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선택에 대한 질문입니다
2012.12.15 14:47
안녕하세요
저희집 백업 및 네트웤 공유를 위해 지난 몇주(몇달?)동안 여러 옵션을 검토한 결과
결국 NAS가 정답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현제 호주 브리스번에서 시놀로지 112j가 165불, 212j가 207불 정도에 팔리고 있습니다.
제가 이런류의 기기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어서 좀 비싸더라도 제일 평이 좋은 위 두 기종중에 하나를 선택할 생각입니다.
하드용량은 일단 1테라면 제 용도에는 충분할 것 같은데요... 과연 위 두 기종중에 뭘 선택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집사람 놋북과 제 놋북 하드 합쳐봐야 오백기가 정도이고 이 용량이 당분간 크게 늘어날 것 같지는 않아서 1테라짜리 하드 하나면 사실 뒤집어쓸 것 같습니다. 더구나 자료들을 컴에서 NAS로 옮기는게 아니고 백업하는 방식으로 사용할거라 굳이 거기에 2차 백업까지 필요할까 하는 생각에 1베이면 충분할것 같은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코멘트 7
-
꼬소
12.15 15:06
-
김강욱
12.15 18:13
업무용에서는 저흰 3~4T 도 부족함...컨텐츠가 좀 되다 보니...
-
냉소
12.15 17:59
DS112J 사용 중입니다.
저도 했던 고민인데요, 저는 일단....RAID로 실시간 백업을 해야할 만큼 중요한 자료는 NAS에 두지는 않고 있고,
자료/사진/음악의 백업 개념과 영화/음악의 백업 및 플레이....그리고 기타 그때 그때 네트워크 드라이브로서의
역할 및 외부에서의 스트리밍과 FTP를 이용한 자료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도 2 베이를 상당히 고민했었지만, 전력 사용량과 발열 및 팬소음 등등....그냥 1 베이면 충분할 것 같았지만,
디스크 용량이 조금 고민스러워서....DS112J + 2TB로 설치해서 사용 중입니다.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하지만, 그때 그때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묶어서 자료가 생기는 대로 씽크 개념으로 백업하는게 아니라면...
100M 네트웍에서는 조금 답답하실 수 있습니다....제가 그것 때문에, 기가비트 라우터와 기가비트 허브
설치하고 랜선도 카데고리 6 작업을 다 했답니다....물론 점보프레임 설정도 하고요...
집에다가 이런 짓을 하고 있으니 좀 그렇긴 하더군요....ㅋㅋㅋㅋ
물론 속도는....100M 네트웍에, 집 벽에 원래 시공된 포트를 이용한 것에 대비해서...
상황에 따라서 대략 4배 ~ 6배 정도 속도가 빨라지긴 했습니다...
-
calm
12.15 18:44
40불 차이면 212j를 추천 드립니다. 2베이에 1개만 꼽아 쓴다고 해도, 전원부 등의 용량이 더 넉넉하기 때문에, 1베이보다 더 안정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만약의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베이 바꿔 가며 테스트 해보기도 용이하고, 나중에 하드 용량이 부족하거나, NAS의 자료를 백업할 때도 2베이가 편리합니다.
-
건설노무자
12.15 18:49
앗 제가 아래 댓글을 이 글 보기 전에 달았네요... 근데 이건 또 제가 고려해봐야할 부분이군요!
-
건설노무자
12.15 18:48
말씀들 듣고보니 1베이냐 2베이냐의 문제는 용량의 문제는 아닌것 같군요. 결국 백업을 위한 RAID1구성이 필요한가의 문제인데요. 제가 밝혔듯이 집사람과 제 놋북의 자료는 그대로 있고 그 자료의 복사본을 NAS에 저장할 생각입니다. (실시간백업도 필요없구요 일일백업정도면 충분한데 딸려오는 소프트웨어로 자동으로 설정가능하겠죠?) 두개 이상의 기기가 동시에 문제가 생길 확률은 저희같은 일반 가정집에서 거의 0에 가까울 것이므로 RAID1 구성을 위해 2베이를 사는건 낭비일것 같습니다. 용량의 문제라면... 나중에 그냥 더 큰 하드 하나 더 사서 옮기면 그만이구요. 컴퓨터와 함께한 사반세기(!) 경험으로 볼때 미리 확장을 고려해서 더 비싼것 사는것보다는 그냥 그 당시 젤 저렴한 놈으로 사고 나중에 모자라면 또 그냥 그 당시의 젤 저렴한 놈으로 사는게 더 이익이었던거 같아요^^
-
calm
12.15 18:57
NAS라는게 평범한 용도로 이용시에는 크게 업그레이드 해줄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4년 넘어 가는 제 DS209도 여전히 NAS자체는 한 번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잘 돌아가고, 펌웨어 업데이트도 잘 받고 있습니다. 아직도 시놀로지는 7시리즈 까지 최신 펌웨어를 업데이트 해주는군요. 끝으로 백업 프로그램은 syncback se 도 한 번 살펴보세요. 저는 노무자님과는 반대로, 여러 대의 기기 (PC, Notebook, Pad, Phone)에서 최신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NAS에 주 데이터를 두고 그 데이터를 PC의 세컨드 하드에 백업을 하고 있는데, syncback s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DS이전에 넷기어 나스 쓰던 시절 까지 하면 그럭저럭 저 툴을 7년 정도 사용해오고 있네요;
지금 보유 할 자료가 얼마 없으시더라도 추후 더 늘어 날 수 있는 것이고,
기능적인 면에서도 2베이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2 베이와 1 베이의 차이는 큽니다.
정말 중요한 자료를 백업 하신다면 결국 RAID1이 필요한데, 1베이는 물리적으로 해결 할 수 없거든요.
거기다.. 자료실의 확장을 위해서 다시 NAS 한대 더 구입 하기 보다는 베이에 하드디스크만 더 연결하면 확장문제가
해결되므로 2베이로 가는게 오히려 이득이 되겠죠...
예전 1기가도 뒤집어 쓸 때가 있었는데, 이제 1테라 쯤이야... 라는 시대가 언제 올지 모릅니다. ㅎ
※ RAID1은 mirror로 하드디스크 A에 쓴 내용을 그대로 B에도 써 줍니다. 하지만 컴퓨터가 인식하기에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인식시켜 줍니다. 만약 A에 이상이 있어 작동이 중지되면 B에 데이터가 동일하게
남아 있으므로 데이터가 손실 될 위험을 줄여 줍니다. 물리적으로 2개 이상의 하드디스크가 필요하며
사용 시 동일한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시는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