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dr3와 gddr5의차이?
2012.07.06 16:39
코멘트 9
-
Azraile
07.06 16:41
-
GDDR3 = Double Data Rate
GDDR5 = Quad Data Rate입니다
즉 d3는 메모리클럭 X 2가 유효클럭이지만
d5같은경우 메모리클럭 X 4가 유효클럭입니다.
즉 같은 클럭에 메모리타입만 다르다면 d5쪽이 d3쪽에 비해 2배의 대역폭을 가지게 되는거죠.
허나 메모리 클럭보다 중요한게 대역폭(bit)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bit는 차선. 메모리 대역폭은 고속도로 속도 표지판이라 보시면 됩니다.
-
iris
07.06 17:48
덤으로 적으면... GDDR은 DDR과 규격이 전혀 다른 메모리입니다. 출발점은 비슷하지만 지금은 매우 다른 메모리가 되었습니다. GDDR3가 DDR3와 호환이 되는 것도 아니며, DDR4는 아예 지금 규격조차 확정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픽 메모리는 GDDR5까지 이미 나와서 잘만 쓰고 있습니다.
지금 GDDR5를 많이 쓰는 것은 메모리 대역폭과 관계가 있지만, 정확히는 무작정 대역폭을 늘리고 보자는 것이 아닌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줄이거나 더 늘리지 않으면서 메모리 대역폭을 유지하거나 발전시키기 위해 이렇게 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준 고급만 되어도 320비트도 있고 384비트도 있고 심지어 512비트까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는건 그래픽 프로세서를 불타는 닭갈비(?)로 만듭니다. 전력 소비량이 크게 올라갑니다. 지금은 에너지 효율성을 어떻게든 높여야 살 수 있는 세상이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늘리는 것을 억제하는 대신 대역폭이 두 배 넓은(효율성이 두 배 좋은) GDDR5 메모리를 넣어 대역폭을 맞춰줍니다.
지포스 GTX 680같은 것이 256비트 메모리 컨트롤러가 아닌 384비트나 512비트를 넣었다면 지금 '말도 안되는 성능에 전기도 획기적으로 덜 먹는다'는 극찬을 받지 못하고 '성능이 좋으면 뭘하냐, 불타는 닭갈비인데...'라는 비아냥을 들었을 것입니다. 이걸 하지 않으려고 GDDR5를, 그것도 최대한 빠른 것을 씁니다.
-
그 예로 페르미가 있죠 허허 불판
-
iris
07.06 19:17
사실 그보다 더한 불판이 있었습니다. 레이디언 HD 2900XT라는 넘입니다. 당시로서는 경이로운(?) 215W TDP를 자랑했으니까요. 그 모델이 완전히 두들겨 맞고서야 제정신을 차리고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팍 줄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는 데 성공했고, 그 이후 256비트 이상은 넘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또 지금은 384비트까지 높여 불판을 만들고 있고 그 결과 256비트로 억누른 GK100 계열 그래픽 프로세서에 '너는 그렇게 전기 퍼먹고 겨우 그 성능 내냐~'는 비아냥을 듣고 삽니다.
-
2900xt때 엔당에선 아마 8800이 뒤이어 나왔죠 아마.(더군다나 당시 8+6핀의 보조전원..)
사용하던 gtx480 레퍼(vf3000 추가장착)풀로드시 312와트정도 마구마구 먹어주더군요.
레퍼 그대로 사용시 풀로드 93도, 아이들시 53도였습니다 허허..
vf3000으로 교체후에 아이들 39도 풀로드 58도가량으로 떨어지긴 했지만요
-
그래픽카드의 역사로 보면 최강 불판은 페르미가 맞죠. (GTX 480만)
그 다음이 이번에 새로 나온 7970 GE 입니다.
그 다음이 2900 XT 이고요.
-
전혀 아닙니다.
모든 DDR 메모리는 규격에 따라 각각의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DDR 1/2/3/4 GDDR 1/2/3/4/5 전부 제각각의 기술 규격과 신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DDR 은 PC 에서 많이 쓰이도록 저렴하게 만든 64bit 규격이구요.
GDDR 은 그래픽카드 같이 보다 더 큰 대역폭이 필요한 분야를 위해 중첩이 가능하도록 만든 규격입니다.
그래서 4개 8개 조합해서 256bit, 512bit 의 대역폭 구성이 가능하죠.
물론 GDDR 이 일반 DDR에 비해 보다 고등한 기술이 많이 투입되어 있으며 클럭도 훨씬 높습니다.
하지만 전부 근간이 되는 DDR 기술의 기반 위에서 발전했기 때문에 DDR 딱지가 붙는 겁니다.
GDDR 메모리 모듈을 DDR 메모리의 모듈을 떼어내고 붙여봤자 절대로 PC 에선 작동 안합니다.
참고로 단순히 GDDR3/5 를 따지기 보단 해당 그래픽카드의 전체 메모리 대역폭 (GB/s) 을 위키에서 찾아보는게 좋습니다.
GDDR3 라도 256bit 이상으로 대역폭이 높고 GDDR5 는 64bit 으로 1/4 대역폭이라 5가 클럭이 더 높아도 GDDR3 이
더 빠른 경우도 있거든요. 현재 가장 빠른 건 아마 GDDR5 384bit 7200 Mhz 로 대역폭은 264 GB/s 인가 합니다.
그리고 메모리 대역폭이 넓을수록 빠른 건 사실이지만 GPU 코어가 처리 가능한 능력의 한계도 매우 중요하죠.
-
하시는 작업에 그래픽작업이나 쉐이더 개발, 쿠다 개발같은게 있으시면 몰라도, 사실 게임만 하는데 있어서는 엄청난 성능차이를 보이진 않아요. 사실 그보다는 다른 성능차이가 영향을 더 미치니, 정말로 다른건 다 같은데 메모리만 다른 경우(아직 보진 못했습니다.)가 아니라면 다른 것들을 더 중시하세요.
GDDR3는 PC의 DDR2 칩과 같고, GDDR5는 PC의 DDR3와 같습니다.
다만 그래픽용으로 사용되는 칩은 좀더 고대역폭, 고속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와 5는 메모리 대역폭에서 차이가 나고, 성능은 약 5~10%정도 차이가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