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입니다.
2013.01.23 17:45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눈팅만 하다가 오랜만에 로그인했는데
질문만 하게 되서 정말 죄송합니다.. ㅠㅜㅠㅜㅠㅠㅠㅠㅠㅠㅠㅠ
네트워크쪽 일하시는 분들이 계실까 해서 질문 남겨봅니다ㅠㅠㅠㅠ
1.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 tracert명령어 넣어보면 지나가는 라우터 주소들이 나오잖아요?
그 라우터 개수가 몇개인지에 따라서 RTT(Round Trip Time)나 전송속도가 많이 차이가 날까요??
2. 아파트 단지같은 대규모 단지에서 통신사들 인터넷 속도가 잘 안나오는 이유가 뭔가요?
100Mbps 광랜을 200명이 쓴다고 하면 단지내로 100x200 = 20Gbps 선을 끌고 들어오는게 아닌가요?
3. 게임 내 FPS는 그럭저럭 좋은데 Ping만 높을때는 네트워크 어디가 문제인건가요?
4. 동영상스트리밍 볼때(유튜브 말고 기타 다른 스트리밍이요) 와이어샤크로 패킷을 뜨고
동영상 서버에서 나오는 패킷만 걸러서 쓰루풋(Throughput) 그래프를 보면요(Static -> TCP StreamGraph
그 그래프에 그려져있는 쓰루풋(Throughput)이
[TCP 윈도우 사이즈 / RTT]로 계산되는 그 쓰루풋하고 같은건가요?
5. 윗 질문에서 Throughput 대신에 Round Trip Time 그래프를 누르면
패킷들의 RTT가 그래프로 그려져서 나오는데
왜 여기 나오는 RTT 값과 직접 서버에 Ping을 쏴서 얻은 RTT값과 다른건가요?
6. 와이어 샤크 그래프에서 I/O그래프와 Throughput 그래프는 뭐가 다른가요?
그리고 I/O그래프가 의미하는게 정확히 뭔가요?
7. 와이어 샤크로 패킷 볼때 패킷들이 전송되었던 속도 볼수 있는 옵션이 있나요???
너무 많은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ㅠㅠㅠㅠ 답변달아주시는분 복받으실꺼에요 ㅠㅠ
코멘트 12
-
아,,옆동네에서도 올렸던 질문이라서 아마도 거의 같을 겁니다ㅠㅠ
저는 컴퓨터 공학과 출신인데 일이 네트워크쪽이라서 열심히 배우고있습니다 ㅠㅠ
소켓프로그래밍이라고 학생때 배우긴 했는데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ㅠㅠ 그냥 소켓 여러개 만들어서 플래쉬겟 비슷한 프로그램 만들었던 기억밖에 없는데 좋은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ㅠㅠ -
꼬소
01.23 19:01
답변
1. 케바케 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2. 일반적인 수치적인 상식선에선 그렇게 셈 할 수 있지만, 아파트 단지에 들어 올 수 있는 회선의 허용 용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다만 개별 호수에 연결하는 속도를 일반 랜선 속도에 맞춰 낮추주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폭주하여 아파트 회선의 한계치까지 사용 한다고 한다면 속도 저하는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서비스 계약상 100Mbps까지 나올 수 있다는 것이지..(이론상 그렇지 실제는 다름) 항상 그렇게 서비스 한다는게 아닙니다.. 인터넷 속도 성능은 사용자에 반비례 하게 나올 겁니다..
3. ping을 때린 host가 어딘지도 중요합니다.. FPS 게임의 경우 서버와의 네트워크 환경 보다는 게임 유저간의 환경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ping은 ICMP 를 이용하여 약속 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시간을 측정하는 겁니다.. 그래서 ping을 측정한 점 대 점 연결에는 신뢰 할 수 있지만, 사용하고 있는 전체 네트워크 환경을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4. 그건 얼추 비슷할 것 같은데..wireshark가 사용하는 pcap 라이브러리가 항상 패킷을 잘 캡쳐 하지는 못합니다.. 가끔 몇몇 패킷은 빼 먹기도 하고 성능도 안 나올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MTU 하나 둘 빼 먹는다고 전체 용량에 대한 차이가 크지는 않을 겁니다. 좀 더 정확한 패킷 캡쳐 프로그램을 원하신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한번 작성 해 보시면 깊은 빡침과 함께.. 순순히 코드를 덮는 자신을 발견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냥 믿고 쓰세요...
