니다
껌껌해서 사진도 못찍고 그냥 눈에 보이는대로 작업을 해버렸습니다
배기메니폴더는 코끼리코(터빈에서나온 압축공기를 스로틀로 보내주는 관입니다) 왼편의 주물로 만든관입니다
내친김에 엔진오일도 갈고 터빈을 빼면서 일부 흘러버린 냉각수도 보충해주었습니다
이제 문제 없겠지요?
암튼 터보차를 구입하실때 관리가 힘들다는거 알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 도착해서 후열때문에 화장실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물론 터보타이머라는 제품이나 일부 경보기에 시동끄면 맞춰진 시간동안 후열후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을 이용하면
전혀 불편함은 없겠지만 예열은 경보기외에는 답이 없지요
그럼
코멘트 20
-
오, 터보차가 그런 거군요. 저는 디젤차만 예열, 후열하는 줄 알았어요.
-
가솔린차는 예열도 간단한데 말이죠.
처음 시동걸면 부우웅~ 하다가 5초 이내에 최저 rpm ...
-
지니~★
04.25 09:16
요즘 디젤 차는 다 터보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차종은 뭔가요? 궁금...
-
Leshay
04.25 09:19
요즘 디젤 차가 아니라 모든 디젤차가 터보 일꺼예요.
-
지니~★
04.25 14:41
그런가요? 1992년도 무쏘 처음 나왔을 때, 그 엔진은 2874cc 디젤이었는데 터보란 얘기는 못 들었고,
나중에 Turbo Intercooler가 달린 무쏘가 나와서, 이전 것은 터보가 아니었구나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
Leshay
04.25 16:32
오~ 제가 잘못 알고 있었네요. 90년대엔 논터보 자연흡기 엔진이 있었네요.
-
달팽이
04.25 09:16
터보의 원리는 어렴풋하게 알고는 있었지만,
저렇게 예열 후열이 필요한지는 오늘 첨 알았습니다.
-
왕초보
04.25 09:20
아아 스쿠프 터보.
-
제차종은 왕초보님이 올려주시네요 ^^ 디젤엔진의 터보는 저속터보입니다 특성상 가솔린엔진에 비해서 저RPM에서 힘이 나오도록 조정되있습니다 스쿠프에 카니발터빈을 개조해서 많이 달고 다닙니다 용량도 크고 쉽게 구할 수 있으니까요
저희집 부근에 1톤트럭을 터보로 뽑은(요즘은 거의 터보) 이웃아저씨가 있었는데요 아침저녁으로 가끔 마주치는데 예열 후열 없이 그냥 타던데 금방 고장은 안날꺼라고 짐작은 하고 있었습니다만.. 1년도 안되서 터빈에서 휘파람소리가 나더군요 터보차를 오래타신분은 들리는 터빈특유의 맛가는 소리를 들으실수 있습니다 이때를 조금 지나면 엔진오일과 냉각수가 터빈의 틈에서 소모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오일이 적거나 냉각수가 적은지 모르고 타다가 엔진이나 터빈이 나가는겁니다
후열은 동네한바퀴정도 돌거나 막히는 시내를 돌아다니다가 온경우에는 안해도 상관없다는 분들이 있습니다(저도 동의) 다만 고속주행을 오래하다가 휴게소에 들어가자마자 시동을 끈다던지 성삼재같은 오르막을 빡새게 올른후 바로 꺼버리면 무조건 터빈에 데미지가 온다는거만 명심하시면 됩니다
-
터보차를 몰아본적이 없어서 이정도로 복잡했는지 몰랐습니다.(제차는 아베오 구형이라 N/A...) 이전에 올란도 얻어타고 갔다가 다 왔는데 시동도 안끄고 담배나 한대 피우자길래 뭔가 했는데... 후열...이라는게 필요한건지 그때 처음 알았습니다.
-
후열하면서 담배를 쇳물되기직전처럼 달궈진 배기메니폴드에 지져서 피우는 분들이 있더군요 ㅎㅎ 저도 다음에는 N/A로 갈려고 합니다
-
제가 무식하게 자동차 스펙을 외던 때가 있었는데.. 16밸브가 아닌가보네요. 왜 "스쿠프 알파 터보 16" 이라고 외고 있는 지 모르겠네요.
