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HD89 #3.Performance
2013.07.29 17:18
안녕하세요.
Lock3rz입니다.
Star 社(ALPS OEM) HD89, 성능 리뷰입니다.
<리뷰 목록>
[Star] HD89 #3.Performance
//////////////////////////////////////////////////////////////
먼저, 리뷰 측정용 도구들을 제공해주신 성야무인님께 감사드립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기기는 20130510일자 공식 펌웨어를 사용하였습니다.
/Benchmark/
Antutu Bench Mark Total Score : 12702
RAM 2318
CPU(int) 3376
CPU(float) 2545
2D 595
3D 2998
DB i/O 555
SD Read 124
SD Write 191
초창기 Cortex A9 쿼드코어인 Tegra3를 장착한 넥서스 7 정도 나오네요.
Quadrant Benchmark Total Score : 3980
쿼드란트 점수도 테그라3탑재 TF201과 엇비슷합니다. 다만, 그래프를 간단히 해석해보면 CPU파워는 확실히 부족하고, 이를 높은 i/O성능으로 만회하고 있습니다. 벤치마크 결과상에서의 해석입니다.
Nenamark2 : about 44fps
생각보다 SGX 544MP1의 그래픽 성능이 높진 않네요. SGX544MP2, Mali400MP4는 거의 풀프레임으로 나오던 테스트였는데, SGX544MP1은 GPU파워가 조금 밀립니다. 실제로 고사양 게임 구동시에도 이 사실이 들어납니다.
Vellamo
HTML 5 ; 1455
METAL : 446
상당히 준수한 점수를 보여줍니다. 여기에 매우 빠른 WiFi 전송속도가 가미되어 매우 쾌적하고 빠릿빠릿한 웹서핑경험을 제공합니다. 웹 로드 속도도 빠르고, 스크롤링 및 줌 애니메이션도 매우 부드럽습니다. 웹 렌더링 관련 최적화가 매우매우 잘되어있는 듯 싶습니다.
지금까지 리뷰했던 태블릿들은 그냥저냥 괜찮다 싶어서 웹서핑시 체감성능을 거의 언급하지 않았습니다만, HD89는 칭찬할만 합니다.
3DMARK
Ice Storm : 3110
Ice Storm Extreme : 1548
Cortex A7 Quad Core + SGX544MP1 + 1GB RAM 구성치곤 높은 점수를 받은 것 같습니다. AA31과 딱 스펙성능 차이정도 나는 것 같네요.[2GB RAM+SGX544MP2] 비록 싱글패키지이지만, SGX544MP1의 성능이 생각보다는 꽤나 높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Geekbench2 Total Score : 1325
최적화 잘된 Cortex A9 듀얼코어 급 CPU성능입니다.
Stability Test : RAW CPU Single/Multi core MFLOPS Test
기존에 추가했던 Linpack 을 통한 멀티코어 MFLOPS 측정이 제대로 안되는 것 같아, Stability Test App에 내장된 RAW CPU 테스트로 변경하였습니다. Exynos 4210과 비슷한 멀티코어 성능을 보여줍니다.
SQLite Benchmark
내장 메모리[Nand]의 성능을 간단히 측정해 볼 수 있는 DB언어[SQLite]를 이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입니다. SQLite Benchmark 결과를 단순 수치만 나열하는 것으로는 어느정도 성능인지 판단하기 어려울것 같아, 비교용 그래프를 작성하였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드렸던 내용을 아래에 끌어왔습니다.
.
.
.
"
SQLite 는 데이터베이스를 구현/관리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Insert는 데이터 삽입
Update는 데이터 업데이트
Select는 데이터 검색
Delete는 데이터 삭제
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SQLite BenchMark는 데이터 베이스 입/출력에 관한 속도를 측정하므로, CPU의 연산속도보다는, 내장된 Flash 메모리의 속도에 좀더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
SQLite Benchmark : QPS
DB를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검색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명령어 종류별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입니다. 각 명령어[Query]가 처리되는 속도[per Second]를 그래프화 하였습니다. 놀랍게도 Galaxy S2보다 월등히 빠르네요.
