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CI보험
2013.03.19 16:45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혹시 보험쪽 아시는 분이 있을까 해서 질문합니다.
H보험사의 태아보험 > 어린이보험을 들고 있습니다.
4월에 제도가 바뀐다고 지인이 100세 보장형으로 전환하라고 합니다. (이 지인과 보험은 무관한데...)
이게 바꿔야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보통 제도를 바꾸라면 회사에 불리한 게 있어서 바꾸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이 경우는 잘 모르겠네요.
코멘트 2
-
앙되요
03.19 17:51
-
쉽게 얘기하자면, 4월 1일 이후로는 100세까지 보장해 주는 상품이 판매금지가 된답니다.
통상 '실비보험'이라는 것이 최근까지는
3년 갱신형, 100세 만기, 입원시 5천만원 한도, 통원시 25만원한도, 약제비 5만원 한도가 평균적으로 판메가 되고 있었죠.
그런데 4월 1일 부터는
1년 갱신형, 최장 15년간 갱신.. 그러니까 1년마다 보험료가 갱신되면서 15년까지만 갱신이 된다는 뜻입니다.
100세 만기는 없어지게 되지요.
어른들이야 80세 혹은 100세 까지 보장이 되는 실손보험을 많이들 가입하고 있지만,
어린 친구들은 아무래도 15년짜리나 30세 까지만 보장받는 상품들에 많이 가입되어 있답니다.
그러다 보니 영업하시는 분들이 3월이 가기 전에 3년 갱신,100세까지 보장되는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어떠냐 하고 권하는 겁니다.
중간에 소아당뇨나 기타 중요한 질병에 걸리게 되면 15년 뒤에 보험을 가입할 때 보험회사에서 인수를 안 할 가능성이 많거든요.
절판 마케팅이라는 시각도 존재하구요, 1년마다 갱신되는 것 보다는 3년마다 갱신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주장도 존재합니다.
판단은 언제나 소비자가 하는 거지요. ^^
저도 아이 둘을 같은것으로 하고 있는데요. 저도 그런식으로 연락이 오더라구요. 100세 보장을 안하고 20세 였던가? 했던이유가 어짜피 그때가면 그 상황에 맞춰서 새로 보험들자는 생각으로 100세를 안했었거든요. 그래서 저도 고민하다가 그냥 내비뒀었습니다.
사실 아직도 그게 좋은 선택인지는 모르겠어요