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l 스크립트를 24시간 돌릴 수 있는 우분투 혹은 윈도우 서버
2013.01.03 19:11
말 그대로 perl 스크립트를 24시간 돌릴 수 있는 저렴한 서비스를 찾고 있습니다.
원래 다른 프로젝트 할 때 우분투 서버를 돌렸거든요. 그 안에 꼽사리로 넣어 놓았는데, 이제 프로젝트가 마감이라서 그 컴퓨터에 전원을 내려버리네요. ㅠ_ㅠ
용량도 많이 필요 없고 cron 과 펄 스크립트 하나만 돌아갈 수 있으면 됩니다.
코멘트 12
-
감사합니다. 웹사이트에 나오는 말들이 약간 어렵네요.
쉽게 말해서 이 서비스를 가입하면 1년 동안은 30기가 용량의 리눅스 서버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1년 뒤에는 마이크로 예약 인스턴스 를 신청해서 1년에 $23 만 결제하면 된다는 뜻인가요?
이것만 잘 활용하면 오호 서버 돌리려고 신경썼던 전기세랑 소음문제가 한방에 해결되겠네요.
아.. 카드 정보 입력하고 무료로 사용해 보려고 했는데요. 아래의 하얀 화면 이외에 아무것도 안나오네요. 기다리면 되는 건가요?
-
앗.. 죄송합니다. 조금 기다리니 어떤 설정하라는 페이지가 나오네요. 이거 굉장히 재미있을 것 같네요.
-
와.... 되는 것 같네요. 그런데 ubuntu 아이디의 암호를 변경할 수는 없는 건가봐요. 물론 sudo에서 암호를 물어보지는 않습니다.
-
와.. 감사합니다. ssh 터미널 창에서 cron 이랑 bash 스크립트 돌아가는 것 까지 확인했습니다. 이제 Dropbox만 터미널로 설치해서 구동할 수 있으면 완벽해지겠어요.
-
1년후부터 적용될 가격은 http://calculator.s3.amazonaws.com/calc5.html#key=my-free-website 를 참조하시면 되요. 근데 24시간 켜놓으면 1년이 아니라 월 20-30불 수준이라서, 1년후에는 고민을 좀 해보셔야 할거 같네요. 아래 $23으로 나와있는 부분은, 일정 기간동안 더 큰 부하를 버텨야 할 경우 (싸이 예매 서버라면...) 옵션으로 사용할때 등록가격입니다.
가격이 싸진 않지만, 일단 1년간 아주 안정적으로 운영되면서 이것저것 해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니깐요. 관리도 Amazon이 알아서 다 하구요. 향후 개인 서버를 두게 된다면, 그 노하우를 미리 구축해놓을수도 있는 기회죠. (좀 얍삽하지만, 새 email로 새 계정 만들어서 옮겨써도 되죠. ^^;; )
admin 암호도 당연히 바꿀수 있는걸로 압니다. Linux는 SSH로 접속해서 바꾸나보네요.
-
카페24에 월 5500원으로 우분투 가상 서버 서비스가 있네요. 우선 알려주신대로 1년까지는 아마 아마존에서 있다가 나중에 가격정보에 대해서 터득을 하면 결정해야 겠습니다. 가격 정보가 너무 복잡해요. -_-;;;
-
http://ngee.tistory.com/71
이런 글들도 있고, 아마존 EC2로 검색하시면 꽤 많은 글들이 있으니 어렵지 않게 사용하실수 있을거예요.
-
감사합니다. 음... 싸지 않군요. 딱 1년만 써보고 이 프로젝트를 마감시켜 버려야 겠군요. 그런데 우분투 서버가 안정적으로 24시간 돌아가준다면 참 좋은 일이 많은데 말이죠.
-
와. 편하긴 하지만. 봐도 봐도 복잡하네요.
1년 동안 리눅스를 배워야 할게 아니라 아마존 서비스 가격 정보에 대해서 공부해야 겠어요. -_-;;
-
https://www.hostple.net/?page=vps
에 알아보니 한국에 있는 회사인데요. 5천원 설정비에 월 2천원 내면 128메가짜리 서버를 하나 준다고 하네요.
정말 펄 하나만 데몬이랑 Dropbox 데몬 이거 두개만 돌릴 생각인데 한번 알아봐야 겠습니다. 이쪽 세계에 발을 담그니 참 재미있는게 많네요. ㅎㅎ
-
가격만 보자면 cafe24나 기타 다른 서비스들이 훨씬 낫죠. ^^ 아마존 EC2의 장점은 1년 프리티어를 준다는거고, 1년간 돌리다보면 내가 무엇이 필요하고 정확히 어떤걸 신청해야 할지 알수 있으니깐요.
물론 아마존 AWS의 진정한 장점은, 어떤 서비스를 시작할때 대체 어떤 서비스에 얼마만큼의 프로세싱, 얼마만큼의 대역폭과 스토리지 용량이 필요한지 산정한다는게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쓴만큼 내고 필요할때만 프로세싱 추가비용을 낼수 있다는거예요. 거기다 월드와이드한 지원이 가능하구요. 쉽게 말해 기업용이죠. ^^
Amazon EC2의 프리티어를 한번 사용해보세요. 1년간 무료입니다. 엄청 큰거 돌릴거 아니면, 개인용으로는 상당히 좋습니다. 아예 플랫폼 하나를 통째로 주기 때문에 관리도 맘대로 할수 있구요. perl 스크립트면 system call 같은것도 있을법도 하니깐요. 서비스 위치도 월드와이드하구요. 어차피 1년 안에 NAS를 구입할 기회가 올수도 있고, 그때 되면 스크립트가 필요없어질수도 있잖아요. ^^
http://aws.amazon.com/ko/ec2/pricing/
AWS의 프리 티어를 사용하는 신규 AWS 고객은 Amazon EC2를 무료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신규 AWS 고객은 가입 시 1년 동안 매달 다음과 같은 EC2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ps : 매달 750시간 무료 = 무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