여담으로, Fine 7 Geius는 뭔가 버그가 있는지, 속도가 -값이 나왔었지요... 이전에도 언급한 내용이지만, 이 때문에 Quadrant 에서 i/O가 월등히 높게 나왔던 것 같습니다. 조작한것 같은 느낌이 펄펄 납니다. 실제로 Quadrant 에서 측정된만큼 i/O가 빠르다면 SQLite에서도 Galaxy S2급은 나와주어야 합니다.
SQLite Benchmark : Time
테스트 완료시까지 걸린 시간입니다. 낮을 수록 좋지요. Galaxy S2 보다 빠릅니다.
SQLite Benchmark : Average QPS
명령어 종류를 막론하고 합산하여, 단순 평균치를 낸 값입니다. HD89가 월등히 높네요. 여담으로, RK3188은 성야무인님이나 기타 다른 유저분들이 언급하신대로 i/O관련 문제가 있어보이며, Fine 7 Genius는 '할말이 없는 수준'입니다.
/Battery/
Antutu Tester Battery Score : 401
Antutu Tester Battery 테스트 시 제가 다뤄본 기기중에 처음으로 '온도'가 측정된 중국태블릿이네요. 온도 측정 센서도 정상작동함이 확인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게 유용하진 않지만, 이렇게 '잘 보이지 않는 구석구석까지 가다듬는' MTK의 섬세함에 놀랐습니다. 생각해보면, 이렇게 기본기를 탄탄히 다지지 않고서야 '새롭게 떠오르는 3G 통합 AP 설계회사'가 될순 없었겠죠. 이 저력이 대단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두렵기도 합니다.
1080p[14.6GB, Blu-ray] Play Test
Minimum Bright
50% Audio Output [in-Ear earphone]
WiFi OFF/ Airplane Mode
100% Fully Charged
[100% -> 0%] - 7Hours 13minutes
MX Player with External Codec
Micro SD 16GB [NTFS]
Chuwi V88에서 대단한 성능을 봐서 그런지 별 감흥이 없네요. 허나, 이정도면 양호한 편이지요. 더군다나 배터리 교체도 가능하니까요. 동일 조건의 밝기 50%에서는 대략 5시간 10분 정도 재생 가능합니다. 30%~20%구간에서 기울기가 급격해지는데, 아직 배터리 셀 사이클 회전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했기 때문에 저전압시 조금 불안했었습니다. 방전/충전 사이클을 몇번 돌린 현재는 항상 같은 기울기로 완만하게 소모됩니다.
GTA III Play Test with Maximum Grapic Option
Maximum Bright
50% Audio Output [in-Ear earphone]
WiFi ON / Cellular Standby
100% Fully Charged
[100% -> 0%] - 3Hours 2minutes
역시 풀로드가 걸리면 겨우 3시간 정도를 버텨주네요.
Cellular Standby [3G Data OFF, WiFi OFF] with SKT WCDMA
18% per Day
=> 약 5일 12시간 대기 가능
Cellular Standby [3G Data OFF, WiFi ON] with SKT WCDMA
35% per Day
=> 약 2일 18시간 대기 가능
3G Data On 상태의 대기시간은 여건이 되지 못해서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WiFi는 기기 화면이 꺼저도 계속 연결되어 각종 Push를 송수신하는 상태입니다.
전반적으로 대기효율이나 일반적인 작업에서의 전력소모는 잘 잡힌 상태입니다. 클록 쓰로틀링도 매우 부드럽고 병목현상 없이 잘 이뤄집니다.
/Battery Charge/
WiFi OFF, Cellular On
Time [0 -> 100%] : about 3Hours
Power Source : 5v 2A USB Charger
통화대기 상태로, 화면을 끄고 3시간 정도면 완충됩니다. 이또한 Chuwi V88에 비하면[화면최저밝기로 켜고 2시간 40분] 느리지만, 꽤나 빠른충전 속도입니다.
따로 구매하여 개조[...]한 국산 멀티 충전거치대로는 0%->100% 충전시 5시간 정도 걸립니다. 거치대로 입력되는 전원은 9v 900mAh입니다만, 내부 회로에서 변환되어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원은 어느정도 될지 잘 모르겠네요.