5. 쓰루풋에서 쓰는건 TCP고 ping은 ICMP인건 알고 쓰신건가요?? 이건 뭘 좀 너무 모르시고 질문 하시는 듯 한데요... 그리고 한번이라도 해당 프로토콜이 통신을 했다면 경로라는 것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건 TCP 인듯 한데.. 이 차이점은 책을 통해 배우시길 바랍니다.. (요건 숙제로 돌릴꼐요..)
6. 글쎄요... 저는 이부분은 자세히 보질 않아 모르겠습니다.. (왠지 리포트를 위한 자료조사의 향기가 ㅎㅎㅎ)
7. 아마 없을 겁니다.. wireshark는 패킷 캡쳐 프로그램이지 특정 패킷의 속도를 체크하진 않을겁니다.. 대신 손으로 계산하는 법은 있습니다.. TCP로 패킷을 주고 받았다면 filtering으로 포트를 치고 상대 시간과 MTU 총합을 나누면 BPS 정도는 계산 가능하죠..
그넫 제가 답변 해드린 거의 모든 부분은 구글에 나옵니다...
제가 답변한게 꼭 정답이라곤 말 할 수 없기도 합니다.. 궁금하면 찾아보고 모르면 공부 하시면 됩니다..
좋은 성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ㅠㅠ
리포트는 아니고 그냥 요새 일때문에 네트워크를 배우는데 멘붕이 심하게 와서요ㅜ
학부생때는 그냥 이러이런것이 있는데 프로그래밍 하는데 기초정도만 알아둬~ 이런거였는데실제로 일할때는 기초지식이 많이 필요하네요.....
감사합니다!! -
꼬소
01.24 02:07
아... 현업에 계시는 거군요.. 수고하세용;;
-
김강욱
01.23 21:34
네트워크에 대해 구글링으로 독학한 결과라 틀릴수도 있음을 감안하고 봐주세요.
1) 1 hop 을 거쳐도 느린 거보다, 돌아가도 빠른 게 나을 수 있으니, 라우팅 테이블을 세팅을 잘 해야 한다 하는 것 같습니다.
2) 기본적으로 사용자 반비례가 맞을것 같습니다.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Fault 도 늘테고 각종 라우팅 장비들의 스펙들도 영향이 크지 않을까...등등....현실적인 점을 감안하면 사용자가 늘 수록 더 급격하게 나빠질 것 같습니다.
꼬소님 네트워크 강의를 함 여심이~
-
꼬소
01.23 21:52
전 정말 모르는데요...
저보다 실전 굇수님인 분이 제 위에 리플을 다셨는데 어찌 제가 감히....
그림자도 못 밟겠습니다;;
-
ㅡ.ㅡ;;
-
김강욱
01.23 23:44
머지..머지...아~ 무지함에 무지 쪽팔려요...TT
-
인포넷
01.24 00:05
저도 꼬소님의 네트워크 시리즈 강좌 듣고싶어요... -
김강욱
01.24 12:11
그렇죠...그죠...맞죠...^_^
-
감사합니다!! 댓글들이 업무 적응하는데 힘이되고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옆동네에서 같은 질문을 보긴 봤던 것 같은데.. 본 건에 대해서는 case by case가 다 다릅니다.
wire shark 에 대한 것은 source code 도 있으니 직접 보실 수도 있으며, document 를 읽어보시면 나오는 내용입니다.
공부하시는 중이시라 하니 간단히 말씀드리면.. 좋은 네트워크엔지니어는 기본적으로 C/C++도 잘 해야 합니다.
뭐.. 국내에 제대로 공부한 네트워크엔지니어 분이 그렇게 많지 않기에 쉽게 말하긴 뭐하긴 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