-
최조의 스쿠프엔진은 미쯔비시에서 수입한 오리온엔진이었는데요(쵸코파이엔진이라고..) 이엔진을 모델로 국내개발한 엔진이 알파엔진입니다 16V는 아니고요 12V입니다^^ 엑센트나 베르나 스쿠프 엑셀은? 알파엔진이 적용되었고 터보로 개발된엔진은 스쿠프에 실렸습니다 구아방으로 가면서 베타엔진이 개발되고 이때부터 국산16v가 된걸껍니다 이전에는 미쯔비시의 시리우스엔진(4g63)를 기반으로하는 DOHC엔진이 실렸지요
-
감사합니다. 역시 의미없이 외어놓은 건 별로... 무조건 적어놔야 한다는...
-
SPOON
04.25 13:11
아 그리운 알파엔진이네요
가솔린이건 디젤이건 터빈관리만 잘해주면
오래탈수있고 연비도 n/a차량보다 더 잘나올수있죠
하지만 우리나라 디젤과 터보차량 운전자들은 예열과 후열을 안하는 사람들이 많죠 그러다보니 연비뿐 아니라 유지비도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터보차량들의 메뉴얼에도 보면 예열과 후열을 하라고 나와 있지만 메뉴얼을보지 않는 국내 자가 운전자들이 대부분 이니깐요 ㅋ
예열은 오일류나 베어링의 작동컨디션을 맞추기 위해 필요하고
후열은 열을 많이 받은 엔진 터빈 베어링 등의 장치에
열을 서서히 식혀 차량의 스트레스를 줄인다고 생각하시면 좋죠
터보차량뿐만 아니라 n/a차량도 그렇게 해주시면 좋습니다
예전 저도 튜닝터보차량을 탔을때 는 시동경보기를 달기 전에는 출발전 시동키고 담배한대 내려서 담배한대 피고 시동을 껐었죠 ㅎㅎㅎ -
Leshay
04.25 13:21
예열도 오토차량은 N단에 놓지 않고 P단에서 하면 의미 없다고 하더라고요.
-
SPOON
04.25 13:31
그렇죠 파킹모드로 해야 미션들까지 예.후열을 해줄수 이쓰니깐요
하지만 전 수동모델만 몰다보니 거의 잊혀져버린 메뉴얼이죠 저에겐 ㅎㅎㅎㅎㅎ -
지니~★
04.25 14:44
그런데 예열은... 일반 가솔린 엔진의 경우, 30초 정도 P단에서 시동 걸고 있으면 되고,
후열은... 집에 도착하기 전에 20~30km/h 이내로 4~5분 골목길을 천천히 돌다가 주차하면 된다고 알고 있었는데...
제 생각이 잘못 된 건가요?
-
iris
04.25 19:30
NA 엔진이면 그런데, 터보차저는 그 보다 훨씬 예열 및 후열이 깁니다. 특히 후열의 경우 기어 중립(AT는 P)에서 아무리 짧아도 1분, 직전까지 엔진 부하가 컸던 경우 최장 3~5분까지 해야만 합니다.
-
DoNotDisturb
04.25 22:55
터보.......... 개인적으로 싫어하는데요...
시내에선 터보렉때문에 운전하기가 참.........
게다가 현세대 현기차라 하더라도 2000rpm까지 터보렉이 존재하는지라
쉐보레 1.4터보도 2000rpm까지 터보렉이 있죠...
서울시내에서는 진짜 운전하기가 힘듭니다. 하루에 2시간동안 가다서다 반복하는데 터보렉-터보터짐의 반복 -_-;
BMW이라 해도 1250(가솔린), 1750(디젤)까지 터보렉이 있고..
터보렉이 800rpm 수준까지 내려오지 않는다면 답없는듯.
그런데 요즘 죄다 터보로 바뀌어가는 추세라 안습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