원래는 이렇게 핸드폰용으로 설계된것입니다만... '간단한 개조'를 통해 HD89 배터리도 충전 가능합니다. 사진은 갤럭시S2용 대용량 배터리[3.7v 2000mAh]를 충전하는 모습입니다. 0%->100%까지 대략 3시간 조금 안걸리는 것 같습니다.
/WiFi/
*필자의 인터넷 서비스는 'SKT 주택광랜'으로, 업/다운로드가 비대칭인점을 양해부탁드립니다.*
*유선연결된 PC에서의 최대 속도는 Down : 90Mpps / UP : 10Mpbs 정도 입니다*
*3tx/3rx인, 안테나 3개인 AP에서 WPA/WPA2 보안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 진행하였습니다.*
장애물 없는 거리 2M정도에서의 속도 [Down : 31.9Mbps / UP : 7.86Mbps]
장애물 없는 거리 6M정도에서의 속도 [Down : 25.4Mpbs / Up : 7.15Mbps]
매우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기기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사용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MTK6589/8389에 내장된 MT6628[4 in 1, WiFi/Bluetooth/GPS/FM Radio]칩셋의 성능이 상당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벤치마크부분에서도 언급했지만, 웹서핑이 정말 빠릅니다. 아이패드나 넥서스 7에 견줄수 있는 WiFi 성능입니다. 커버리지도 상당히 넓어, 무선환경이 열악한 제방에서도 WiFi 신호가 항상 3~4 정도 나옵니다. 제 방에서의 노트북[내장 안테나 2개, Tx 2/ Rx 2]에서 측정한 속도가 Down 15/ Up 7 쯤 되는데, HD89도 이정도 나옵니다. WiFi 성능은 정말 발군입니다. 지금까지 다뤘던 중국태블릿과는 정말 비교 불가네요. 특히 다운로드 속도가 무선기기에서 30Mpbs넘게 나오는 것은 제 경험상으론 iPad 시리즈 이후론 처음입니다. MTK의 저력을 다시한번 느꼈습니다.
/Bluetooth/
제가 가진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등 모든 기기에 정상적으로 페어링 됩니다. 단, 다른 중국태블릿과 마찬가지로, Bluetooth 테더링을 '받을'수는 없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이 펌웨어에 내장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재미있는 부분은, Bluetooth 테더링을 '뿌려 줄'수는 있습니다. +_+;
/Audio/
'외형편'리뷰에서 언급했던 BesAudEnh라는 자체 음장? 비슷한 것이 탑재되어 있는데, 상당히 괜찮은 옵션입니다. 이례적으로 미국식 4극[아이폰,갤럭시S2 등의, 국내에서 많이 쓰이는 4극]을 지원합니다. 화이트 노이즈는 조용한 장소에서 집중해서 듣지않으면 들리지 않는 수준입니다. 출력음량도 따로 전원이 없는 40mm 헤드셋을 구동하고 남을[?]정도로 높습니다. 오디오 칩셋도 나름 기본기가 탄탄히 다져진 것 같습니다.
/Heat/
GTA III 최고옵션에 밝기 최대, WiFi On으로 구동시의 후면부 온도중, 가장 높은 지점의 온도입니다. 이 40도라는 CPU가 위치한 곳의 매우 좁은 지점에서만 나타나는 온도입니다. 다른 곳이나 전면부 온도는 33~35도 쯤 됩니다. 풀로드가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굉장히 낮은 온도지요. 이는 MT6589/8389 탑재 다른 기종의 리뷰에서도 [iOcean X7, Amoi N828] 확인된 내용입니다. 발열걱정은 전혀 안하셔도 됩니다. idle 시나 충전시에는 발열을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Cortex A7과 28nm, 그리고 MTK의 최적화가 일궈낸 멋진 결과인듯 싶습니다.
/Camera/
다른 중국태블릿에 탑제된 카메라에 비해 밝기나 색감은 괜찮게 나옵니다만, 역시 저조도에서의 노이즈 감쇄력이 거의 없는 수준이고, 피사체에 대한 선예도가 매우 낮습니다. 모두 뭉뚱그려 뭉게져 보입니다.
