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체감속도 향상은 어떤 부품을 교환해야..?
2010.09.06 10:33
1. 듀얼코어 CPU --> 쿼드 코어 CPU
2. HDD --> SSD
3. 3G RAM --> 8G 이상
일반적인 작업이랑 오토캐드 작업하는데
체감속도 향상이 어떤게 나은가요 ?
코멘트 19
-
왕초보
09.06 11:52
그래픽 카드는요 ? 뭐든 속도 향상이 오긴 하겠지만.. 비용 대비 성능이 문제겠죠. 오토캐드도 어느 정도 크기의 일이냐에 따라. 만약 램을 키워서 램에서 모두 해결이 되는 것이면.. SSD보다 훨씬 낫겠지만.
체감 속도란게.. 두가지 성분이 있을 것이거든요. 진짜 속도와.. 반응 속도.. 듀얼->쿼드 와 SSD는 반응속도를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거고, 소프트웨어가 멀티코어를 제대로 쓴다면 진짜 속도향상에도 도움은 되겠죠. 램은 반응속도를 향상하는데는 별 도움이 안될 겁니다.
그래픽카드가 안습이라면 그걸 바꾸는게 제일 효과적일테고요. (그렇지만 요즘은 CAD는 그래픽을 그리 많이 안쓰는 것로 분류가 된다네요. -_-;; 게임에 비해서)
아마 지금 쓰시는 시스템의 구성과.. 흔히 작업하시는 오토캐드 파일 크기, 그리고 생각하고 계신 예산이 나오면.. 아마도 더 자세한 정보가 튀어나올듯 해요.
-
어떤 캐드냐에 따라서 다르겠죠..
3D 캐드시면 VGA도 중요하시고요.
일반적인 캐드 작업이면
SSD가 HDD보다 월등히 우월하지는않아요..(빨라지긴해요...)
CPU는 상당히 중요한편이고요..
AMD보다는 인텔이.. 같은 코어수라도 더 빠른경향이있고요.. (데네브 < 린필드..)
정확히 어떤 작업을하시고 현재 어떤거 쓰시는지 알면 더 좋을것같아유 ㅎㅎ
-
조일권
09.06 12:57
2번 진리의 인텔을 사용하세요. 뭘 하든 입가에 미소가 드리우게 됩니다.
일반적인 작업이라면 솔직히 2번이 답입니다.
1,3번의 성능을 발휘할려면 여러 조건(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등이 있겠지만...
2번은 그냥 다 빨라집니다. ^^;;
뭐 간혹 시스템(메인보드칩셋)에 따라 성능이 잘 안나올수 있긴 하지만 전 인텔 제품으로 2번을 추천합니다.
-
카이사르
09.06 13:04
오토캐드는 2D 작업만 합니다.
SSD 는 내구성 문제를 이야기 하기도 하던데요.
실사용에서는 별 문제 없을까요 ? 데이터 보존이 항상 중요해서요.
-
로이엔탈
09.06 13:10
그냥 SSD도 아니고, 인텔 SSD 추천하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지난 6월인지 7월인지 긴가민가 싶은데,
PC사랑에 SSD 벤치 마크한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 기사 보니까 인텔이 1등한 부분도 있지만, 타사
제품에 비해 말도 안 되게 속도 쳐지는 것도 있더라고요. 마냥 좋은 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
니다. 이번 달 PC사랑에서는 스타 크래프트 2 돌리기에 적당한 컴퓨터에 대해 다뤘던데, 결과는 이것
저것 다 좋아야지 하나만 좋아서는 안 된다 정도였습니다. -_ㅡ;;;
128GB짜리 SSD 달린 넷북 있는데, 아톰 CPU에 2GB 메모리입니다. 속 터집니다. -ㅅ-
말 그대로 체감, 몸으로 느끼는 속도 올리려면 SSD가 제일 나을 겁니다. 그 다음이 그래픽 카드가 되겠고요.
CPU는 달랑 CPU만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드문 걸로 아는데... 메모리는 업그레이드 해봐야 체감 속도에는
큰 변화 없을 겁니다.
-
로이엔탈
09.06 13:12
데이터 보존이 중요하다면 하드 디스크 쓰시는 게 낫습니다. 시게이트에서 SSD랑 하드 디스크 합친
형태의 제품 나왔던데... OS랑 자주 쓰는 프로그램만 SSD에 깔고 자료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아래는 인텔 SSD에 대한 기사입니다.
-
조일권
09.06 13:24
이론상 수명은 이미 SSD가 좋다고 들었습니다. 즉 걱정은 안하셔도 될듯 합니다.
그리고 여러 게시판을 돌아다니면서 나오는 이야기는
1. 스스디가 주로 성능이 제대로 안나온다 .
2. 프리징이 많다.
3. 점점 성능이 느려진다.
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1.은 AMD 칩셋에서 많이 나오는 문제로 보이며 2. 저가 스스디를 사용하면 나오고 3.은 각 메이저급 제조사들이 직접 최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데이타가 공중분해됬다는 이야기는 레이드로 묶고 사용하다 날렸다 라는건 본적은 있어도 특별히 날렸다 라고 한건 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데이타는 스스디만 사용하지 마시고 중요 데이타는 기존 HDD로 보관을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런데 자연스럽게 운영체제 및 설치프로그램은 스스디에 보관 파일은 일반 하드로 하는 이유가... 스스디가 80G라서 용량이 부족하게되더군요.
