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ug 서버 는 어떤형식 인가요
2012.10.08 20:33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현재 사이트 를 친구들끼리 제작에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 인것이 서버 자체를 두고 문제가 나왔습니다.
직접 운영은 힘들고 대여 또는 만들어서 관리를 맡길려 합니다.
질문은
kpug 같은 사이트 1달 트래픽가격이 얼마 정도 하나요?
만약 서버를 대여가 아닌 직접 만들어 관리를 위탁하신거면 서버의 규모는 어느정도 인가요?
코멘트 14
-
넵...그런가요 현제 서버를 직접 돌릴려니 HDD등 부가적인 문제가 있어서요
여러곳 알아보았지만 적당한곳이 없더라구요...
작은 서버부터 시작할려도 이미 블로그로 인하여 일부 회원층이 형성되어 소형서버가 불가능하여서요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
하루 일 방문자를 알려주시면 대략적인 트래픽은 예측이 될것 같습니다... 하하하;;
나름 웹페이지 운영한지 몇년되어서요 ^_^;;
-
정확한 예측이 힘드내요,,,,
사진등 영상이 좀많이 올라가 달10만원대 유지비가 나올거 같아요
-
영상이 많이 올라가는 경우에는 반드시 스트리밍 서버까지 봐야 하실겁니다..
-
영상은 혼자서만 볼 것이 아니라면 유튜브 같은 곳에 올리는게 낫습니다. ^^
-
piloteer
10.08 22:14
케퍽은 모르겠고 일반적인 경우 그냥 일반 소규모 웹호스팅 혹은 가상호스팅을 받다가 안되면 코로케이션이나 서버호스팅으로 넘어갑니다. 코로케이션이나 서버호스팅은 싼데는 값이 다 고만고만해서 쉽게 비교해보실 수 있고, 웹호스팅 비용은 카페24나 엔시티같은델 확인해보시면 되지요. -
감사합니다/.
-
요전에 사진 올리신 큐브형태의 하우징을 쓰는 PC라면 상당히 센 비용을 각오하셔야 합니다.
서버호스팅 가격은 회선비용+상면비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요전에 올리신 사진을 봐서는 렉에 두면 대략 3U 정도 되겠더군요. 이쯤되면 상면비용이 무척 비싸집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니까요.
호스팅 업체에 따라서 데스크탑 상면비용을 따로 책정해 놓은 곳도 있는데, 1U 비용보다 비쌉니다.
제가 작년까지는 데스크탑 서버를 서버호스팅으로 쓰다가 올해 초에 1U 사이즈 서버로 바꿨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호스팅업체를 바꿀 때 상면비용이 너무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참고로 데스크탑 서버를 렉에 비치하게 되면 렉마운트가 불가능하므로 선반도 하나 달아야하기에, 선반이 차지하는 공간(1U)만큼 상면비용이 추가됩니다.
제 서버는 현재 스마일서브에서 호스팅 받는 중인데, 상면비용+회선비용 합쳐서 89,000원/월 입니다. 부가세까지 합치면 한달에 97,900원이네요.
참고로 작년까지 호스트웨이에서 데스크탑으로 호스팅받을 때 비용은 매달 12만원이었습니다. 부가세까지 합치면 132,000원이었지요. -
현제 제온으로 됀 시스템 2대 있습니다.(친구중 한놈이 이쪽 관련 배우는 중이라 가지고 있습니다.)
쩝 관리 비용도 조금 나오는 군요;;;
-
iris
10.09 11:06
스카이워커님께서 적어주신 것이 매우 정확한 이야기입니다. 거기에 더해 조금 더 첨언을 해보면 이렇습니다.
일단 사이트 구축을 하는 시점에서 이 사이트가 어떠한 목적이며 어떠한 서비스를 할 것이며, 어느 정도의 저장장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지 예측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것을 생각하지 않고 사이트를 만든다는 것 자체가 언어도단입니다. 용도가 뭔지 모르고 예산도 정해놓지 않고 PC를 사겠다는 소리와 같답니다.
올려놓는 것이 게시판과 사진 위주의 일반적인 커뮤니티라면(KPUG같은) 일단 시작은 웹호스팅을 받는 것이 편합니다. 관리가 상대적으로 쉽고 초기 비용도 적게 듭니다. 물론 하루 트래픽양 및 저장장치 공간의 제한이 있기에 그러한 부분을 생각하여 어떠한 상품을 가입할지 검토해보셔야 합니다. 단기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1~2년 정도를 생각하여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일반적인 웹호스팅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코로케이션을 받아야 합니다. 코로케이션은 직접 서버를 구축하여 IDC에 넣고 모든 관리를 직접 하는 것을 말합니다. 코로케이션은 어느 정도 규모가 크고 동시 접속자가 많은 곳에서는 바람직합니다. 그렇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기에 이 부분을 검토해보셔야 합니다.