촬영 옵션은 HDR, 스마일샷, 베스트샷, 파라로마샷, mpo확장자로 저장되는 3D view 샷[지도 서비스들의 실제 사진뷰와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PC로는 어떤 프로그램으로 봐야 열리는지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mpo 확장자는 좌우 양안시차를 이용한 3d 사진에 쓰여서, 3D 로드뷰와 같은 방식의 이 사진을 뭘로 열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등의 꽤나 다양한 옵션을 지원합니다. ZDS[Zero Delay Shot] 기능도 지원해 누르는 즉시 찍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ZDS옵션을 켜면 안그래도 않좋은 이미지 품질이 조금 더 떨어집니다.
<Star HD89로 찍은 영상. 1080P로 감상해보세요>
의외로 기대하지 않았던 영상 촬영능력이 꽤나 훌륭합니다. 제대로 작동하는 것 같진 않지만 EIS[디지털 떨림 보정]기능도 있고, 촬영도중 자동으로 초점을 잡기도하며, 촬영도중 화면을 터치하면 그 부분에 초점을 밪춰 refocusing을 합니다. 간단한 기능이지만, 생각보다 이런 포커싱 기능이 제대로 안되는 기종이 많더군요. 자동 포커싱이 작동하려면 대부분 명암대비를 이용한 자동포커싱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면을 바꾸어 센서가 명암대비가 바뀌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터치만 하면 다시 포커스를 맞추니 편리합니다. 또 영상녹화를 하면서 사진촬영[스틸컷 수준이죠]도 가능하긴 합니다.
/ETC/
사진이 흔들리고, 초점이 나가서 잘 안보입니다만... 7" 1280x800 IPS 답게 가독성이나 깨끗함은 기본으로 갖춰져 있습니다. 최저밝기가 꽤 높은편이고, 전체 검은색 화면을 출력할때도 밝기가 꽤 높은 것으로 보아 명암대비는 떨어질듯 싶습니다. 야외 시안성도 좋은편도 아니고요.
넥서스 시리즈 같은 순정상태의 Android 4.2를 써본일이 없기 때문에, Android 기본으로 지원하는 것인지, MTK에서 넣어둔것인지 모르겠으나, 아직 읽지 않은 문자나 받지 못한 전화가 있으면 이렇게 락스크린에서 알려줍니다. 각각의 아이콘을 잠금해제 링으로 드래그&드롭하면 관련 앱이 열립니다. 일반적인 잠금해제는 Android 순정 락스크린이므로 똑같습니다. 잠금해제 링을 아무방향으로나 드래그&드롭하면 해제됩니다.
국내 통신상황항, 듀얼심을 다 사용하진 못하지만, 듀얼 Sim 관련 메뉴도 탄탄히 잘 배치되어 있습니다. 문자나 전화를 보낼때마다 어떤 Sim 정보를 사용[수신자 측에 뜨는 전화번호와, 요금 과금대상 번호가 달라지죠]할지 정할수도 있고, SMS는 Sim 1로, 전화는 Sim2로, 데이터는 Sim2로 등 자세하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GSM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없으므로 GSM기능은 사용할수 없지만, WCDMA 2100Mhz를 지원하여 SKT/KT에서 개통하여 사용가능합니다. SKT에서 전화 수/발신, SMS 수/발신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APN설정을 거쳐 3G데이터 및 MMS 수/발신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3G 사용을 MMS 수/발신시에만 허가하는 기능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Fi 절전정책도 커널이나 펌웨어단에서 트릭[?]부리는 일 없이, 설정한대로 정상작동합니다. 번역이 이상하게 되어있지만, WiFi Direct 기능도 잘 작동합니다.
Bluetooth의 고급설정에는 위와같은 옵션들이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FTP 서버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원격 SIM이나 원격 메시지 옵션은 어떤 기능인지 잘 모르겠네요. Car kit 등에 Usim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같아 보입니다.
