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방전에의한 점프선 연결시 궁금한점.
2013.01.20 19:28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예전 옆집 친구차가 아침에 추운날 시동이 안걸린다 그래서 출동(?) 나간 적이 있습니다.
키를 돌리면 스타트모터가 도는척 하다가 계기판 불이 어두워지며 안도는걸 보아서
분명 배터리 방전이더라구요...
마침 제 차에 예전에 혹시나 싶어서 홈프러스에서 사놓고 한번도 안쓴(!) 점프 케이블이 있어서(제일 싼놈으로)
점프를 시키고 시동을 걸었는데 도통 점프 한거랑 안한거랑 차이가 없더라구요..
시동 안걸리는 차량 배터리 전압도 찍어 봤을 때 분명 전압은 13v 이상 나오는 상황이었고.
(점프 안했을 시 9볼트 정도 나왔던걸로 생각됨..)
분명 이건 배터리 문제가 아닌갑다(?) 하고, 긴급 서비스를 불렀습니다.
추운데 한참 기다리니 뒷좌석에 배터리를 싣고 다니는 마티즈가가 와서, 굵빵한 점프선을 트렁크에서 꺼내더니
한방에 시동 걸고 휭 하니 사라지더군요.
궁금한게 점프선 연결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왜 시동이 안걸렸을까요?
정말 점프선 성능이 된다/안된다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경험있으신 분들 알려주세요.
배터리-배터리 직결도 해봤고
-극은 프레임에 연결도 해 봤습니다.
긴급서비스 차량은 방전차량 배터리 양 극에 예의 굵빵한 점프선를 물렸었습니다.
분명 방전차량의 배터리 양극에 13V(제차 엑셀을 좀 밟으면 14v)정도 나오는것도 확인했구요.
아무리 싸구려 점프선이라도 기능 자체가 되지 않는 선을 팔지는 않았을 텐데...
코멘트 11
-
인포넷
01.20 19:50
-
푸른들이
01.20 22:56
출력이 모자랐을 수도 있죠.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가 늘 만충전된 상태는 아니니까요...
마티즈 뒤에 배터리만 달랑 들고 오는 건 배터리 충전기에서 full 충전된 놈일 겁니다.
-
달팽이
01.21 09:22
전기를 주는 차가 시동이 걸린 상태로 점프를 했다면,
전선의 이상으로 밖에 생각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만~~~~
-
~찡긋*
01.21 10:27
마트에서 판매하는 점프선은 집게는 황제수준이죠.
그런데 그 안에 들어있는 구리선은 거지수준입니다.
배터리 방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경유차가 방전되었을때 그 점프선으로 시동을 걸려면 한 20분간 물려놓고 나서 시동을 걸어야 할 겁니다.
휴발유차는 좀 시간이 절약 되겠지요..
전선의 구리가 많을 수(두꺼울 수)록 쉽게 시동을 걸 수 있고요...
또 전선의 길이가 짧을 수록 쉽게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 출동 요원으로 한 5년 넘게 일했었습니다..
(자동차 잠긴 문도 잘 엽니다..)
추천:1 댓글의 댓글
-
iksalee
01.21 10:59
정답은 점프선이 얇아서 이구요(방전된 차량이 날씨가 추운날 소모전력을 많이 차지하는 디젤차 일수록 시동잘 안 걸립니다)
- 당연히 마트선도 쓸만합니다..........점프선 물리고 담배 한대 태우시고 시동걸면 됩니다
기다리시는것이 짜증나시면 점프선 굵고 비싼거 사면됩니다(자가운전자의 비상용은 얇고 저렴한거 사세요^^)
(꼭 숙지하실점은 점프선 연결직후 시동안걸리고 갤갤되면.....조금 충전될때 까지 수분 기다리시면 됩니다)
-
김강욱
01.21 12:45
답 달려고 왔는데, 이미 답 다셨네요.
좋은 거 쓰셔야 합니다.
아니면, 좀 ... 잘 안되요. -_-;
-
달팽이
01.21 11:35
댓글보고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전기를 주는차가 시동건 상태에서 전기를 주면, 전압/전류 모두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만,
왜 선을 연결하고 기다렸다가 시동을 걸면 걸리게 되는 건가요?????
시동이 안 걸리는 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라면 이해가 될 수도 있지만,
정상차에서 직접 전기를 받아 쓰는데 기다려야 하는 이유가 이해하기 어려워 질문드려 봅니다.
-
간단히 말씀드리면 용량 이 있는 배터리가 있는 회로는 그냥 연결된 회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시동을 걸 때는 임의의 특수상황 (점화 플러그에서 불꽃이 튀게 만드는.. 어떤 조건에서 불꽃이 튈까요?)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 전위(??)까지는 올려줘야 합니다.
네이버에서 자연어 검색을 통하더라도 지식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아침만뉴요커
01.21 13:01
배터리를 충전하는데는 10의 전기가 필요하고,
시동걸려면 100의 전기가 필요하다고 하면...
얇은 마트표 케이블의 경우 30정도밖에 전기를 못 보내는 겁니다.
그래서 바로 시동을 바로 걸기엔 전기가 부족하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서 배터리에 충전이 되고나면 시동이 걸리는 것이죠..
-
달팽이
01.21 15:52
아마도 전기를 공급해주는 차의 전류로 시동을 걸기에 전선의 용량 (전류를 흘려줄 수 있는 량)이 부족해서
방전된 배터리에 어느 정도 충전을 해주어야 시동이 걸리는 모양이군요.....
전혀 몰랐던 사실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akdh
01.22 01:49
답변 대단히 김사합니다. 나름 전자공학도인데 아직은 모르는게 넘 많습니다. ㅠㅠ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아서, 그것을 모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