와우만 15G라..ㅡㅡ;; Virtial PC데이타 파일도 10G정도 쓰는지라 자주쓰는것만 스스디에 옮기고 나머지는 다 HDD로 옮기고 사용중입니다.
그래서 제 놋북은 C는 인텔 스스디 D는 ODD 때버리고 변환가이드를 통해서 2개를 돌리고 있습니다.
-
카이사르
09.06 13:31
정보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벨로시렙터라는 HDD도 꽤 성능이 좋은걸로 나오네요.
SSD 저용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보존에 HDD를 사용하는 방법도 괜찮네요.
-
hdd건 ssd건 빨라봐야 오토캐드 할때 처음 도면 로드만 빨라집니다. 그 이후로는 저장장치 입출력 속도 의미 없어요
아. 저장하는 속도는 영향을 받겠군요. 캐드는 불안정하기 때문에(응?) 자동 저장기능을 사용하시는 편이 좋으니까. 저
장장치의 입출력속도야 물론 빠르면 좋지요;;
경험상 캐드가 cpu 파워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비슷한 가격대의 싱글코어와 듀얼코어 시스템이 있는데 체감속도 별차이 없습니다.
그래픽카드는 확실히 영향을 받습니다. 지포스2 mx400 와 8600GT의 차이일때 이야기지만요.
메모리는 중요합니다. 속도가 아니라 안정성에서 중요합니다. 넉넉해야 안정합니다.
도면을 여러개 열어서 작업하시다보면 메모리 부족으로 캐드가 프리징 되는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대용량 도면을 취급하신다면 4기가 이상 쓰시길 권장합니다. 2기가에서 70메가에 해당하는 도면 5~6장 띄워놓고 반나절쯤 작업하면 프리징 되더랍니다.
체감속도를 높이고 싶으시다면 제가 올린 도면 최적화 강좌를 한번 적용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시스템 스팩 향상으로 더이상 효과를 볼 수 없다면 아마 가장 효과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www.kpug.kr/?mid=livelec&page=3&document_srl=18252
http://www.kpug.kr/?mid=livelec&page=3&document_srl=16823
-
카이사르
09.06 13:57
강좌도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한번 읽어 보겠습니다.
-
SSD를 쓰면서 데이터 날린 적은 아직까지 없구요.
(이름 없는 회사의 16GB짜리 SSD)
FTP서버 돌리는 PC인데 운영체제와 FTP프로그램만 설치해서 사용한지 거의 2년은
넘어가네요.
근데 제가 집에서 쓰는 PC는 250GB짜리 하드 2개를 RAID0으로 묶어서 쓰고 있습니다.
가격대비 성능면에서는 SSD보다 나은 것 같아요. 다만 RAID 풀리는 경우도 있겠지만..
이제까지 거의 3년동안 쓰면서 특별히 RAID가 문제된 적은 없습니다.
물론 중요한 데이터는 외장 2개에 백업을 해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왕초보
09.06 15:21
ftp server용으로 ssd를 쓰고계시다면 하드에 쓰는 작업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겠네요. 플래시의 가장 큰 문제가 쓰는 내구성입니다. 지금 카이사르님 용도에서 하드드라이브의 속도가 문제가 되는것은 스왑인데요. 스왑과 Pooh님의 경험과는 완전히 무관하다고 보아야 합니다.
스왑으로 사용될때 ssd는 속도면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수명은 급격히 짧아집니다. ssd의 수명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load leveling을 적용할때의 유효 수명얘기이고, 실제로 쓰기가 극히 많은 응용에서는 수명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하드보다는 훨씬 짧다고 보시는 것이 타당합니다. 최근 십년이내에 flash의 쓰기 내구성을 급격히 향상시키는 기술은 개발된 적이 없습니다. 열심히들 들여다 보고는 있지만 FN터널링이라는 기본적인 물리에 기반한 기술이라. 차라리 mram이나 fram, pcram쪽이 더 가능성이 큽니다.
랩터도 참 빠르긴 합니다만..
소음은 신경 안 쓰시나요 ?
-
SSD의 경우 인텔 G2 가 너무 잘나왔구요..
프리징 느껴본적없고 정말 빠릅니다...
하지만...--;; 캐드할때 체감은 별로 모르겠네요 ㅎㅎㅎㅎ
-
카이사르
09.06 19:14
주변 소음이 커서 소음은 거의 신경 안쓰고 삽니다. 저희 회사 소음때문에 주변에 폐나 안될까 걱정하며 삽니다.;
요즘은 ATS 성능시험기를 만들고 마무리 단계인데요. 이녀석 한번 작동할때마다 2KW 넘께 끌러 당겨서 형광등이 깜빡거릴 정도입니다.
소음도 크고요.
SSD 가 끌리긴 하네요. 렙터랑 조합으로 쓰면 나을거 같은..
모두 정보 감사합니다. ^^
-
단순히 속도만 비교한다면.. SSD가 제일 빠를 것이고..
랩터보다는 7200RPM 하드 레이드0으로 묶어서 쓰는게 빠르죠. ^^
-
왕초보
09.07 05:36
단순 데이타 레이트는 레이드0이 빠르겠지만, 식타임 때문에 그래도 랩터의 체감 속도가 빠를 겁니다. 식타임은 rpm이 깡패거든요.
-
모든 부품을 빨간색 으로 교체 하시면 3배...........
-
열린눈
09.08 10:16
마우스패드..--;;
인텔 SSD 달아보세요.
어떤 컴퓨터든지 어떤 작업이든지 확실한 체감속도 향상을 보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