1. 웜이나 해킹, 보안 업데이트, 백업은 전부 직접 해야만 합니다. 전담 관리자가 없는 경우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이뤄지기 어렵습니다.
2. IDC는 대부분 대도시에만 있어 지방 중소도시 거주자는 서버 입주, 그리고 유지 보수에도 상당한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3. 무작정 데이터 다운로드를 할 수도 없습니다. 일반적인 기본형 코로케이션은 회선 속도에 제한을 주며, 트래픽 총량의 제한을 거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기본 상품은 5Mbps 수준의 속도를 보장하는 것이 전부이기에 스트리밍 서버가 아닌 한 영화 등 고용량 파일의 전송에는 제한을 받습니다. 이 범위를 계속 지나치게 넘을 경우 코로케이션 서비스 업체의 경고를 받게 되며, 회선 계약을 바꾸지 않고 계속 이렇게 할 경우 계약 해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기본 속도를 넘는 회선 속도를 계약하는 시점부터 청소년이 용돈을 받아 어찌할 수 있는 차원은 가볍게 넘습니다.(잘못하면 제대로 된 직장을 지닌 한 사람의 한 달 월급을 매달 털어 넣어야 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습니다.)
코로케이션을 하고자 할 때 가장 좋은 것은 1U 방식의 초슬림형 랙마운트 서버를 꾸미는 것입니다. 물론 제대로 이렇게 PC를 꾸미려면 돈이 꽤 듭니다.(일반 PC 부품은 대부분 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것이 상면비(IDC에 서버를 넣는 비용. 회선 비용과 별도입니다.)가 가장 적게 듭니다. 데스크탑 PC는 보통 4U급의 상면비를 받는데, 거의 1U의 4배라고 보시면 됩니다. PC를 꾸미는 돈을 절약하겠다고 한달에 수십만원이 더 드는 일도 얼마든지 생길 수 있습니다.
코로케이션 비용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1U 랙마운트 서버 한 대에 5Mbps 속도를 보장하는 100Mbps Shared 회선이라면 가끔 특판으로 월 6만원선에서 나옵니다. 물론 제대로 된 업체들은 10만원 내외의 비용이 나옵니다. 이 비용을 매달 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기에 대용량 파일 전송을 주로 하는 청소년들의 사이트라면 차라리 웹호스팅으로 게시판만 운영하고 누군가의 가정용 인터넷 회선에 데스크탑 PC로 서버를 구성하여 연결해놓고, DDNS로 주소를 고정해놓은 뒤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사람의 '배신행위'를 막지는 못한다는 문제는 있습니다.
추천:1 댓글의 댓글
-
자세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현제 청소년들 위주의 사이트가 아닌 컴퓨터 관련이기 때문에 시작부터 조금 커질거 같아 미리 확장성등을 생각 하느라 올려 보았습니다.
자금 쪽은 현제 후원 업체 2곳 정도 와 기부금으로 해결 해볼려 합니다.(블로그 하던 친구가 어느 업체와 알아 후원 쪽 이야기 진행중입니다.)
-
iris
10.10 21:50
덤으로 적습니다만... 만약 해당 사이트에서 공공연히 불법 소프트웨어나 저작권 위반 자료를 취급할 생각이라면 코로케이션은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1. 모든 코로케이션의 약관에는 '불법적인 것은 취급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들어갑니다. 여기에는 운영체제 등 기본적인 서버 요소가 합법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물론이며, 그 안에서 다루는 데이터 역시 불법적인 요소가 없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2. 코로케이션은 저작권 및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경찰이나 저작권 관리 업체, 검찰에서 눈치만 채고 단속을 하기로 마음을 먹으면 어디서 서비스를 받는지 뻔히 들여다보이기 때문입니다. 압수수색영장 하나 발급받아 IDC에 가서 서버를 압류하면 게임 오버입니다. IDC(코로케이션 업체)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다 털리고 난뒤 '귀하의 서버 압류당했습니다'라는 이야기를 해주는 것 뿐입니다.
-
Wes
10.12 09:56
Cafe24 와 스마일서브같은곳에서 가상서버 호스팅 받는것도 가격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습니다.
물론 서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지만 Backup을 자동화 하고 서버 HardWare에 대한 관리포인트를 줄이는면에서는 나쁘지 않습니다.
이런 류의 질문은 아마 운영진들이나 기타 관련하시는 분들도 답변 해드리기는 힘들것 같네요 ^_^;;
나름 극비라면 극비이기 때문이죠;;
관련 정보라면 한국에서는 그나마 잘 알려진 카페24 같은 웹 호스팅 업체의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시작은 500원짜리 호스팅으로 시작해서 트래픽이 꾸준히 늘면 업그레이드로 늘리면 되죠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