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써버OS 문의드립니다
2012.05.25 00:31
현제 넷북으로 간단한 서버를 만들려 합니다 용도는 간단한 사이트와 대이터의 이동입니다 (파일정도)(램이1gb 이며 아톰270입니다)
OS 쪽이 고민인대요 xp 프로패셔널과 서버OS(윈서버) 와 리룩스중 어느것이 사용이 편할까요?
현재 생각중인것은 서버2003정도 입니다 시스템 사양과 잘맞을 하여서이기는 하나 무리일려나요
홈서버 생성은 이번이 처음이라 많은팁을 알려주시면 감사 하겟습니다
코멘트 9
-
piloteer
05.25 07:43
-
라즈곤
05.25 08:53
방금전에 쓴거 같은데.
저는 리눅스를 추천합니다. centOS나 ubuntu를 추천합니다.
장점:
1.무료라이센스. 무료업데이트.
2. 서버에 맞는 업데이트:
우분투는 LTS[long-term support]버전이 있어서 최장 5년간 업데이트 지원을 합니다.
3. 저사양에서 놀랄만큼 잘돌아가고 강력한 퍼포먼스
-저사양이지만, 그정도면 웹서버와 FTP, 영상및 음악스트리밍 기기[이건 추후에 말씀], 토렌토머신[일명 시딩머신],
단점:
1.쫌 공부해야함.
-이건 사용해보면 아시겠지만 용도가 무궁무진 합니다. 거기에 따른 구글신 소환과 공부를 해야 합니다. 전공이 그쪽이시라면 남는 장사입니다. 하지만, 리눅스 공부하다보면 윈도우와 컴세계를 보는 인식의 변환이 필요합니다. 이게 좀 힘듭니다.
2. 자료가 별루 없음.
-실제로 도움을 받기 위해서 우분투 커뮤니티와 한국우분투모임의 irc에서 질문을 해서 제가 직접 구축했습니다.
쓰다보니 답변이 길어 졌군요. 나중에 자유게시판이나 태블릿당등에 제가 왜 여기 오게 되었는지 적어드리죠.
성야무인님의 표준타블렛의 지원등에 대한 생각을 보니 확 자극 받습니다.
-
낙랑이
05.25 12:26
제가 P4 Northwood 3.0 Ghz / RAM 1GB 환경에 Ubuntu 11.10을 올려봤는데 쓸만합니다.
아마 아톰에서도 유사한 퍼포먼스가 나올 것 같긴 합니다만, 굳이 서버로만 쓰실 것이면 Ubuntu 까지 필요 없습니다.
오히려 Ubuntu 나 Mint 는 편의성을 위해 설치된 각종 멀티미디어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Xbuntu도 좋고, 아니면 Ubuntu Server 버전을 추천드립니다.
단 후자는 TUI가 기본이라서 명령어를 모르면 쓰시기 힘드실 수도 있겠군요.
리눅스의 기본 개념은 대충 아무 책이나 봐도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KPUG에서 도움을 받아서
Redhat 기반이지만 Fedora 계열을 소개한 책을 숙 보고 개념 닦았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제가 잘 하는 건 아니지만요... ㅜ (이건 좀 슬프네요 ㅜ)
-
라즈곤
05.25 12:57
맞습니다. 저도 실은 우분투 서버버전에 gui올려서 사용했습니다. 다올려도 상관없지만요.ㅎ
-
낙랑이
05.25 13:13
Gnome 을 올려서 쓰셨나보네요 ^^
제가 실력이 부족하니 항상 Web 을 참고하면서 해야하는데, Firefox 나 Chrome 모두 X-Windows 환경에 종속된 녀석이라서
쌩으로 TUI를 쓰긴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비슷하게 쓰고 있습니다 ㅎㅎ
-
piloteer
05.25 13:20
쉘에서 돌아가는 브라우저들중에서도 그럭저럭 읽을만한 수준으로 렌더링 되는게 있습니다만, 창전환이 불편해서 메뉴얼을 읽기 불편하지요.
딱 기본적인 수준의 x-window만 올릴 경우 x자 마우스포인터에 회색 화면, 그리고 쉘창이 하나 뜹니다. 아마 그렇게 쓰고 계실 거 같진 않지만요.
그리고 실력있는 분들도 메뉴얼을 읽어야 하다보니 이 문제는 공통일 거 같습니다. RTFM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 보니까요.
-
낙랑이
05.25 13:25
-
라즈곤
05.25 13:50
저도 그놈을 썼습니다. 유니티는 넘 아닌거 같아서요. 실은 fluxbox같은게 좋은데 막상 해보니 간편성으로는 그놈을 따라 잡을 수 없더군요.
-
piloteer
05.26 03:37
간편하고 빠른 놈으론 lxde라던가가 있습니다. 제 경우 icewm이나 dwm을 씁니다만.. icewm의 경우도 윈도95와 나름 닮아있습니다. 수동으로 설정을 하는 부분이 좀 더 많긴 하지만요.
그러나 제 경우 리눅스 서버관리는 ssh로 하다 보니 그다지 x-window를 중요하게 여기지도 않았기도 합니다.
웹서버가 쓰는 서버측 스크립트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긴 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