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Plug , 전력선통신.. 미국에서 많이 쓰나요??
2011.09.29 23:32
안녕하세요. 만능문답을 사랑하는 냠냠입니다.
친구하고 이야기 하다가 전력선통신 생각이 나서.. 자료를 찾아봤더니...
요즘에는 좀 괜찮아 보이더라구요.... 다만 한국에서는 거의 쓰는 사람을 못 봐서.....
혹시 내용을 아시는 분 계시면 코멘트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집 지을 때 circuit의 구성.. 조심해야 하는 건 이해했고..
1. 아마존에서 벨킨,넷기어,슬링 사의 후기는 모두 읽어봄.
2. 구글링해서 좀 길게 나오는 건 읽어봄.
3. 한국에서는 유니콘 사에서 9월 초에 신제품 하나 나옴. (저는 기가급 모델에 관심이 있어서..)
4. homeplug.org
5. 브로드컴 (가글세미컨덕터)
---------------------------------------------------------------------------------------------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게 편하게 쓸 만 하게 보편화된 기술이라 봐도 되나요? ebay 뒤져도.. 많이 팔린 것 처럼 보기는 힘들던데..
2. 한국에서 쓸 때에는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기술적인 것 보다는 한전에서 뭐 하다가 충돌하면 곤란한데..)
3. 아마존 후기 중에 보면.. 다른 방에서 일반기기의 플러그를 꼽았다 뺐다 하면 인터넷이 끊긴다. 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2008년..
이거 정도는 보정이 되었겠지요?? 청소기라도 뺐다 꼈다 했는데 네트워크 끊기면 좀 우스운 상황이라...
일단 작년에 전부 802.11n 으로 꾸미긴 했는데.. 유선으로 깔고 싶다. 라는 욕망이 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9
-
꼬소
09.30 01:17
-
왕초보
09.30 01:57
제가 아는 사람중에 쓰는 사람 전혀 없습니다. 산 사람은 조금 있습니다만. 청소기 꽂았다 뺐다 하거나.. 꽂혀있더라도 켰다 껐다 할때 통신 끊어집니다. 그게 사용자 눈에 끊어진 걸로 보이느냐 않느냐는 윗 레벨 설계하기 나름입니다만 physical level에서는 망의 impedance가 완전히 바뀌는 것이라 끊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벼락쳤을때 얼마나 받쳐주느냐.. 이건 EOS의 범주라 아무도 보장 못합니다. 컴터.. 뭐 어차피 전력선에 물려있기는 합니다만. 아답터나 파워는 나름 그쪽으로 신경쓰고,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서 설계하기가 조금 더 쉽습니다. 아 그리고 아파트라면.. 옆집하고 자동 연결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제 생각에 기가빗유선에 관심있으시면.. 그냥 cat5e 깔아서 802.3ab 쓰세요.
-
두 분 감사합니다. ㅡ.ㅠ
잠깐 집 지을 때.. 어떻게 어떻게 해야 한다. 식의 생각을 좀 많이 했었습니다.
집은 죽기 전에 짓는 거라던데.. 쩝.... ;
-
김강욱
09.30 10:27
아...그래요? 집은 죽기전에 짓는 거라...죽을 때가 됐나~
-
iris
09.30 09:22
집에는... 인피니밴드망을 까는겁니다.^^ 허브가 비싸서 그렇지 어댑터만은 '생각만큼은' 비싸지는 않습니다.
-
꼬소
09.30 11:45
cat6 케이블도 요즘 그렇게 안 비싸욤 ㅎㅎ
-
새로운 것의 시도라고나 할까.. 하긴 편안하게 쉴 집에서 콘센트 만지작 거리는 것도 웃기긴 하겠네요..
-
카메스트
10.03 19:49
늦게나마 보고서 남겨드립니다. 해당 홈플러그같은경우는 국내에 제품은 별루 없으나 실제로 사용하는 곳은 보통 배입니다.
큰 배 안에서는 인터넷선을 따로 연결해서 뽑아내기가 어렵기 떄문에 전력선을 사용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요즘엔 어떤지 모르겠지만 기본사용은 그렇게 되는걸로 알고 있구요. 100M 맥시멈 속도에서 보통속도는 30~70M정도로 알고있고 일정거리가 정해져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전력망이 과부하 되어서 터진다면 망안에서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 기본 모뎀쪽에서 송신하는쪽의 전원을 공급을 못해줘서 다운되는걸로 압니다. 가격이 떨어지면 사려고 했는데 그냥 단종되서 아쉬운데 링크가 있으려나...
-
카메스트
10.03 19:54
아 요즘엔 좋은거 나와서 1기가도 된다고 나오네요 찾아보니
2004년에 시제품으로 나온 10MB 제품을 한번 사용해 봤습니다.
아.. 되구나~~
이정도 였지... 실제로 어느정도의 성능이 나오는지는 확인 못해 봤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속도도 속도이지만 안정성이 정말 중요한데, 전력선에서 그게 얼마나 받쳐줄지도 의심이 들구요..
전력선을 통신 케이블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부하나 전력망이 다운 되었을 때에도 어떻게 대처 할지가 의문입니다.
물론 잘 만들었겠지만 워낙 유무선이 잘되어 있는 나라이다 보니 큰 필요성을 못 느낄것 같습니다.
혹시나 사용하시는분이 계시면 저도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