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없는 컴터 원격제어가 가능할까요?
2012.07.06 13:43
그냥 뜬금없이 생각이 나서 여쭤봅니다.
원격부팅 기능을 이용해서 A 라는 PC를 부팅시켰을때
모니터는 전원을 넣을 수 없을텐데요.
그래도 외부의 B 라는 PC에서 A 를 원격제어 할 수 있나요?
VGA카드 까지의 신호를 제어하기 땜에 가능할 것 같기도 한데,
제가 이쪽 지식이 없다보니 잘 모르겠네요.....
전문가님 답변 궁금합니다.
코멘트 7
-
iris
07.06 13:46
-
iris 님이 명쾌하게 설명해 주셨듯이, 모니터 없이도 원격제어가 가능합니다.
요즘에는 원격제어 앱들도 많이 나와서, 클라우드컴퓨팅하듯이 개인이 집에있는 데스크탑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WOL까지 되면, 전원 On도 원격으로 가능합니다.
-
505초보
07.06 15:09
와우~~~
역시 우리 KPUG이 최곱니다.
이렇게 빨리 답글 달아주시다니요....
두분 모두 감사합니다.
-
김강욱
07.06 16:21
원래 원격은 불가능합니다.
iris 님이 인증해주셔야 가능한 걸로 압니다....쩝~
썰렁 썰렁~
-
참고로 윈도프로버전 내장원격로그인은 외부서 로그인하면 pc에 로그인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윈도용Vnc는 원격지와 내부의 키보드 마우스가 같이 움직이죠
-
김강욱
07.07 11:55
제 경우는 원격을 쓸 일이 많다 보니(한 열 몇종은 써본듯), 종류껏 많이 써봤는데요.
어찌 하다 보니, 결국은 팀뷰로 넘어오네요.
희한하네요. 팀뷰가 젤 편해요. 어지간한데서 잘 돌아가고, 잘 퍼져있고, 실행하면 서버모드 딱있고, 번호만 부르면 언제든지 접속가능하고, 홈페이지도 연동되고.
-
505초보
07.10 11:03
여러분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컴터 문외한 까지는 아니지만 잘 모르는 부분도 많습니다만,
인터넷 찾아보면 이해할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당연히 됩니다. 서버라는 것은 모니터가 없는데 그걸 제어하려면 무언가 방법이 있어야 하겠죠? 그렇기에 이런 기술은 오래전부터 발전했습니다.
윈도우는 서버 계열 운영체제 이외에 Professioanl 버전부터는 터미널 서비스(원격 데스크톱)라는 기능이 들어갑니다. 이 서비스를 관리를 받고자 하는 PC에서 켜 놓은 뒤 원격 제어를 할 PC의 원격 데스크톱(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을 실행해 서버쪽 PC의 IP를 입력하면 접속이 됩니다. 그 이후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게임을 즐기거나 영화를 볼 정도는 못되지만 일반적인 작업 관리는 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VNC라는 것을 쓰는데, VNC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종류가 많기에 원하시는 것을 써도 됩니다. 윈도우용 VNC도 있습니다.
단, VNC건 터미널 서비스건 특정한 포트를 열어 놓아야 하기에 공유기를 쓸 경우 해당 포트가 열려 있는지 꼭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