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차와 함께하는 법 (2)
2013.01.01 11:54
1부의 반응이 나쁘지 않아 2부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래도 분량과 페이스는 여전히 쓰는 사람 마음대로입니다.^^ 엿장수 마음대로라고 해도 좋습니다. 제가 바로 엿장수입니다.^^
* 경차의 가격
경차는 기본적으로 지갑과 통장 사정에 여유가 적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에 절대적인 가격이 비싸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중형차나 대형차보다는 쌉니다. 또한 차량 크기가 작고 고급 옵션을 상대적으로 덜 넣기에 원가면에서도 저렴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으로 무작정 싼 가격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GM의 소형차(그래도 1.600cc입니다.)인 아베오의 '깡통' 차량이 대략 1,246만원쯤 합니다. 경차인 스파크의 깡통 옵션은 869만원부터 시작합니다. 하지만 중간 등급에 4단 AT 트랜스미션을 넣고 알루미늄 휠과 커튼 에어백만 달아도 1,199만원이 됩니다. 최상위 등급에 옵션을 있는대로 박아 넣으면 1,293만원까지 올라갑니다. 옵션을 높이면 상위 등급의 깡통 차량과 가격 차이가 줄어들거나 역전이 되는 것은 사실 어느 차량이나 마찬가지이기는 하나, 경차는 가장 많이 사는 중간 등급만 되어도 같은 회사의 소형차 깡통 모델과 가격이 비슷해지게 됩니다. 즉, 차값이 절대적으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나마 새 차는 경차가 확실히 싸기라도 하지만 중고차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800cc짜리 2006년식 70,000km 내외를 뛴 GM 올뉴마티즈의 중고차 가격은 400만원대 초중반 수준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거리를 뛴 1,200cc짜리 2008년씩 젠트라의 중고 가격도 이 정도입니다. 아예 싼 차로 가면 역전 상황도 벌어지는데, 2000년식 현대 아토스 100,000km짜리가 역시 비슷한 연식의 비슷한 거리를 뛴 구형 아반떼보다 조금 더 비쌀 정도입니다. 중고차 가격이 새차보다 차이가 줄어드는 이유는 중고차로서의 수요가 훨씬 많기 때문입니다. 나오는 차의 종류는 정해져 있는데 유지비 문제, 그리고 운전의 편의성 때문에 운전 연습 및 낮은 관리 비용을 중시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새 차에 대한 비중은 낮아도 중고차에서의 인기는 하늘을 찌르는 것이 경차입니다.
그러기에 새 차의 경우 보통 1천만원대 초반 수준의 예산은 준비해 놓아야 살 수 있고, 중고차는 비슷한 연식과 주행거리를 갖는 준중형 또는 중형차 가격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오히려 중고차 가격은 연식이 오래될 수록 가격 차이가 커지는 편이기에 '경차가 큰 차보다 더 비싸기야 하겠어?'라는 생각은 접어두셔야 합니다.
* 경차의 퍼포먼스
사실 경차에 스포츠성을 바라는 분은 거의 없겠지만(경차에 터보차저를 올려 스포츠성을 추구하는 마니아들도 적지만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경차의 성능에 대해서는 알아 두는 편이 좋습니다. 경차의 성능에 대해서는 환상과 평가절하가 꽤 많은 편이기에 그것을 깨는 것은 처음 경차를 사려는 분께는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800cc급 경차만 해도 52마력이라는 한계선이 존재했지만, 지금 나오는 1,000cc급 경차들은 그 보다는 출력이 더 올라갔습니다. 최초의 1,000cc급 경차인 모닝은 61마력, 지금의 3세대 모닝은 82마력입니다. 상대적으로 엔진의 출력이 떨어지는 쉐보레 스파크는 70마력이 나옵니다. 하지만 '겨우 82마력'이라고 할 것은 못됩니다. 1,300cc급 1세대 현대 액셀이 77마력이었습니다. 엔진 기술의 발전, 그리고 트랜스미션의 기술 발전에 따라서 이제는 절대적인 출력도 배기량에 비해 강해졌고, 같은 배기량, 같은 출력에서 속도는 더 빨라졌습니다. 더군다나 차체 무게가 절대적으로 가벼운 만큼 과거의 소형차에 비해 경차의 최고 속도는 결코 뒤지지 않습니다.
