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JXD S7100 가격이 많이 내렸나보네요...
2012.04.09 23:38
$128대로 내려왔네요...
아... 이러면 안되는데...
아이패드2 사서 이제 총알도 없고,
무엇보다 램 1GB이하 안드로이드 기기는 처다보지 않기로 했는데.... ㅜㅜ
7인치, 정전식, 무려 전면 스테레오 스피커가 제대로 배치됨, 아날로그스틱...
L,R키 없다는 것과 무게가 무겁다는 것으로 그분을 쫓아내야 겠습니다.
윽... 모바일 에뮬레이터로 종결자 급인데...ㅜㅠ;;;
PS.
JXD사에서 S7100 개량버전 출시 소문은 없던가요~?
코멘트 3
-
S601은
CPU는 올라갔을지 몰라도 L,R 트리거 말고는 그렇게 구미가 당기는게 없어서요...
JXD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라인업은, 여러갈래로 나뉘어져 있는줄 알았는데,
그냥 단일노선, 여러기종이였나 보네요... S7100같은 제품이 안나오고, S601이 차기작이였다니...ㅡㅜ;
JXD에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션 라인을 접고, 그냥 안드로이드로 가나보군요... 아쉽네요.
////
SGX 531 이나 503 같은 변종이 있긴합니다.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으로써, 이미 현세대로 쓰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성능이죠...
중국의 듀얼 CPU 셋[600Mhz+400Mhz]로 구성된 AP에서도 PowerVR 5xx 마이너 버전을 쓰고 있는것을 알고 있습니다.
PowerVR의 시리즈들 중 하나이긴 합니다만, 벤치자료도 거의 없는 베일에 가려진 녀석들입니다.
PowerVR의 로드맵을 보면[GPU 코드명만 봐도 알수 있지만], 그러한 마이너 칩셋들은 모두다 PowerVR SGX535에 미치지 못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추측컨데, PowerVR시리즈의 메이져 시리즈를 찍어냈을때 발생한 불량[성능이 원래 원하던 것보다 떨어지는, 수율 문제에서의 불량]칩들을 안정화 단계를 거쳐 나온 성능별로 마이너 코드를 먹여 제조사에게 판매하는듯 합니다.
////
새로운 CPU를 간다는건, 기존에 구성된 앱시장을 거의다 포기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이죠...
지금까지 나온 RK, AA, TCC 칩셋 모두, 호환성에서 다 걸려 넘어졌습니다.
[삼성이 새로운 GPU, Mail 400을 넣으면서, 초기에는 앱호환성이 매우 열악했었습니다.
추후에 많이 보급되기 시작하니, 앱개발사들이나 개발자들이 신경쓰게 되었구요.
전세계적으로 많이 보급되어서 개발사/개발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만한 제품/라인업/시리즈가 아니라면,
호환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RISC이 구조적으로 다른 AP의 흉내를 내는건 한계가 있기 때문이죠.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해당 AP의 RISC 구조에 맞는 앱을 개발하는 것이죠... 범용적인 부분에 맞춰 앱을 개발하거나...
혹은 OS나 커널단에서 호환성을 높이기위해 부단히 노력하거나... 부단히 노력한 결과, 마이너 AP를 채택한 제품들에서도하드웨어 제조사가 커널/OS최적화를 잘 하면 기본적이고, 킬러앱이라고 일컬어지는 앱들은 대부분 구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유저들은 킬러앱뿐만이 아니라, 각 국가에 최적화된 로컬라이징 앱들도 사용하고 싶어하죠.
로컬라이징앱들은 해당 국가에 가장 많이 보급된 기종[혹은 시리즈, 혹은 기종들]을 기준으로 앱을 만듭니다.
실행되지 않는 앱이 있다면,
앱개발사에게 문의하게되고,
앱개발사는 소수의 유저들때문에 앱 호환성을 향상시키는건 비효율적이라 보고,
아예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가 불가능하도록 처리를 해버리게되죠...]
이미 전세계적으로 보급된 기종들과, 그 기종들에 특화되어서, 최적화 되어서 만들어진 앱들과,
그 앱들이 만든 생태계를 맛뵈기정도로만 호환이 가능했기 때문이죠.
펌웨어를 잘 만들어내면, 해당 AP에서 안드로이드 OS를 쾌적하게 구동할 수 있다는 사실은 PD10으로 증명되었습니다.
하지만, 혹시나 했던 호환성은 역시나 였습니다. RISC기반 ARM v7 형제들의 호환성을 너무 과신했나봅니다.
GC800과 같은 마이너 GPU를 탑재했을 때의 호환성이 떨어짐은 물론, 삼성이 채택하면서 급 상승세를 탄 Mail 시리즈들을 탑재한 AA나 TCC의 AP들도 기존 앱시장에서 호환성은 어디까지나 소프트웨어로 커버가 가능한 부분까지였습니다.
ARM칩셋간의 호환성을 뼈져리게 느꼈습니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뭐 해당기기의 설명자체가 All Emulation이라고 쓰여있긴 헌데 정말 All Emulation일지는 잘 모르겠네요. 오히려 256메가라는 램이 아무리 최적화를 시킨다하더라도 GPU자체도 그렇고 CPU도 Cortex A8인데 TCC처럼 몇번 굴러떨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명성있는 회사도 아니고 해서 대체 JXD에서 뭘 할려는것지 모르겠네요. 기존 라인업에서 쓴 안드로이드 에뮬레이션 게임기에 들어간 CPU의 경우 펌웨어 관리도 편했고 유저가 이러저래 바꾸기도 편해서 나름대로 괜찮다라고 생각되었는데 왜 갈아 엎었는지 이해가 전혀 안갑니다. 더구나 가격도 499위안으로 만들어서 오히려 가격 경쟁력도 그다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JXD에서 가장 잘나온 안드로이드 계열 게임기 에뮬레이터는 S601이며 엄밀히 따지면 S7100의 업글 버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S601의경우 Amlogic 8726-M3이며 S7100의 경우 Amlogic 8726-M1으로 조금 떨어집니다. 현재 JXD에서는 Amlogic 8726-M3의 개량형 버전 안드로이드 에뮬레이션 게임기를 만들지 않고 아예 CPU를 바꾼 V5200이라는 기기를 출시할려고 하고 있습니다. V5200의 경우 GP33002A라는 저도 전혀 모르는 새로운 CPU를 탑재하고 GPU의 경우 PowerSGX531을 쓴다고 합니다. (531도 있나요??) 크기는 5인치라고 하네요. ^^;
http://jxd.hk/products.asp?id=610&selectclassid=009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