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쪽이 무선이고 인트라넷 쪽이 유선이 공유기가 있을지...
2012.03.11 21:12
좀 황당한 케이스네요....이거 어찌할 바를 모르겠네요.
공유역할을 위한 노트북을 한 대 마련해야 할까요~
코멘트 7
-
... 없을거같은데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묶어서 쓰실 공유기가 필요하신구요..
공유기.. 두개면 되지않을까요?
인터넷회선으로 1공유기는 무선만들고
2공유기에는 인트라넷물려서.. 나누면되지않을까요?
-
김강욱
03.11 22:00
저희가 어디 컨퍼런스에 가는데, 그 주관업체에서 무선랜 ip 를 하나 준다는 군요.
이걸 여러대에서 나눠 쓰려구 합니다.
그러려면 무선랜ip 하나를 공유해서 쓸 방법이 필요한데...
이 부분에서 딱 막히네요.
Window 7 에서는 아예 무선 두개를 어찌 어찌 하는 방법이 있다고 조사되는데...
저희는 다 XP 라서...
-
왠만하면 다 될텐데요. iptime은 지금 메뉴가 없고... dd-wrt쪽 메뉴입니다.
The wireless part of your router can run in different modes:
- AP mode – This is the default mode, also called Infrastructure mode. Your router acts as an central connection point, which wireless clients can connect to.
- Client mode – The radio interface is used to connect the internet-facing side of the router (i.e., the WAN) as a client to a remote accesspoint. NAT or routing are performed between WAN and LAN, like in "normal" gateway or router mode. Use this mode, e.g., if your internet connection is provided by a remote accesspoint, and you want to connect a subnet of your own to it.
- Client Bridged mode – The radio interface is used to connect the LAN side of the router to a remote accesspoint. The LAN and the remote AP will be in the same subnet (This is called a "bridge" between two network segments). The WAN side of the router is unused and can be disabled. Use this mode, e.g., to make the router act as a "WLAN adapter" for a device connected to one of its LAN ethernet ports.
- Ad-Hoc mode – This is for peer to peer wireless connections. Clients running in Ad-Hoc mode can connect to each other as required without involving central access points.
-
시큰둥
03.11 23:06
참고로 공유기(AP)간에 무선으로 연결을 하시면 양쪽공유기 모두 무선속도가 반으로 줄어듭니다. 왠만하면 유선을 끌어오시는게... -
클라우드나인
03.11 23:41
무선공유기 2대 있으면 해결됩니다.
1대(A)는 무선랜을 WAN으로 돌린 후 할당받은 고정IP를 잡으면 되고,
다른 하나(B)는 공유기A의 유선포트에 B의 WAN포트를 연결하면 됩니다.
컴퓨터에서 신호는 공유기B의 AP신호(SSID)를 잡으면 됩니다.
IP타임 웬만한 제품은 모두 공유기A의 역할(무선랜을 WAN으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 제가 사용중인 N604R은 가능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으며, 제가 사용해 본 여러 IP타임 공유기 중 이게 안되는 모델은 없었습니다.
-
김강욱
03.13 02:27
네~ 조언 해주신 덕분에 무선 수신(노트북 무선), 무선 AP(IP Time USB AP) 를 절반은 성공했습니다.
근데, 껐다가 켜니까 노트북 무선이 죽어버리네요...헐~ㅋㅋ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되서요.
즉, 인밴드는 무선으로 처리하고 아웃밴드는 유선으로 처리하신다는 거죠?
인터넷<->무선<->공유기<-유선>인트라넷
이렇게요.
일반적으로 무선공유기의 브릿지나 AP가 이런 역할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