속도 마니아들에게는 확실히 부족하겠지만, 고속도로 평지 또는 약간의 내리막 성향 구간에서 경차는 상상보다는 빠른 속도를 냅니다.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기술이 좋지 못했던 1세대 마티즈(M100)의 경우 145km/h가 최고 속도이며, 실제로 6,000rpm 전후까지 엔진을 혹사(?)시키면 충분히 저 속도가 나옵니다. 그렇지만 3세대 마티즈(M200)만 되어도 155km/h는 어렵지 않게 찍고, 제 경우 165km/h까지도 속도를 냅니다. 지금의 스파크(M300) 역시 이 정도의 속도는 충분히 냅니다. 지금의 올뉴 모닝(TA)는 의도적으로 최대 속도를 150km/h 내외로 낮췄지만 이는 안전과 승차감을 생각한 의도적인 조정일 뿐 170km/h까지의 속도를 충분히 낼 수 있는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제네시스 쿠페의 제로백이 얼마네, K5 터보의 속도가 얼마나 뛰어나네 해봐야 그 속도를 낼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심야에 다른 차와 배틀이라도 벌일 것이 아니라면 이 정도의 최고 속도면 충분하고 남습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최고 속도가 110km/h인 이상 안전 운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최고 속도는 그리 의미는 없는 셈입니다.
하지만 최고 속도와 달리 가속력과 언덕의 등판 능력은 경차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최고 속도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기술의 향상으로 어느 정도 극복을 할 수 있고, 그러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운전 습관을 갖추면 속도에 대한 갈증은 해결할 수 있지만 이 문제만큼은 어찌할 수 없습니다. 가속력과 등판 능력은 철저히 토크에 의존하지만 경차에서 토크만큼은 어찌할 수 없습니다. 800cc급에서는 가장 최신형인 GM 올뉴마티즈의 최대 토크는 7.3kg*m, 올뉴 모닝도 9.6kg*m에 불과합니다. 그에 비해 낡은 현대 쏘나타 III조차 16.5kg*m, 신형인 YF 쏘나타라면 20.5kg*m에 이릅니다. 쏘나타의 터보 모델이라면... 37.2kg*m 수준이기에 비교하는 것이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
즉, 경차는 어떻게든 속도를 내기 시작하면 고속 환경에서도 준중형이나 중형차에 비해서 그렇게 떨어지지는 않지만, 그 속도를 내기까지 매우 시간이 걸립니다. 이 때 뒤에서 성격 급하고 성질까지 비인간적인 운전자가 있다면 위협 운전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언덕길이 많은 일반 도로 및 고속도로(특히 영동고속도로 강원도 구간, 경부고속도로 대전-김천 구간, 호남고속도로 대전-논산 구간, 44내림픽저속도로 등)에서는 트럭 못지 않은 저속을 낼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경차에 가솔린 터보 또는 디젤 터보 엔진을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데, 최고 속도면에서는 기껏해야 5~10km/h 빨라질 뿐이지만, 토크가 좋아져 어느 정도 가속력과 등판 능력 개선이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최고 속도는 충분하지만 토크가 떨어지는 경차의 엔진 특성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어느 정도 바꾸길 요구합니다. 즉 급가속과 급감속을 철저히 피하며 브레이크 제동을 써 자주 속도를 낮추기보다는 타력 주행을 하여 알아서 속도가 떨어지길 바라며 절대적인 속도를 최대한 덜 줄이는 운전 습관을 필요로 합니다. 언덕에서의 속도는 어찌할 방법이 없다고 해도 이러한 운전 습관의 개선은 감속 후 재가속의 필요성을 없애거나 그 수준을 최소화하여 토크의 부족으로 가속력이 떨어지는 불만, 그리고 도로의 흐름을 의도하지는 않지만 깨게 되어 난폭 운전자의 '먹이'가 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한 줄로 정리하면 '액셀과 브레이킹에 약간의 테크닉을 필요로 한다'가 되겠습니다만, 불필요한 가속과 감속을 줄이게 되면 연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뿐더러 다리의 피로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익숙해지면 운전이 한결 편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갈 데 까지 간 연비 주행을 하겠다고 한다면 오히려 다리가 피곤해집니다만...