데이터 사용량도 Sim 별로 따로 계수가 됩니다. 설정된 Sim 색으로 표기됩니다. [Sim 색을 주황색으로 설정하면, 해당심과 관련된 모든 정보에 주황핵으로 표시됩니다. 발신/수신 메시지 및 전화통화 기록등에 조그마하게 주황색 표시가 되는 식으로요.]
오디오 프로필 메뉴에서 음량 조절 및 효과음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BesAudEnh기능 On/Off도 이곳에서 가능합니다.
디스플레이 옵션에 G-Sensor 와 Proximity[근접센서]의 보정이 가능합니다. 특이하게, HDMI 포트가 없는데도 관련 메뉴가 있습니다. 혹시나 싶어서 Galaxy S2의 MHL케이블을 연결해보았으나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저장소에도 특인한 기능이 있는데, 기본 설치 위치를 '내장메모리의 시스템 영역', '내장메모리의 사용자 영역', '시스템이 자동으로 설치'의 3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쓰기 디스크'라는 항목에서 USB 저장소 혹은 SD 카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설정을 바꿔서 설치해봐도 평소와 똑같이 설치됩니다.
배터리 메뉴입니다. 배터리 잔여량에 체크를 하면, 상단바에 %가 나옵니다. 안드로이드 4.2에 추가된 기능인지는 모르겠으나, 지금까지 다뤄본 중국태블릿들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거나, 프레임워크파일을 뜯어서 수정해야 %가 나왔죠. 이렇게 시스템단에서 지원하니 편하네요.
GPS 옵션메뉴입니다.
보안 메뉴에서 락스크린에 소유자 정보를 띄울 수 있습니다.
특이한 옵션이 있습니다. 바로 전원 켜기/끄기 옵션인데요. 전원끄는거야 어느기기에서나 간단한 앱으로 구현가능하지만... 반대로 기기가 꺼진 상태에서 다시 켜질려면... 음... 제 생각으론 커널단에서부터 지원해야 가능한 기능이 아닐까 싶네요. 일반적으로 크게 유용한 기능은 아니지만, 전력소모를 최소화 하기위해 자동으로 새벽시간대에는 꺼지도록 하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알람맞추듯이 자유롭게 설정[On Off 항목 추가 등]은 불가능하지만, 요일설정과 시간설정은 가능하네요.
이렇게 설정한 시간에 팝업창이 뜨고, 취소를 터치하여 종료시키기 않거나, 확인을 터치하여 바로 종료 시킬 수 있습니다.
... 의심반, 기대반이였는데 정해진 시간에 딱! 켜지네요. 신기합니다. ^^;
태블릿 정보 메뉴입니다. MTK 탑재 제품들은 아주 이상한 루트[?]를 통해 유통되는 물건이 아닌한, 커널은 출시시기 기준 최신으로 되어있더군요. MTK에서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관리까지 다하는 듯 싶습니다.
상태바 오른쪽 부분을 아래로 스크롤링 하면 나오는 토글메뉴입니다. 넥서스7에서는 짧게 터치하면 관련 메뉴가 뜨고, 오래 터치하면
해당 기능이 On/Off 되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HD89는 거꾸로 짧게 터치하면 해당 기능이 On/Off 되고, 오래 터치하면 관련 메뉴가 뜨네요. HD89방식이 더 익숙합니다. CM7과 MIUI에서 이런 방식으로 토글 메뉴가 작동합니다. 스크린 샷에서 '시간종료'버튼은 화면이 켜져있는 시간을 토글하는 버튼입니다. 1칸은 15초, 2칸은 30초, 3칸은 1분 입니다. "꺼지지 않음"옵션이 없어서 아쉽네요.
대부분의 중국태블릿들이 라이센스를 어기고 NTFS포맷을 기본 지원하는데 반해, HD89는 NTFS포맷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따로 앱을 설치해주어야 NTFS 포맷된 Micro SD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영상코덱 지원은 미흡한 편입니다. 워낙에 Allwinner 시리즈가 라이센스를 우걱우걱 씹어먹는[;;;]퍼포먼스를 보여줘서 더 초라하게 느껴지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자세히 영상 코덱/ 사운드 코덱별로 비교하진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RK3188보다 코덱 지원이 떨어집니다. MX Player 에서 Arm v7용 외장 코덱을 설치해서 플레이하면 구동되지 않는 영상을 찾기 힘들긴 합나다만, 아무것도 설치않하고 그냥 기본 플레이어만 가지고 영상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Android 4.2에서 추가된 기능인 '멀티유저'관련 기능은 모두 삭제되고, 토글메뉴에만 그 흔적이 남아있는 듯 싶습니다. 왜 삭제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쉽네요.
