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정말 마음에 안들었지만 쓰면 쓸수록 한성 지보드 8.9 마음에드네요-_-;;
2013.11.18 06:16
몇가지 치명적인 단점이 계속 발견은 되긴 하는데-_-;;;
처음에 하루 만져 봤을때...정말 마음에 안들었습니다.
이놈도 만들다 말았구나....역시 중국산 오리지날은 아무리 잘만들어도 답이 없구나.
그런데 쓰면 쓸수록 단점을 상쇄하는 장점이 좋더군요
조금은 어두운 액정이 장점으로-_-( 대낮에 자연광하에 실외에서 볼일 거의 없으므로 무의미-_-)
근30-40분이놈으로 pdf 를 돌려봤습니다.
-고해상도의 장점인만큼 또렸하고 퀘적하네요
눈도 덜아프고 좋습니다...한두시간 보면 눈물나고 아렸는데 덜아프네요
심심해서 게임 한번 갈아 봤습니다
-파이널 판타지 2를 설치해봤습니다 프롤로그 까지만 10여분 플레이 해봤네요 프레임 드랍 없이 잘 진행 됩니다.
자기전에 두어시간 영화를 감상했습니다.
-720p 해상도에 무려 4기가 넘어가시는 h264로 인코딩된 우리의 영웅 박쥐맨 완결편을 구동해봤죠
아주 잘돌아갑니다+_+
저거 다보고도-_-
일드 두편 감상 해봤습니다
자정 이 되고 전 꿈나라로-_-
그리고 지금 현시간 06:15 분베터리 잔량 54%의 위엄-_-
점점 마음에듭니다-_-;;
못생겨도 괜찬아(너에게 필요한 성능 차고 넘쳐)
막장 as 괜찬아(고장날일 없을테니-_-)
스피커 볼륨 작아도 괜찬아(어자피 난 이어폰-_-)
미칠듯한 저장 용량(내장 32기가 외장 32기가-_-)
코멘트 8
-
하뷔
11.18 06:21
-
전설의주부용사
11.18 06:23
아주 마음에 듭니다-_- 꿔산의 위엄이져죠실은 대기전력관리가 좀 엉망인건 없지않아있습니다)
-
FNF는 조금 독특한 배터리 관리 조절을 합니다. 일단 락칩이 가지고 있는 대기 상태고 Wifi켜놓은 상태에서 배터리가 소모되는걸 아예 죽여버립니다. 또한 언급했듯 최대밝기의 최대값을 조절해서 유저들이 강제적으로 나마 배터리 소모를 할수없게 만들었으니까요. 게임의 경우는 RK3188이 Unreal Engine3에서 47FPS유지하니 웬만한 게임은 다 됩니다. 안되면 이상한거겠죠. ^^; 다만 PDF의 경우야 뭐 이미 언급했듯 전공서적류는 상당히 약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정도가 중국 중저가 브랜드중에 가장 나은거라는거 하고 1년은 적어도 사용할수 있다가 되겠죠. 뭐 과거 아이리버급은 아니고 현재 맛간 아이리버급에 약간 못미치는 품질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
전설의주부용사
11.18 06:45
꼭그렇지도 않더군요...
우휴상태일경우 각 커널과 각 프로세스를 죽여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보이는데 실제로-_-....있으나 마나.....
게임은 일단 전 할일이 읍어서 모르겠지만....
잘돌아가면 그거슨 뽀나스-_-;;;
대용량 파일 리드시 좀 버거워하는건 없지 않아 있어 보입니다(300p 이상 pdf 파일)
보는데 전혀 지장없어서 전 ...땡큐!!! 하고있는 상황이라서 기대치 이상으로 뽑아주네요
전 어찌됬건간에 너무 잘 쓰고 있습니다.
제가원하는 기능에 기대치 이상으로 가동하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
????
그런 의미가 아닌데요?? 유휴상태일때 Wifi를 Deep Sleep상태로 만들어서 아예 전력의 소모를 줄이는 겁니다.
그리고 커널하고 프로세서하고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인데요???
안드로이드에서는 커널소스에서 펌웨어를 만들기에 어떻게 보면 동일할지는 몰라도
커널소스에 대한 문제가 펌웨어상에서 제조사에 따라서 동일하게 나타나진 않기에
커널=펌웨어의 공식은 조금 힘듭니다.
또한 각 프로세스에 죽인다라는 것도 단순히 백그라운드 단의 OS관련 프로세스를 죽이는 건지
아니면 그외 유틸관련 프로세스를 죽이는 건지 그것도 아니면 현재 운용하는 어플관련 프로세스를 죽이는 것이긴 하지만
실제로 OS관련 프로세스를 메모리 킬과 동반해서 죽일수는 없고 대부분의 경우가 해당 유틸관련 프로세서를
죽이긴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실제 Cache Kill을 동반한적이 아니기에 다시 Wake Up했을때 별다른 변화가 없습니다.
PDF파일의 경우 각 페이지당 3,400자 이상의 단순 조합형 워드로 했을때 300page에서 버겨워 하지는 않습니다.
이 조합으로 갈경우 5,000페이지에서 기기에 따라서 19-21초까지의 PDF파일을 열수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실제 테스트 자료도 가지고 있고)
PDF파일에서 전반적인 Processing과정이 문제가 될때는 각 페이지당 용량이 평균600KB정도에
JPEG이나 GIF와 같은 그림 파일의 데이터 연계점이
일정한 상태가 되는것이 아니라 각 페이지에서 그림의 색상 및
그림의 위치 및 그림 파일의 용량에 따라서 많이 좌우되는 편이라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300쪽이라고 하기는 조금 힘들겠죠.
-
전설의주부용사
11.18 07:14
흠.... 그런거군요...
좀더 공부 해봐야겠습니다.
kill 이아니고 deep sleep 으로 돌려버리는건가 보네요
관련 자료좀 뒤져 봐야 겠습니다.
-
피버란
11.18 21:36
정말 막 쓰기에는 매우 좋죠. 여튼 마음에 드신다니 다행입니다.^^
-
전설의주부용사
11.19 07:41
몇가지 불편한점 제외하고 정말 만족쓰럽게 쓰고 있습니다.
잘 쓰겠습니다^^
오~ 배터리가 그 정도라니 꿔~ 산 치고는 훌륭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