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서버 견적 관련 질문
2012.12.06 18:35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눈팅만 하다가 이렇게 질문만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ㅠ
서버 견적 떼오라는 임무를 맡았습니다.ㅠ
일단 서버에서 돌릴건
대학교 학생회에서 운영할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채팅방, 자유게시판, 기타 몇몇 게시판 정도..구요
(사이트는 개발이 되어 있습니다)
동접자는 1000명정도 예상합니다.
지금 그냥 일반 컴을 서버로 돌리고 있는데 동접자 100명 넘어가면 뻗어버립니다.
그리고 win 2008 PHP + MySQL 로 사용중입니다.
필요한건
서버 적당한걸로(이 적당하다는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ㅠ),
하드는 5~10개정도
라우터
스위칭허브도 필요하다는것 같습니다
(사이트 개발자가 이정도는 되야되지 않겠나,, 하고 말 해서요)
이정도면 얼마정도 견적이면 되고 어디서 하는게 좋을까요?
자세히 부탁드립낟 ㅠㅠ 복받으실거에요 ㅠㅠ
코멘트 9
-
사이징을 시작할 때 접근 방법은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만,
지금 같이 장님 코끼리 만지기 할 때에는 이런 식으로 하는 게 좋겠습니다.
1. 100명 접속하면 뻗어버리는 PC의 스펙을 자세히 기술
2. 이거보다 몇 배 성능 가지게 해주세요. 라고 기술.
- 개발이 개발새발 되었으면 별 것도 아닌 일에 서버가 죽겠지요? ㅎㅎ 아무도 모르는 겁니다.
3. 프론트와 DB가 함께 있는 것은 뭐 그러려니 하겠습니다만. 적어도 해당 사이트의 데이터 증가량 예상 정도는.. 계획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 기준으로 몇 년 쓸 정도는 되겠습니다. 는 이야기 하겠지요?
이거 말고도 말씀드릴 게 어마어마하게 많지만 사이트 개발자가 이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겠냐? 라고 말한 걸 보면
아마츄어 일 테니 아마츄어 기준으로 답변 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
가이세르네
12.06 20:13
여차하면 몇달 정도는 다른데 입주해서 사용 하시면서 트래픽 같은 것들 점검 해보는 건 어떨까요?
실제 서버가 쾌적해지면 예상치를 넘어버릴 수도 있으니까요.
-
하뷔
12.06 20:53
1000명 수준... 과한거 아닌가요? 학생이 몇 명이기에...
일반 컴이라도 100Hit 가지고 뻗지는 않을거 같은데...
쩝... 뭐.. 전문 파트가 아니니... 그냥 지나가는 뻘 소리라고 생각하시길..
-
라즈곤
12.06 23:09
아마추어적으로 호스팅을 하고 있는 사람으로 말씀드리자면요.
먼저 윈도우보다는 리눅스[특히 우분투]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더 낮은 사양에도 불구하고 훨씬 안정된 호스팅을 해준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그쪽일은 하시는 전문가에게 여쭤보니 리눅스로 구성해서 웹서버 만든다면 램2기가에 펜티엄4정도면 충분하다고 하더군요. 동접자 100명 정도라면요.
근데 여기서 이상한 생각이 듭니다. 뭐 모르는 부분일 수도 있겠지만요.
대학교 학생회 커뮤니티인데. 동접자를 1000명정도로 보시는 이유가 무언지요? 시험기간에 족보푸는 정도의 자료실도 그정도는 안나올거 같습니다. 아니면 동영상을 호스팅하는 것이라면 그정도는 나올수 있겠지요.
하지만, 제 의심입니다만, 순전히요. 예산을 부풀려 먹으려는 생각으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는 겁니다.
리눅스를 모르면 배우시는 것을 권합니다. 특히 호스팅을 직접하신다면요.
하드가 5-10개면 몇테라짜리의 하드인지요? 보통2테라짜리니. 5개정도면 큰케이스의 PC에 담을수 잇고 그이상이면 외장형으로 쓰는 하드박스(? 이름이 잘기억 안납니다.) 정도로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두는 곳이 학생회나 동방이라면 소음과 발열에 대한 부분도 생각하시고 제작하시길 바랍니다.