///
AP제조사측에서 OS까지 만들어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듯 싶네요. 그 퀄리티는 감히 '최고'라고 부를만 하고요. 여러 기본설정과 커스텀 설정이 곳곳에 편리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과 시스템 안정성, 배터리 지속시간, 인상적으로 낮았던 발열, 3초안에 잡히는 GPS, 나름 고품질의 오디오 등등 기본기가 튼실히 갖춰진 제품입니다. ALPS에서 제조해서 여러 회사로 넘기는 '화이트 박스'급 제품임에도 이정도 퀄리티가 나온다는게 참 놀랍네요.
리뷰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리뷰 목록>
[Star] HD89 #3.Performance
코멘트 20
-
FFK953
07.29 18:01
-
1920px지원이라는게 영상촬영이라면, 1920x1080영상 촬영은 가능합니다.
7" 1920x1080 디스플레이는 가격을 생각한다면 조금 과한 욕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
외관편에 $212달러에 구매했다고 적어두었습니다.
매각할 예정인데, 구매하실것이라면 쪽지 남겨주세요. ^^
-
역시 mtk 저도 메디아텍 씨퓨쓴 폰을 사용하고있는터라... 생각외로 매우 훌륭해요.. 저가형 씨피유가 이정도일줄은
그래서인지 새로나온 mtk6592가 매우 기대됩니다 -
저도 mt6592의 성능이 은근~히 기대됩니다.
-
수고 했습니다.
현재 MTK의 저가 라인업의 경우 7XXX대가 아니고 8XXX대로 바꾸어서 서서히 출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말로 MTK의 라인업을 왜 이렇게 내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내버리면 해당 제조사에서는 어떻게 최적화를 시켜야 하는지 감도 안잡힐겁니다.
물론 그냥 성능으로 밀어버리면 되긴 하겠지만 (진짜로 그럴것 같은 느낌이~)
MTK7XXX대도 그냥써도 쓸만 하긴 하거든요.
-
감사합니다.
Mt8시리즈는 태블릿용, mt6시리즈는 핸드폰용으로 구분됩니다. 8로 세대교체 하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차세대 메인스트림 ap 가 6592이니까요. 똑같이 mt6으로 갑니다. 8377과 6577은 사실상 같은 제품이고 6589와 8389, 8125, 이세가지는 같은 ap입니다. 회사홈페이지에서 6은 스마트폰용, 8은 태블릿용 솔루션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Mt7 시리즈는 회사 홈페이지에 없는데, 성야무인님만 알고계신 정보인가요? 구글링해도 아무것도 안나오네요.
