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power와 배터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2013.03.05 15:11
요번에 취미 삼아서 15인치 4:3 윈도우 터치 타블렛을 만들어볼 계획입니다.
찾아보다가 mini-itx보드가 적합할것같아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nano나 pico-itx보드는 너무 비싸고 cpu가 좋은게 별로 없더라구요..
요 제품군을 보고 있는데 (i3나 i5도 구매가능하답니다.)
처음에는 그냥 dc 어댑터만 꼽아서 쓸 생각이었는데 욕심이 생겨서 배터리를 장착해보고 싶습니다.
전자과 출신이 아니라서 궁금한게 많습니다.
1. 배터리는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같은걸 사다가 쓰면 되는건지.
2. 19v의 전력을 줘야하는것같은데 직렬연결을 해주면 되는건지..
3. dc포트에다가 연결을 하는것인지 아니면 메인보드에 연결을 하는것인지..
4. 전체적으로 어떻게 조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5. 용량대비 사용시간이 어느정도인지 대략적인 감이나 계산 방법을 알고 싶네요..
추가 질문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lvds 포트가 있는데요.
원래는 패널을 ad보드에 연결할 계획이었는데 lvds 케이블만 따로 메인보드에 연결하고 나머지 인버터랑 osd는 ad보드에 연결하는 방식을 취해줘도 되는건가요?
그리고 ccfl을 led로 개조할 경우에 인버터라는 개념자체가 없어지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만약 인버터가 없다면 그냥 lvds케이블만 필요할테니깐요..
제가 잘 몰라서 이것저것 두서없이 질문했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통 DC-DC 모듈을 쓰는 경우 입력 전원은 12V로 들어갑니다. 그러기에 Li 계통 배터리를 쓰는 경우 직렬 연결로 전압을 어느 정도 높여주고 정압 회로를 짜줄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전력 소비량 문제도 생각해야 하는데, 웬만한 용량의 배터리로는 기껏해야 1~2시간 내외의 작동 시간만 갖게 됩니다.(아톰 프로세서나 E 시리즈 APU인 경우 장치 구성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30~60W 정도의 전력 소비량을 가정해야 합니다. 저장장치는 제외합니다.) 디스플레이까지 생각하면 더 답이 나오지 않기에 이것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면 차라리 220V 출력을 내주는 자동차 배터리를 넣는 타입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생각해보셔도 됩니다.(좀 비싸지만 시중에서 팔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