- 3부에서 계속 -
코멘트 13
-
잘봤습니다! 매번 감사합니다!
-
마티즈크리에이티브.. 현 스파크의 경우 제로백이 16초인가.. 17초인가 그렇습니다..
그리고 평지 최고속은.. 엔진 터져라 밟고있으면 160~170km정도는 나오는것 같습니다.. 오토미션으로요..
연비는 머랄까 기대치가 커서인지 몰라도 생각보다는 잘 안나오는편입니다.
스파크가 예상외로 강판이 좀 두꺼운지.. 사고나는걸 봐도 튼튼합니다만.. 그에대비 연비는 좀 떨어집니다.
국도 30km출퇴근 연비모드로 살살다녀가며 엑셀신공펼쳐봐도 평균 15~16km정도 나옵니다.
시내상황은 더욱 악화됩니다.. 제주시내가 그리 안막힌다는점을 감안하더라도 10km내외로 나와버리니까요.
등판능력또한... 작은엔진에 마력이 낮다보니.. 물론 예전 티코보다야는 높지만.. 성인두명에 어린아이 두명을 태우고 경사진길을 올라가기란 자연스럽게 발끝에 힘이들어가고 핸들을 꽊잡게되어 있습니다... 다른차량 신경안쓰고 느긋하게 간다면야 상관없지만.. 성질급한 차량을 만난다면 대략난감입니다.. 그래도 어쩌겠습니까. 출력이 부족한데...
소형차량 오르막길에서 천천히 간다고 뒤에서 욕하지마세요.. 제딴엔 무지 열심히 휘발유 퍼먹어가면서 오르고 있는겁니다.. ^^;
그리고.. 흠.. 머랄까 경제운전의 꽃인 퓨얼컷... 대부분의 차량은 경사로 하향길에서 엑슬에서 발을 떼면 내려가는 탄력에 의해서 차량이 진행하는데 이때 퓨얼컷구간이라는게 존재합니다.. 차는 움직이고 rpm은 정상으로 올라가있지만 엔진에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연비에 도움이 되죠..
모닝이나 레이는 모르겠습니다만.. 마티즈에는 그 퓨얼컷 구간이 없습니다. 상기사진에있는 기기가 인젝션에서 뿌려지는 연료량도 체크가되는데요.. 내리막길에서도 연료가 차단이 되는게 아니라 소량이나마 연료가 들어갑니다...
물론 그양은 정지시 P, N상태 4.5 mg/s 정도, D상태일땐 7mg/s 의 소모량을 보이는데 위에 언급한 퓨얼컷 구간에 진입해도 1.2mg/s의 소모량을 보여 완전 0상태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 mg/s는 포켓스켄데이터값중 인젝터분사량값의 단위입니다.
-
지니~★
01.01 18:43
심한 언덕을 하나 올라봤는데... 마티즈 탈 때는 후덜덜하더군요.
"경원대 후진 달인"이라고 YouTube 검색해보시면 되는데, 바로 그 구간입니다.
그 언덕이 정말 엄청난데... 가속 못 받고 올라가면, 엑셀레이터를 세게 밟아도
20km/h 정도 밖에 안되는... 뒤에서 빵빵하게 되는 그런 구간이죠.