Lenovo나 zte급 정도의 회사들정도가 소스를 받아서 약간 수정해 배포하는 상황이고 클론폰이나 초저가형 폰을 만드는 곳에서는 mediatek에서 os완성본까지 포팅해주는 솔루션을 이용하는것 같습니다. Lenovo급 회사가 아니면 펌웨어 배포하는 회사는 근 없다싶이 합니다. 인터넷에 순정펌웨어로 풀린것들은 셀러가 공장으로부터 공급받거나 유저들이 툴로추출하여 리팩한것들이 전부입니다. 저도 펌웨어파일은 셀러로부터 공급받았습니다. -
아 그런의미는 아니고 7xxx대의 이름을 건너뛰고 8xxx대로 간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사실 6이나 8이나 둘다 타블렛에 들어기서 크게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고 8시리즈의 경우에는 6인치급에도 라인업이 있어서 그냥 주차별로 이름만 바꾸는거 정도가 아닐까 정도외에는 크게 의미를 두지 않으니까요.. -
앞자리는 짝수번대만 쓰기로 했나봅니다. ^^;
사실 6이냐 8이냐는 말씀하신대로 별로 중요하지가 않지요. 이전에도 이야기했던것이지만, 뒷2자리가 더 중요하지요. 여기에 8135[Cortex A15 Dual + Cortex A7 Dual, big.LITTLE]같이 태블릿에만 나올 라인업도 있어서 더 헷갈리죠. 뒷자리가 35임에도 불구하고 6577보다는 확실히 성능이 높고, 아마도 6589보다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MT8389라고 판매되는것을 러시아 개발자가 개발한 MTK 툴로 뜯어보면 MT6589라고 나오는 것이 허다합니다. 외부로 표시되는 모든 값은 MT8389라고 표기되도록 수정했지만, 부트이미지로부터 읽어오는 시스템값은 MT6589라고 표시됩니다. 즉, 받아서 MTK 툴로 해석해보기전에는 6인지 8인지 알 수 없습니다. 뭐, 구분해도 의미가 없지만요... +_+; 이건 MTK 엔지니어 한명 붙잡고 '왜 이름이 다르냐'고 꼬치꼬치 캐묻지 않으면 알수없는 이야기일 듯 싶습니다. 넘버링이 왜 자꾸 뒤죽박죽 되느냐도 찔러물어보고 싶습니다. ㅋㅋ;
-
와아...최적화 잘된것 같네요
-
네. 정말 최적화가 잘되어있습니다.
-
나대로2012
07.30 12:29
상세한 사용기 잘 봤습니다. ^^
저도 한번 만져보고싶네요.
매물로 나오면 사고싶은 물건이네요. ^^
-
감사합니다.
장터에 매물 글 올렸습니다.
보시고 문자남겨주세요 ^^
-
푸른솔
07.31 00:29
수고하셨습니다. 중국 제품으로 이 정도의 뽐뿌를 주는 제품은 처음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HDMI 가 지원 되었으면 금상첨화 였을텐데요. -
감사합니다.
HDMI빼고는 있을건 다 있는 태블릿이죠~
-
왕초보
07.31 08:59
MTK는 원래 자기네 칩셋으로 거의 턴키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reference design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그 칩셋을 쓴 제품들의 완성도를 어느정도는 보장을 하죠. 물론 제조사에서 잘한답시고 나름 발적화를 더해서 망치는 경우도 없지는 않습니다만.
MTK reference design중에 MHL을 포함하는 것들도 있습니다만 그중에 얼마나 제품이 나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HDMI는 별도 콘넥터가 있어야 하니까 조금은 부담이지요. 충전도 안되고.
-
그렇군요. 정보감사합니다. ^^
MHL은 갤럭시S2가 표준형을 탑재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혹시 다른케이블로 될지 모르겠네요. 된다면 거의 완벽에 가까울정도로 모든걸 탑재하는 녀석이 되겠군요. +_+; 새삼스럽지만, 중국 정말 대단하네요...
-
왕초보
07.31 11:01
말씀하신대로 S2는 표준 케이블인걸로 아는데요, 그걸로 안되면 아마 MHL이 없는 기종일 겁니다. HDMI세팅이 있는 것은 얘네가 MHL넣을 계획이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혹시 열어볼 수 있으시면 MHL칩이 있는지 없는지 쉽게 볼 수 있을 겁니다. 아직 MTK칩에는 MHL이 내장되지 않은 것으로 압니다.
-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우리부스
08.02 17:59
좋은리뷰 잘봤습니다^^
전화에 ips에 gps까지 블르투스 이용하시는분들에게는 큰 불편함없이 하나로 충당할수있을꺼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
현시점에서 적당한 가격의 올-인-원 태블릿으로 손색이 없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1920px 지원했다면 저로서는 더 바랄게 없는 수준이네요 ㅎ
알리에서는 $189~210 수준이던데
어떻게 얼마에 구매하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십니까?
블투에 GPS, 조도센서 등등
센서가 풍부한 게 맘에 드네요.
다만, 곧 출시될 넥서스7 2세대와 미국발매가 기준으로 가격차이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