리눅스 호스팅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이트는 한국 우분투이용자 모임인 www.ubuntu.or.kr혹은 IRC로. webchat.freenode.net으로 접속해서 #ubuntu-ko등으로 오셔서 질문 남겨주시면 잘답변해 주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호스팅쪽의 일을 하시는 분들이라서 적절한 이야기 해주실 겁니다.
-
purity
12.07 01:36
개발하신 분은 랙 서버 + 스토리지 + 스위치의 일반적인 세트 조합을 원하시는 것 같습니다. 비용은 목적과 구성에 따라 극과 극을 오갈 수 있습니다. 가장 싸게만 보자면 IBM이나 Dell의 1U 서버 + 어레이 또는 그에 준하는 스토리지 어댑터 + 가장 싼 SATA 하드 이용하는 DAS나 NAS + 하드는 모두 별도 구매 등으로 극단적으로 저렴함을 추구하면 스토리지 워런티에서 문제가 생기기는 하지만 심지어 500~600선에도 조합이 되고 여기에 네트워크 공사, 사제 랙 비용 얼마간 추가한 뒤 운영체제 비용을 더하시면 됩니다. 이런 구성은 Dell은 웹사이트에 나온 번호로 전화하면 친절하게 중국 콜센터에서 접수한 후 한국 영업 사원 조인해주고, HP나 IBM은 웹 검색으로 적당한 벤더 고르셔서 문의하면 영업쪽으로 돌려줍니다.그러나...문제는 이 것이 과연 합리적인가 하는 것은 또 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일단 동접과 최대 사용자가 구분되어 있는지 부터(동접자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 요즘이지만 의외로 이것이 또 혼동되기도 합니다) 시작해서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DB 등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의 솔루션 설정 상태와 웹 어플리케이션이 적절하게 작성되어 있는지 살펴야 합니다. 지금 말씀하신 문제를 살짝 짐작해보건데(어디까지나 살짝입니다~) 아파치나 IIS의 세션 관련 설정이나 DB 풀링 설정이 적절하지 않은 단순한 이유일 가능성이 있고 이것이 원인이라면 하드웨어가 증설된다고 해도 거의 해결되지 않거나 잠시의 몰핀 처방의 효과만 가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또 다른 문제는 관리 부분입니다.많은 학교 또는 그에 준하는 커뮤니티 서버 시스템들은 관리를 전담하던 이들이 조직을 나가면(학교라면 졸업하면) 흐지부지 되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이는 곧 다르게 말하면 초기에 도입에 관련되었던 사람이 조직을 나가는 순간까지 자신의 본업과는 무관한 무료 봉사를 감수해야 한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특히 한국인들이) 물리적인 기기를 보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 운영비용이 낮아질거라는 생각을 하는데 이점은 다시금 잘 생각해보셔야 합니다.즉 요약하면... 현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면 그를 우선으로, 외부 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클라우드 서버건 호스팅이건) 그를 차순위로 고려하고 장비 구입과 유지는 마지막으로 고려하시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되며, 이러한 결정의 기저에는 항상 관리와 운영의 주체가 누구인가(냉정하게는 내가 봉사해야만 하는가 여부도 고려해야 겠지요)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1 저라면... 주위에 이런 것 좋아하는 '기계는 내가 갑~' 혹은 '첨단의 왕 나~' 부류의 동료에게 넘기고 혼돈에서 빠져나오겠습니다. 우리 주위에는 이런 친구들이 반드시 존재하니까요~@@;;;*2 성능 관리 역시 중요한 백엔드 시스템의 이슈이니 만큼 이 기회에 적절한 성능 모니터링 툴을 이용해서 운용중인 시스템을 점검해보면서 문제를 찾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PHP, MySQL 용도로도 오픈소스 솔루션이 있는 것 같으니 한번 검색을~==333;;; -
꼬소
12.07 02:03
왠지... windows를 linux로 바꾸면 장비 안사고도 일 끝낼것 같은 느낌은 저만 그런게 아닐 듯... 합니다..
아.. 그리고 죽으면 왜 죽는지 먼저 알아보세요...
하드웨어는 돈만 들이면 잘 동작합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는 노력이 없으면 잘 동작하지 않습니다...
-
말씀하시는 "동접"의 의미를 정확히 설명해주셔야, 동접 1000명을 처리할수 있어요. 특히 웹사이트의 동접자 개념은 그냥 말하기 나름이라서요. 제 개인적으로는, 채팅방용 PC만 하나 더 사서 돌려도 충분할거라고 생각합니다.
