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멀티 기기 연결 해결 방안
2012.03.27 09:58
얼마전 LED TV를 구입하므로 해서 집안에 멀티미디어 기기가 구비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기기들의 연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문제는 2가지 입니다.
하나는 인터넷 선의 연결입니다.
또하나는 HDMI 연결과 시네마 스피커 입니다.
보유 장비는
인터넷 연결선 Lan 하나
컴퓨터
IPtime 1:4 유 무선기
인터넷 전화기
KT 쿡 단말기
시네마 스피커용 앰프 믹서기
LED TV
이 장비들이 모두 주변에 모여있습니다.
1. 인터넷 연결의 문제점은 이것입니다.
위의 기기 중에 인터넷을 직접(공유기 거치지 않고) 연결해야 하는 장비가 2개입니다.
1) 인터넷 전화기
2) KT쿡 단말기
평상시 배선은 이렇습니다.
벽 Lan -> 인터넷 전화기 -> 공유기 -> 컴퓨터
쿡 TV를 시청할 때
벽 Lan -> 인터넷 전화기 -> 쿡 TV
이 때 문제는 쿡 TV 시청 중에는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겁니다.
물론 쿡 TV에서 나오는 것을 다시 공유기로 연결하면 되겠지만, 이것이 아파트 통신 관리상에 맥 어드레스를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변경할 때 마다 이 맥어드레스를 바꿔주야 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여기에 LED TV가 추가되어 공유기에서 LED TV로 연결을 하려고 했더니 쿡 시청 상황에서는 여전히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2. 영상 및 음성 연결문제입니다.
필요한 부분은
1) TV 시청중 음성을 시네마로 나오게 하고싶다. TV에 외장 하드를 연결해서 영화를 볼 때 음성은 시네마로 나오게 하고 싶다.
2) 시네마 장치에서 DVD를 플레이하고 음성은 시네마 스피커로 영상은 TV로 나오게 하고 싶다.
3) 컴퓨터에서 나오는 음성과 영상을 TV로 모두 나오게 하거나, 때로는 영상은 TV로 음성은 시네마 스피커로나오게 하고 싶다.
TV에 HDMI 4 형식의 포트가 4개 달려있습니다.
지금까지 연구해 본 바에 의하면 HDMI는 음성과 영상을 하나의 케이블로 합쳐 놓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영상은 tv로 음성은 시네마로 나오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좋은 해결 방안이 있지 않을까요?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코멘트 19
-
윤발이
03.27 10:12
-
기둥
03.27 11:27
네. 그렇게 가능합니다만, 그렇게 하면 공유기를 24시간 켜 두어야 하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습니다.
현재 아이들의 인터넷 사용을 공유기의 설정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유무선모두) 전화기는 24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컴퓨터는 공유기를 통해 시간 통제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공유기 입력을 전화기에서 뽑아서 연결하면 문제없이 되는데 쿡 뒤에 공유기를 설치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한 가지 방법은 연결을 바꿀 때 마다 맥 어드레스를 변경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합니다.
-
calm
03.27 17:36
MAC 어드레스 별로 Schedule 이나 QOS를 걸어 두시면 됩니다.
그러면 PC는 밤에 꺼지고, 인터넷 전화는 24시간 작동하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
정화니
03.27 10:19
I/O 상황을 알수 없으니 간단하게 말씀드립니다.
일단 인터넷은 공유기 뒤에다 전화기랑, 쿡 TV를 붙이는게 편합니다. IPTIME쪽을 통해서 인터넷전화기? 사용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IPTIME -전화기
-쿡TV ( 맥을 등록 해야한다고 쓰셨는데, 컴퓨터의 맥을 가져오는 방법있습니다. 그다음에 쿡TV를 설정하는 건 잘 모르겠네요.)
-computer
-TV
이렇게 연결하는게 제일 편하겠지요.
스피커를 이야기하셨는데요. 헤드유닛(?)에 스피커를 연결하고 거기서 출력 선택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스피커는 하나밖에 인풋을 못 받으니까요.. ( 광출력 등을 이용하실 수 있는데. 이때도 설정이 별로 편하지는 않아서.... )
간단히 이야기하면 TV에다 HDMI 인풋을 받고 TV 오디오 출력을 시네마로 붙이시는 방법이 좋을 것 같은데요.
TV에서 입력선택하면 TV로보고 오디오 출력 하도록.. ( TV자체의 오디오는 죽여(?)야 겠지요.)
-
기둥
03.27 11:24
주신 답변에 의하면 공유기 뒤에 전화기와 쿡TV를 연결하라는 것인데요.
쿡TV가 공유기 뒤에 붙지를 않습니다. 이것은 인터넷을 뒤져서 해보라는 것은 모두 해 보았지만,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로 정화니 님께서 주신 오디오 연결은 한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그렇게 연결하고 4.5채널이 실현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하나는 DVD로 영화를 플레이하고 나서 HDMI로 TV에 연결하면 오디오가 TV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닌지요?
-
정화니
03.27 12:00
일단 HDMI 가 SPDIF(코엑시얼 5.1 채널지원)지원해야겠지요. 기본 지원일겁니다.