특히 눈길에는 정말 무서울 정도... (제설은 가장 먼저하는 구간이지만)
-
그건말이죠... 토크가 낮아서 그런겁니다..
차량엔진을 볼때 cc이외에 마력과 토크를 보게되는데
마력은.. 할수있는 일의 양.. 즉 처리능력이라고 보면, 토크는 순간에 낼수있는 힘..파워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파크의경우 70마력, 9.4kg.m(토크), 모닝의경우 80~82마력, 9.6kg.m(토크), 1993년식 구형스포티지의경우 2000cc 87마력, 20.5kg.m(토크) 입니다. 1000cc와 2000cc의 비교는 좀 뭐하지만서두.. 일단 마력은 모닝이나 구스포나 비슷비슷합니다. 하지만 토크가 두배이상 차이납니다. 그래서 오르막길에서 최신형 모닝이 힘들어할때 구스포는 뒤에서 빵빵거리며 추월할수 있습니다..
현재 중형차량이상 차들은 200마력이상 토크도 35kg.m정도로 왠만한 언덕은 힘들이지 않고도 쉽게 오릅니다....
차량을 눈여겨볼때 마력과 토크 눈여겨보시면 힘있는 차량을 구하실수 있습니다.. ^^;
-
지니~★
01.02 13:08
가솔린 기준으로
준중형급 (1.6 GDi)은 17kg.m 정도...
중형급 (2.0 GDi)은 토크가 20kg.m 정도네요.
준대형급 (2.4 GDi)로 가야 토크가 25kg.m 나오네요.
디젤 기준이면
2.0 짜리만 해도 40kg.m이 나오긴 하지만요.
1.6 짜리는 26kg.m이 나오네요.
35kg.m 나오는 것은 중형이상 차량이 아니라,
디젤 차 기준으로 잡아야 맞겠네요.
여기에 동력손실까지 감안하면, 2000cc급 디젤엔진이 되어야겠네요.
-
제원표상 k5 2.0 GDI 마력271 토크37.2 입니다...
-
지니~★
01.02 15:50
271마력 나오는 건 2.0 GDi가 아닙니다. 2.0 GDi는 172마력입니다.
2.0 T-GDi (Turbo GDi)죠... 터보가 달린 모델은 일반 모델이 아니라고 봐야죠.
터보 달린 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는 모델은 아니고, 중형차를 대표할 수는 없겠지요.
우리나라에서 가솔린 터보는 중형에서는 소나타, K5, 준중형에서는 벨로스터 3종류 뿐입니다.
이제 시작단계인 셈이지요. 슬슬 아반떼, i30 등에도 터보를 얹겠다는 계획은 있죠.
현대 소나타, 기아 K5, 삼성 SM5, GM 말리부를 다 봐도...
가솔린 200마력 넘는 차는 K5 터보, 소나타 터보 외엔 없습니다.
그나마 삼성 SM5나, GM 말리부의 경우는 170마력은 커녕 140마력대가 나오죠.
(참고로, 현대, 기아 준중형에 쓰이는 1.6 GDi가 140마력인데...)
물론, 토크가 20kg.m를 훌쩍 넘는 가솔린 국산 중형차도 없습니다.
(벨로스터 터보처럼 1.6 T-GDi로 204마력에 26.5kg.m를 내는 괴물도 있긴 합니다만...)
외산 중형차를 얘기하신다면야... 좀 달라지겠지요.