하나 궁금한건, 현재 돌리고 있는 시스템의 네트워크가 어떤 구조길래 스위칭허브와 라우터까지 현 시점에서 다시 구매해야 하는가!!입니다.
마지막으로 조언해드릴건, 잘 모르시면 혼자서 모든 원죄를 덮어쓰시지 말라는겁니다. 지금 상황에서 자칫하면 혼자 나쁜놈 됩니다. 학생회와 학생들은 매년 바뀌니, 아마 대를 이어 욕먹고 변명도 못하게 될 가능성까지 있습니다. 누가 말을 전하냐에 따라, 님께서는 학생회 온라인화의 마스터피스의 존재로 전해지느냐, 아니면 모든 고생을 하게 만든 원흉으로 전해지느냐가 결정되기도 하죠. -_-a
그냥 서버비용에서 인건비를 일부 떼서라도 누구 붙여달라고 하세요. 컴공이시라면 친구 한명에게 알바비 주고 도움을 받을수 있도록 하세요. 솔직히 알바비라고 해도 대학샐활에 친구 꼬셔서 도와달라고 하는거 얼마 안되는거 아시잖아요~ 심지어 저때는 IBM 일 도와줬을때도 술 한번 거하게 쏴주고 말던데 -_-a (IBM에 잘난 사람이 없어서 그랬겠어요 ㅎㅎ)
ps : 여기 조언해주시는 분들이 능력이 부족해서가 절대 아닙니다. 하지만 직접 가서 그 상황을 보고 내리는 결정은, 초 고수가 그냥 전해지는 소리만 듣고 내리는 결정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는건, 지금 조언해주시는 분들이 더 잘 아실거에요.
-
김강욱
12.08 22:27
동접이 1,000 명이요????????
헐~
회원수가 한 20,000 명 쯤 되시나 봐요? 인기 사이트도 회원의 5% 를 잡는데....그래야 1,000 명인데...
너무 과하신 듯 합니다.
1) OS 는 우툰투나 센토스를 권장합니다. Windows 에서 MySQL 이 파일 핸들 갯수에 민감합니다. 실제 몇 십명만 디비에 동접 하면 잘 죽습니다. --;;; MySQL Bug Report 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2) 왠만하면, DB 튜닝하실 줄 아시는 분을 찾으세요.
위 상황에서 예상할 수 있는 문제가 "채팅시에 쓰레드 갯수가 너무 많을 수 도 있겠다" (메몰/씨퓨 최대 업글로 뽕빨 뽑을 수도 있겠지만) 와 "DB 튜닝자체가 안되어 있어서 별거 아닌데도 죽을 수도 있겠다" 정도...
게시판도 억지 유추하자면, 왠만하면 게시판 내용을 Caching 을 하시면 좋습니다.
Linux 에서 사용할 수 있는 Caching 툴도 많구요.
3) 걍 SSD Raid Mirror 를 쓰세요. 자료실 크기가 크다면 별도로 디스크 구성하시구요.
서비스 죽어도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면, 한대로 돌리시구요. 아니면, 두대로 양방향 MySQL Replication 하시구요.
이 경우 데이타는 한 군데에만 쓰시어요.
4) Window 서버 살 가격(정품 쓰시죠...???) 이면 하드웨어 업글 뽕빨 뽑겠네요.
5) 가비아같은 데가 어떤 조합이 젤 좋은지 잘 알'테니, 하드웨어 스펙은 가비아 홈피가서 조립용으로 좋은 스펙 고르셔서 같은 스펙으로 맞추세요.
6) 흠...역시나 하지 마세요. 이런 일 쉬운 일 아닙니다.
목숨 거셔야 하는 곳이 아니면...
도망치세요~~~빨리요~
도망이 안되면, 제대로 돈 지랄하게 만드세요.
최고의 기계와 최고의 인력을 가져다 쓰세요. 그래야 나중에 면피가 됩니다.
최고의 기계와 인력을 썼는데...안되는 걸 나더러 어쩌라는 거냐....죠.
아,,제일 중요한건 견적의 대략적인 가격대입니다. 가격대가 나와야 예산을 요청할수가 있더라구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