( 아마 요즘은 될 겁니다. - 옛날기계는 좀... )
DVD플레이어에서 오디오 출력은 일단 TV갔다가 TV에서 바이패스설정해서 오디오쪽으로 보내야할 겁니다. 그리고 헤드유닛을 TV로 쓸경우 기본 출력은 오디오쪽으로 갑니다.
DVD
쿡TV ------------------ TV - 오디오 - 스피커
컴퓨터
이런 형태가 되겠지요. ( 모두 HDMI 로 출력 - TV 입력 : 오디오는 TV 출력 - 오디오 입력 )
이런형태로 구성하면 될겁니다.
-
공유기를 24시간 켜면 안되는 이유가 가장 궁금합니다.
아이들 인터넷 제한이라고 하셨는데 이건 QoS 로 아주 간단히 설정 가능해요.
이제 문제는 사라지겠군요.
일단 공유기 거치면 내부는 그냥 100 Mbps 스위치 4포트 허브 만원에 구입하셔서 다닥다닥 구입하시면 됩니다.
-
기둥
03.27 13:42
24시간 공유기를 켜지 않으려는 이유는...
에너지 절약이 최우선입니다.
그리고 현재 공유기에도 100Mbps 4포트가 유선으로 있고, 무선도 가능하기에 스위칭 허브가 따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공유기 거쳐서는 쿡 TV설정이 되지 않습니다.
-
공유기 하나가 그렇게 전기를 먹는건 아니니 걱정하지 않고 그냥 켜두시면 됩니다.
-
기둥
03.27 14:49
문제의 핵심은 그게 아니라는데 있지요.
업무용으로 계속 사용한다면 24시간 켜두는 데 마음을 쓰지 않습니다.
그러나, 집에서 1~2시간정도 사용하는데 24시간 켜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제 마음이 갑니다.
전기를 그렇게 많이 잡아먹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실상은 가정용 누진제에서는 전기 요금을 올리는 주범이 될 경우가 많습니다.
집안에 그렇게 24시간 켜두는 것들을 모아보세요.
대기 전력에 해당하는 것들에 스위치가 달린 아답터를 설치하고 전원을 차단해 보세요.
비데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실제로 저희집의 경우 김치냉장고, 냉장고, TV, 컴퓨터, 전자 레인지, 비데2대, 일반 가정에 있는 가전 제품들은 거의 대부분 가지고 있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 2만원을 넘지 않습니다.
-
솔직히 이해가 안갑니다;;
전기요금 몇십원 아끼실려고 몇만원 몇십만원짜리 추가 장비 사셔야 하는데요.
----------------------------------------------------------------------------------
ipTIME 공유기의 전력소모는 풀로드시 5~6W정도이며 이것을 평균 5.5W라고 가정했을때
가정의 경우 1시간기준으로 따지므로 시간당 5.5WH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24시간이면 108WH이고 한달이면 약 3.2kWH정도 됩니다.
일반가정의 경우 1kWH당 약 150~200원정도로 계산하면 되므로 하루에 20~25원이고 한달이면 550~800원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사용환경에 전력 총사용량에 따라 경우 계산되는 1kWH당 산출되는 기본값은 달라질 수있습니다.)
공유기가 총 사용하는 전력은 손실되는 전력을 포함하였을대 6W정도 사용을 합니다.----------------------------------------------------------------------------------
참고로 인터넷 전화기도 대기전력이 무척 높아서 5~10W 정도 됩니다.
그리고 인터넷 입력선을 최저한의 전력소모로 QOOK 과 인터넷 전화기 등에 할당하는 방법을 아무리 생각해봐도
공유기 이상의 해결책은 없습니다. 제가 찾을 수 있는 최저한의 전력소모로 모두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유선 전용 공유기를 산다. (5만원)
- 유선 전용 공유기는 무선보다 더 전기를 적게 먹습니다. 유무선에서 무선 기능 꺼도 전기 적게 먹죠.
2. 유선 전용 공유기에 전부 다 연결하고, 유무선 공유기는 무선AP 모드로 바꿔서 필요할 때에만 Wifi 를 가동시킨다
이러면 선 빼고 그럴 것 없이 안쓸 땐 해당기기의 전기를 꺼줄 수 있으니 OK 입니다.
아이들 인터넷도 공유기 내부 설정으로 지정할 수 있고요.
-
기둥
03.27 16:13
새로 추가해야 할 장비가 몇만원 단위로 넘어간다면 불편하더라도 케이블 바꿔가며 사용하렵니다.
-
시네마 스피커의 건은 제조사에 문의하셔서 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EC의 그 것이라면 SEC SVC 웹상담을 통해 얻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그게 되는 장비가 쉽지 않기 때문에 HDMI 케이블 하나로 모든 것을 해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케이블을 별도로 뽑고 음성 소스를 별도 채널 처리가 가능한 스피커시스템이어야 가능합니다.
--> 보통 비쌉니다.
1항의 건은, 일단 인터넷에 나와 있는 것을 다 해보셨다면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만..