-
iris
01.02 10:34
위에서 적어두기는 했는데, 언덕의 등판 능력은 전적으로 토크에 의존합니다. 가솔린 또는 LPG 저배기량 엔진을 쓰는 경차는 근본적으로 토크가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토크를 높이는 방법은 대략 이 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 배기량이 높은 엔진 쓰기
- 과급기(터보차저, 수퍼차저)를 달기
- 압축 착화 방식 엔진(디젤엔진 등) 쓰기
괜히 사람들이 '디젤차가 토크가 좋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디젤엔진은 압축착화 방식으로 폭발력이 더 뛰어나고, 여기에 웬만하면 터보차저가 붙습니다. 그 때문에 디젤 경차를 기대하는 사람이 많지만, 현실은 그야말로 눈물이 나는 상황입니다. 대신 가솔린 엔진도 지금 압축착화 방식을 연구중이며, 시제품들은 다임러나 GM 등 여러 곳에서 나온 만큼 토크와 연비를 더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추신: 우리나라의 도로에서 경차가 액셀을 밟아도 무작정 밀릴 정도는 없다고 해도 좋습니다. 대부분 기어 조작을 그냥 'D'로 놓기에 생기는 문제인데, 연비를 포기하면 아예 2 또는 L로 기어를 바꿔 올라가면 빠르지는 않아도 충분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
1000cc GDI엔진을 기대해봅니다..
엔진말아먹는 GDI엔진.. 그래도 힘은 좋잖아요..
-
iris
01.02 10:54
GDI가지고는 안됩니다. HCCI 엔진이 나와야 합니다. 하지만 현기차는 아직 감감무소식이라는게 문제입니다.
-
휼드
01.02 18:15
오 2부 이제 봤네요 유익한글 감사드리며3부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PointP
01.03 14:57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
183 | 경차와 함께하는 법 (마지막편) [4] | iris | 01.24 | 4873 |
182 | 경차와 함께하는 법 (4) [15] | iris | 01.15 | 4291 |
181 | [미쿡] 타이어 빵구 수리 공짜로.. (광고아님) [3] | 왕초보 | 01.08 | 3152 |
180 | 경차와 함께하는 법 (3) [5] | iris | 01.04 | 3226 |
179 |
마우스 번지를 사기엔 돈이 아깝고. 마우스는 편하게 사용하고 싶고....
[4]
![]() | 60억낚시꾼 | 01.01 | 4429 |
» | 경차와 함께하는 법 (2) [13] | iris | 01.01 | 4774 |
177 | 경차와 함께하는 법 (1) [10] | iris | 12.28 | 3796 |
176 | 뇌졸중 확인 방법 [12] | yohan666 | 12.17 | 3858 |
175 |
[DIR]중국제 외장배터리 배터리셀 교체..
[16]
![]() | 섬나라 | 12.05 | 3352 |
174 | 대강 발로 쓰는, 겨울나기 난방 준비 [4] | 불량토끼 | 12.04 | 2980 |
173 |
[DIY] 생초보의 비상용 스마트폰 충전기 자작 실패기
[36]
![]() | west4street | 11.30 | 12274 |
172 | 부모님 위한 어플 소개해드려요~ [4] | 상키스트 | 11.30 | 3923 |
171 |
주민등록표 등·초본 발급사실 본인에게 통보
[5]
![]() | 인포넷 | 11.23 | 4137 |
170 | 세탁시 섬유 유연제는 꼭꼭 넣어야 되네요. [14] | 파리 | 11.13 | 6200 |
169 | '실용주의 사고와 학습'이라는 책을 요약해보았습니다. [2] | jubilee | 11.11 | 2695 |
168 |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요약 내용입니다. [4] | jubilee | 11.11 | 16538 |
167 | [팁] 구글 검색 결과 깨끗하게 만들기 | Freedom^^ | 11.11 | 2584 |
166 | 뭔가 이상하면 무조건 병원을 가세요. 약국 말구요. [24] | 윤발이 | 11.08 | 2430 |
165 | 여행용 칫솔 [5] | 야다메 | 11.07 | 2286 |
164 |
주변에 노는 잡동사니로 미니 led등 만들기...
[4]
![]() | 섬나라 | 11.06 | 3672 |
하악하악 이번 강좌도 단숨에 읽어내려갈정도로 읽기편하고 이해가 잘 되고 재미있군요!
3부에서는 또 어떤이야기를 해주실지 기대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