셋톱박스 브랜드 (DMT,SEC,LG,휴맥스? 등등) 등등, 거기에 모델명 따라 처리방법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만..
iptime 메뉴 기준으로 볼 때 Super(?) DMZ 로 설정하면 왠만하면 됩니다. --> 공유기 뒤의 셋톱박스
MAC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기기의 MAC을 적고 이를 베끼면 (공유기에서는 MAC Clone이라고 합니다.) 굳이 이리저리 고민하실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아파트 MAC인증기기에 대한 번거로움 때문이라면)
p.s 말씀하신 대로 누진 구간으로 전기 사용량이 넘어가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은 문제의 핵심은 아닙니다만, 대개 사람들이 그렇게 까지는 안 하지요. 그건 기둥님 노력이시니깐 뭐..... 그리고 어떻게 해야하는 지 찾으시는 것도 기둥님 노력이니깐요. 기둥님 상황에 specific한 것은 직접 찾으시는 게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기둥
03.27 16:10
냠냠님 말씀을 바탕으로 제가 정리해 보면,
인터넷 -> 전화기 -> 공유기 -> 쿡셋톱박스 이렇게 연결하는데
공유기에서 셋톱박스를 super DMZ로 열어주면 쿡이 될 것이라는 말씀이시죠?
시네마 스피커가 그리 비싼 것이 아니기에 기능이 없을 것이라 예상됩니다만, 제조사에 기능 문의를 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는 말씀으로 듣겠습니다.
냠냠님 적어주신 내용으로 여러 힌트를 얻었습니다.
-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썼었습니다. 다만 저는 제가 네트워크 패킷을 뜯을 줄 아니 super dmz 이딴 메뉴 안 쓰고 직접 조정해서 썼었지요.
-
정상적인 집이라면 이렇게 연결하겠죠.
아파트 공유기(벽) - 집안 공유기 ---- 인터넷 전화기
└ 쿡 TV
└ LED TV ?
└ 컴퓨터
인터넷도 전부 잘 되고 항상 켜야 하는 공유기도 5W 만 소모되고 하위단에는 필요 없을 때 별도로 전기를 차단하면 되고요. 공유기에서 Twin IP 와 멀티캐스트 포워드를 지정해주면 쿡TV 잘 된다고 하는군요.
시네마 스피커는 뭔지 모르겠지만 그냥 5.1 채널 아무 스피커라고 한다면
HDMI 의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리시버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수십만원 될텐데요... 간단하고 정석적인 만큼 비쌉니다.
대부분의 5.1 채널은 SPDIF 나 그냥 구리선 가닥으로 해결하죠.
TV 도 영상입력단이 HDMI 만 있는게 아니라 컴포넌트 등 여러 단자가 다 있곤 하니 거기에 연결하고 필요할 때에만 TV 의 입력신호를 바꿔주면 되죠... HDMI 는 그냥 잊어버리시는 게 나을 듯 합니다.
외장하드 스펙도 한두개가 아니고 어떤 제품인지도 모르는데 질문이 너무 모호한 듯 싶습니다.
위의 공유기 파워 문제는 이제 쿡TV 를 공유기에 달아도 잘 될테니 문제 해결될테구요.
-
기둥
03.27 16:36
그렇습니다. 가장 표준적인 연결 방법입니다만,
인터넷 전화기와 쿡 TV 두개 모두 공유기를 거치지 않은 연결을 요구하기에 문제가 되었던 것입니다.
superDMZ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공유기에서 하나밖에 안되는 것으로 저는 알고 있기에 표준적인 연결로는 해결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쿡TV 설치한 것이 이 집 입주할 때니가 벌써 4년 전이네요. 그 당시 Twin IP 멀티캐스트 포워드 설정을 시도해 보았으나 안정적으로 쿡TV가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부팅까지는 되는데 메뉴에서 다음으로 진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금은 또 어떻게 달라졌는지 모르니 한 번 시도해 볼 만 하겠네요.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이 쿡TV이기 때문에 이 문제만 해결 된다면야 말씀하신 연결방법이 최고지요.
시간이 지난 만큼 새로운 정보로 다시 한 번 가능한 방법을 하나씩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
이 문제로 검색해봤는데 정말 가지가지네요.
보면서 QOOK 은 절대로 쓰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matsal님! 타 브랜드 인터넷에서는 더 한 문제도 많이 있습니다... ㅡ.ㅠ
굳이 한 두가지 사안으로 평가 하지 마셔요~~~ matsal님 정도면 이 정도는 쉽게 피해가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한국에서 베스트는 qook 인터넷에 iptv 붙이고, 기사와 이야기 잘 해서 공인ip를 한계점(現8개)까지 푸는 게 최고입니다.
인터넷 전화기는 공유기 거쳐도 잘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무선으로 잡는데 설정만 바꾸면 될겁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직접 고민하지 마시고 KT 로 전화를 해서.. 전화랑 컴퓨터랑 동시 사용이 안됩니다.
라고 하면 쉽게 해결 됩니다.. (전화기가 KT 제품이 아니라면 좀 다른 이야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